목차
1. X선 발생장치와 발생기의 차이점
1) X선 발생장치란 무엇인가
2) X선 발생기란 무엇인가
2. X선 발생장치의 구성과 분석
1) X선 발생의 원리
2) X선원 장치
(1)X선관
(2)X선 관용기
3) 고전압 발생장치
(1)고전압 발생장치
(2)X선 제어장치
1) X선 발생장치란 무엇인가
2) X선 발생기란 무엇인가
2. X선 발생장치의 구성과 분석
1) X선 발생의 원리
2) X선원 장치
(1)X선관
(2)X선 관용기
3) 고전압 발생장치
(1)고전압 발생장치
(2)X선 제어장치
본문내용
류기와 일정한 전기량을 저장할 수 있는 콘덴서, 열전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변압기 및 고전압 절환기 등 고전압 회로에 속한 부분을 말한다.
고압 변압기
X선 발생장치의 전원은 220~380V / 50~60Hz 의 교류이지만 관내의 열전자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X선관에 가해지는 전압은 대략 10KV에서 150KV이다. 이와 같이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변압기를 고전압변압기라 한다.
고압정류기
고압변압기에서 발생한 2차 전압은 교류 고전압이기 때문에 이것을 X선관에 흐르게 하면 여러 가지 손실이 따르게 된다. X선관 타깃 쪽에 전위차 위상이 양(+)일 때는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열전자가 타깃 쪽을 이동하여 X선이 발생되지만 위상이 반대일 때는 전자의 이동이 중단되어 X선이 발생될 수 없다. 따라서 한 사이클 중 반파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반파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전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즉 교류 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것을 정류라고 한다.
가열변압기
X선관과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부의 고전위가 되므로 가열변압기의 1차, 2차간을 높게 절연시킬 필요가 있다.
X선관의 필라멘트 전력은 최대 5.5A , 16V정도이므로 이 전력을 공급할 전원이 필요하다. 보통은 이중초점 X선관이 사용되는데, 가열변압기는 대초점용, 소초점용으로 두 개를 설치하고 있다.
고압 절환기
한 개의 고전압발생장치로 두 개 이상의 X선관을 사용할 때 고압 측을 바꾸는 것으로서 종전에는 절환기만을 단독으로 유입용기에 넣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거의가 고전압발생장치에 내장되어 있다.
고압 케이블
고압케이블은 고압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고압을 X선관에 통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는 완전히 접지가 되도록 되어 있어서 전격의 위험성이 없다.
★현재 신구대학 방사선과 촬영 실습실에 있는 X-선 발생장치는 GX-750, 고압변압기는 HX-750H로 연속적으로 700mA, 70kVp을 순간적으로 500mA, 100kVp를 조사할 수 있으며 최대 관전압은 150kVp입니다.
<느낀점...>
제가 조사한 것은 여기까지 입니다.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려 직접 조사하고 여러 가지 책을 보면서 비교하면서 아주 좋은 경험을 한 것 같습니다. 학교 실습실에 있는 장치에 대해서도 알아보니 공부도 더 잘되는 것 같고 1학년때 배웠지만 잊어버렸던 기억들도 다시 찾으면서 뜻 깊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압 변압기
X선 발생장치의 전원은 220~380V / 50~60Hz 의 교류이지만 관내의 열전자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X선관에 가해지는 전압은 대략 10KV에서 150KV이다. 이와 같이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변압기를 고전압변압기라 한다.
고압정류기
고압변압기에서 발생한 2차 전압은 교류 고전압이기 때문에 이것을 X선관에 흐르게 하면 여러 가지 손실이 따르게 된다. X선관 타깃 쪽에 전위차 위상이 양(+)일 때는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열전자가 타깃 쪽을 이동하여 X선이 발생되지만 위상이 반대일 때는 전자의 이동이 중단되어 X선이 발생될 수 없다. 따라서 한 사이클 중 반파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반파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전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즉 교류 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것을 정류라고 한다.
가열변압기
X선관과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부의 고전위가 되므로 가열변압기의 1차, 2차간을 높게 절연시킬 필요가 있다.
X선관의 필라멘트 전력은 최대 5.5A , 16V정도이므로 이 전력을 공급할 전원이 필요하다. 보통은 이중초점 X선관이 사용되는데, 가열변압기는 대초점용, 소초점용으로 두 개를 설치하고 있다.
고압 절환기
한 개의 고전압발생장치로 두 개 이상의 X선관을 사용할 때 고압 측을 바꾸는 것으로서 종전에는 절환기만을 단독으로 유입용기에 넣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거의가 고전압발생장치에 내장되어 있다.
고압 케이블
고압케이블은 고압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고압을 X선관에 통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는 완전히 접지가 되도록 되어 있어서 전격의 위험성이 없다.
★현재 신구대학 방사선과 촬영 실습실에 있는 X-선 발생장치는 GX-750, 고압변압기는 HX-750H로 연속적으로 700mA, 70kVp을 순간적으로 500mA, 100kVp를 조사할 수 있으며 최대 관전압은 150kVp입니다.
<느낀점...>
제가 조사한 것은 여기까지 입니다.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려 직접 조사하고 여러 가지 책을 보면서 비교하면서 아주 좋은 경험을 한 것 같습니다. 학교 실습실에 있는 장치에 대해서도 알아보니 공부도 더 잘되는 것 같고 1학년때 배웠지만 잊어버렸던 기억들도 다시 찾으면서 뜻 깊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정부(국가)의 발생 배경과 원인 및 정부의 역할
난자의 활성화와 단위 발생에 관한 레포트// 수의학과 학생이 직접씀//
[물리실험] 파동의 발생과 전달
가정폭력 현황, 발생요인, 아내학대이론, 피해여성, 대책 보고서
오실로스코프 및 함수 발생기 동작 (결과 레포트)
오실로스코프, 신호발생기 실험
[일반물리실험] 회로시험기, 함수발생기 사용법 (예비 및 결과)
실험 01.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 (Oscilloscope and Function Generator)
양력(揚力/lift)의 발생원리
10. 오실로스코프 및 신호발생기의 사용법
기초회로실험 - 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 Oscilloscope and Function Generator
질병에 의한 사망원인과 발생 빈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