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보관 사업]인보 사업의 정의와 특징, 인보관 사업의 의미와 지역사회사업에 미친 영향, 인보사업의 성과와 지역사회에의 공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보관 사업]인보 사업의 정의와 특징, 인보관 사업의 의미와 지역사회사업에 미친 영향, 인보사업의 성과와 지역사회에의 공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보관 사업의 정의

2. 인보사업의 기원과 조직
1) 영국
2) 미국

3. 인보사업의 특징

4. 인보사업의 성과와 공헌
1) 인보사업의 성과
가) 공립학교의 기능강화
나) 전국인보사업연맹
다) 전국사회기관연합회
2) 인보사업의 공헌
가) 교육 사업 장려
나) 사회적 기관 간의 연관 고리 역할
다) 조사기관으로서의 역할
라) 사회사업가의 훈련 및 자원봉사자의 교육 담당
마) 민주주의운동에 공헌
바) 그 밖의 사회개혁활동

5. 지역사회사업의 발전에 미친 영향

참고자료 출처

본문내용

도 했다. 인보관은 넓은 의미에서 하나의 교육시설로서 그곳에서 침식을 해결하며 전 시간을 헌신하려는 자들의 체험학습장이 되기도 하며, 어떻게 하면 행복한 생애를 보낼 수 있을까에 대한 연구의 장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은 중산계급이 빈곤계급의 실상을 잘 알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민주주의운동에 공헌
인보관은 주민들이 그들의 잠재력을 최고도로 발휘할 수 있도록 모든 종류의 교육에 중점을 두었고, 아동의 노동을 반대하고, 시 단위의 개혁은 지역사회로 하여금 그들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하는 것 등이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의 사회개혁활동
공립학교에서 탁아사업, 급식, 심신 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 직업교육과 지도
지역마다 공원 조성, 주택관련법규 개선, 도시계획을 통한 밀집주거지역 현상 해소, 공립학교를 지역사회센터로 활용
해외 이주민들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이민보호연맹 조직
근로여성을 보호하고 아동노동을 폐지하기 위한 입법을 위해 투쟁하였고, 전국아동노동위원회와 여성노조 등을 결성하는 데 참여
시와 구 단위의 개혁활동에 참여
지역사회사업의 발전에 미친 영향
인보사업이 활발히 전개되던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는 공업화, 도시화에 의한 인구집중과 노동문제나 지역문제의 심화로 인하여 종전에 개별적인 수준에서의 해결이 힘든 요구들이 생겨났다. 이 때 인보사업의 중요한 기능을 해야 할 기관은 교회였다. 그러나 이 교회들이 초기에는 상당히 소극적이고 과거의 타성에 젖어 자선을 통한 개별적 원조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해 거부하는 분위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금 늦기는 했지만 19세기 후반에 기독학생에 의한 인보사업이 영국에서 시작되어 활발히 전개됨으로서 기독교가 인보사업에 참여하는 중요한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 이 운동에는 명문대학인 케임브리지 및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와 학생이 참가하여 지역사회문제를 직접 확인하고 체험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1890년대 와서는 도시지역문제에 교회의 개입이 강력히 요구되어 교회시설을 개방하고 거기에 필요한 재정을 지원하여 도시 생활자의 생활 개선을 위한 교회 사회사업을 확대하게 되었다. 주말의 교회시설을 이용해 각종 교양 프로그램을 실시함은 물론 나아가서 지역사회, 주민의 욕구 충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0세기의 초기 미국에서는 교회와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들이 나타났는데, 첫째는 교회시설 개방에만 머물지 않고 교회자체를 지역사회 교회로 만듦으로서 교회 자체를 지역사회자원의 하나로서 인식하여 지역사회와 교회의 관계를 중시하는 것과 둘째는 공적 분야가 인보사업에 진출한 것이다. 즉, 공립학교 및 초등학교 건물들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센터로서의 기능을 하게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들이 지역사회조직이론과 기술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즉 이상과 같은 인보사업운동은 오늘날의 지역사회사업(community work)의 발전을 가져오는 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특히 인보관은 지역사회문제 해결의 장으로서 기능을 수행했으며, 오늘날 지역사회복지관을 탄생시킨 모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출처
류상열, 지역사회복지론, 형설출판사, 자선조직화운동 p 123~133, 2004. 02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제2개정판), 최일섭,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8
1급 사회복지사 기본서(지역사회 복지론),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나눔의 집, 2009. 5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사업, Naver 꼴통님의 Blog, 2007. 3
지역사회복지, http://www.welfare.go.kr/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6.0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