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수두증 case stud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을 제공할 시에 suction tube는 반드시 새것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윤활제로 사용하도록 한다.
⑤suctioning시에 걸리는 느낌이 있으면 즉시 빼도록 하고 수용성 윤활제를 발라 부드럽게 시행하도록 한다.
①삼출물이 그대로 쌓이게 될 경우 삼출물로 인해 다른 세균까지 증식할 수 있는 축축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②다른 환아에게서 있었던 세균을 옮기지 않게 하기 위하여 손을 씻는다.
③다른 이물질의 침입시 기관지에 자극이 가거나 세균이 침입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④비강을 흡입했던 것을 사용한다면 폐까지 직접 세균을 걸러내지 않고 세균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⑤suctioning시에 자극을 최소화하여 혈관을 통한 감염의 위험성도 최소화한다.
①tracheostomy를 2 ~ 3일에 한번씩 청결하게 소독하고 거즈를 교환하였다.
②suctioning시행 전에 손을 청결하게 하였다.
③목욕이나 구강간호시에 이물질이 삽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④suctioning은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새 tube로 실행하였다.
⑤suctioning시에 충분한 수용성 윤활제를 tube에 발라 부드럽게 시행하였으며 자극을 최소화하였다.
간호평가
아동의 vital sign은 정상으로 일주일동안 유지되었으며 이차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3.아동의 질병, 입원과 관련된 가족기능장애
간호사정
- 부모의 입원당시의 환아에 대한 관심도는 상이었으나 시간이 지나자 관심도도 감소하고 방문이 줄어드는 추세임.
- 처음에는 방문을 하였었으나 시간이 지나자 11~12월경에는 전화로만 안부를 묻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임.
- 아동의 욕창이 다 회복되어 필요 없는 물건들도 부모의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하지 않으면서 환아의 침대에 놓여있음.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가족은 아동에게 적절한 관심과 보살핌을 제공한다.
단기적 목표
가족은 아동을 주기적으로 방문하도록 한다.
간호진단
#3.아동의 질병, 입원과 관련된 가족기능장애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아동의 상태에 대한 것과 정서적인 면에서 부모의 방문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교육한다.
② 가족모두가 아동에게 부모라는 존재가 필요함을 인식시켜준다.
③가족에게 자조집단을 연결하여준다.
①아동이 반응을 하는 것 같지 않지만, 정서적인 면에 있어서 표현을 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②좋은 정서적인 자극은 환아에게 질병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③가족들이 스트레스를 받았던 고민들을 자조집단을 통하여 해결하고 서로 의논하면서 부모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아이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면서 보다 정서적인 지지를 많이 받게 된다.
간호평가
부모와는 직접적인 연락이 되지 않았다.
정서적인 면에서의 긍정적인 치료는 다른 환아에게 적용한 웃음치료가 효과적인 사례였었던 것 같기 때문에 가족적인 접근으로 환아에게 다가간다면 정서적인 면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단기적 목표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6.0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