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장비
3. 이론 개요
4. 실험 순서
(1) 오실로스코프
(2) 함수 발생기
(3) 실습
(4) DC 유지의 효과
5. 결론 및 고찰
2. 실험 장비
3. 이론 개요
4. 실험 순서
(1) 오실로스코프
(2) 함수 발생기
(3) 실습
(4) DC 유지의 효과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호를 나타내도록 오실로스코프에 함수 발생기를 다시 연결하고 수직채널의AC-GND-DC 결합 스위치를 GND에 전환하라. 효과는 무엇인가?
일직선으로 나타난다.
왜? 이 오실로스코프 기능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0전위라서 기준점 맞추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e. 이제 AC-GND-DC 결합 스위치를 AC 위치에 놓아라. 표시창에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DC를 뺀 파형만 나타난다.
AC는 DC를 뺀 파형이 나타나고 DC는 AC와 DC 모두 나타난다.
f. 마지막으로 AC-DNG-DC 결합스위치를 DC 위치에 놓아라. 표시창에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모든 부분이 미세하게 올라간다.
DC의 성분이 미미하게 섞여 있기 때문이다.
g. 함수 발생기의 출력과 직렬로 건전지에 놓음으로써 그림1-4의 입력 vi를 구성하라. 오실로스코프의 접지를 함수 발생기의 접지단자에 직접 연결하는 것을 확인하라. DMM의 DC 모드를 사용하여 실제 전자 전압을 측정하고 기록하라.
(측정치) DC 레벨 = 1.551V
h. 오실로스코프의 AC-GND-DC 결합 스위치를 GND에 놓고 한 채널을 그림 1-4의 Vi의 입력전압 단자에 적용하고, 스크린의 중앙에 수평라인(영점 조정)이 위치하도록 조정하라. 그때 AC-GND-DC 결합 스위치를 AC에 놓고 영점라인과 수직, 수평이동거리의 수를 명확하게 보이도록 그림 1-5에 파형을 대략 그려라. 선택한 감도를 사용하여 다양한 수평, 수직 격자선들의 크기를 표시하라.
주파수 : 1kHz
수직감도 : 1V/div
수평감도 : 0.2ms/div
i. AC-GND-DC 결합 스위치의 위치를 DC 모드에 놓고 순서 h에서 요구한 세부사항을 포함하여 그림 1-6에 파형의 결과를 대략 그려라.
정현파형의 수직이동이 전지의 DC 전압과 같은가?
0.8V 정도 올라간다.
정현파형의 형태가 AC-GND-DC 결합 스위치를
여러 위치로 움직임으로서 변하는가?
형태는 변함이 없었으나 파형의 높이가 올라갔다.
j. 그림 1.4에서 전지의 극성을 역으로 바꾸고, 순서 h, I를 반복하라. AC와 DC 모드에서 파형의 효과를 관찰하고, 아래에 요약하라.
극성을 역으로 바꾸었더니 DC에 놓았을 때 극성이 정상일 때와
반대로 파형의 높이가 내려갔다.
5. 결론 및 고찰
이번실험의 목적은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DMM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해서 수평감도가 높아질수록 파형의 나타나는 주기가 짧아지고 수직감도가 높아질수록 파형의 나타나는 진폭은 커지지만 실제의 주기와 Vp-p값은 변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T = 1/f 공식을 통해 주파수와 주기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8page의 f번을 실험했을 때 파워서플라이로 DC를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자세히 확인한 결과 DC에 놓았을 때 미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론적으로는 DC를 공급해주지 않지만 변화가 있다는 사실에 DC 성분이 미미하게
섞여 있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일직선으로 나타난다.
왜? 이 오실로스코프 기능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0전위라서 기준점 맞추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e. 이제 AC-GND-DC 결합 스위치를 AC 위치에 놓아라. 표시창에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DC를 뺀 파형만 나타난다.
AC는 DC를 뺀 파형이 나타나고 DC는 AC와 DC 모두 나타난다.
f. 마지막으로 AC-DNG-DC 결합스위치를 DC 위치에 놓아라. 표시창에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모든 부분이 미세하게 올라간다.
DC의 성분이 미미하게 섞여 있기 때문이다.
g. 함수 발생기의 출력과 직렬로 건전지에 놓음으로써 그림1-4의 입력 vi를 구성하라. 오실로스코프의 접지를 함수 발생기의 접지단자에 직접 연결하는 것을 확인하라. DMM의 DC 모드를 사용하여 실제 전자 전압을 측정하고 기록하라.
(측정치) DC 레벨 = 1.551V
h. 오실로스코프의 AC-GND-DC 결합 스위치를 GND에 놓고 한 채널을 그림 1-4의 Vi의 입력전압 단자에 적용하고, 스크린의 중앙에 수평라인(영점 조정)이 위치하도록 조정하라. 그때 AC-GND-DC 결합 스위치를 AC에 놓고 영점라인과 수직, 수평이동거리의 수를 명확하게 보이도록 그림 1-5에 파형을 대략 그려라. 선택한 감도를 사용하여 다양한 수평, 수직 격자선들의 크기를 표시하라.
주파수 : 1kHz
수직감도 : 1V/div
수평감도 : 0.2ms/div
i. AC-GND-DC 결합 스위치의 위치를 DC 모드에 놓고 순서 h에서 요구한 세부사항을 포함하여 그림 1-6에 파형의 결과를 대략 그려라.
정현파형의 수직이동이 전지의 DC 전압과 같은가?
0.8V 정도 올라간다.
정현파형의 형태가 AC-GND-DC 결합 스위치를
여러 위치로 움직임으로서 변하는가?
형태는 변함이 없었으나 파형의 높이가 올라갔다.
j. 그림 1.4에서 전지의 극성을 역으로 바꾸고, 순서 h, I를 반복하라. AC와 DC 모드에서 파형의 효과를 관찰하고, 아래에 요약하라.
극성을 역으로 바꾸었더니 DC에 놓았을 때 극성이 정상일 때와
반대로 파형의 높이가 내려갔다.
5. 결론 및 고찰
이번실험의 목적은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DMM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해서 수평감도가 높아질수록 파형의 나타나는 주기가 짧아지고 수직감도가 높아질수록 파형의 나타나는 진폭은 커지지만 실제의 주기와 Vp-p값은 변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T = 1/f 공식을 통해 주파수와 주기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8page의 f번을 실험했을 때 파워서플라이로 DC를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자세히 확인한 결과 DC에 놓았을 때 미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론적으로는 DC를 공급해주지 않지만 변화가 있다는 사실에 DC 성분이 미미하게
섞여 있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추천자료
전자전기실험 - 실험 10 예비보고서 [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전자공학실험-실험 #8 인덕터 및 RL 회로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 예비14:Limiting회로와 Clampling회로의 설계
오실로스코프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 전자 측정 실험 결과 리포트
전자측정연습 예비보고서
음압 및 소음도 측정
Common-Source Amplifier
BJT를 이용한 Amplifier
로우 필터 Low-pass filter(저역통과필터) 결과 : 저대역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실험한다
오실로스코프 작동법,실험 목적
고정 바이어스 회로
전류귀환 바이어스 회로 설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