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2.적응증
3. 절단부의 위치
4.절단환자의 재활치료
1) 의지 착용 전 환자의 재활치료
2) 적합한 의지의 처방
3) 의지의 제작과 장착
5.<<의지의 종류>>
[상지 의지]
[하지 의지]
2.적응증
3. 절단부의 위치
4.절단환자의 재활치료
1) 의지 착용 전 환자의 재활치료
2) 적합한 의지의 처방
3) 의지의 제작과 장착
5.<<의지의 종류>>
[상지 의지]
[하지 의지]
본문내용
단단을 가진 사람에게 재래적인 제작방법으로 적용되어 왔으나, 요즘에는 실리콘 같은 가공하기 쉬운 연성 재료가 발달하여 사용자에게 기능과 외관을 모두 만족시켜 주고 있다. 족지 및 족부 절단자에게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아마도 남아있는 족부의 체중부하와 관련된 연부조직의 상태일 것이다. 이런 조직들이 정상적인 동작동안 일어나는 직접압력과 전단력을 모두 견딜 수 있는지도 고려해야한다.
② 발목관절 의지
발목관절 이단은 1842년 싸임(Syme)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현재는 초기에 비하여 절단단의 외관이 더 좋아지긴 했지만, 절단단의 원위부가 구근처럼 생겨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반면 의지 착용 시 체중부하가 좋고 보행기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③ 무릎아래 의지
무릎아래 의지는 B-K(Below Knee) prosthesis라고 불린다. 무릎 밑에서 절단되는 경우로 하지 절단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하퇴 절단의 90%이상 성공적으로 의지를 착용하고 일상생활 및 보행을 하고 있으며 문제가 거의 없다.
하퇴 절단 시에는 적어도 무릎에서 절단 부위까지 5-7인치, 즉 12.5-17.5cm는 유지 되는 것이 좋으며, 적어도 3-5cm는 있어야 의지를 착용할 수 있고 그보다 짧은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무릎아래 의지는 환부의 길이, 용도, 소켓 유형, 제조사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하퇴의족을 착용하더라도 제작기술의 발달도 일반인과 보행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현재 실리콘 하퇴의족이 가장 대중적이며, 스포츠형 하퇴의족에 대한 수요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절단 환자에게 적합한 의지를 선택할 때, 환자와 재활 팀은 너무나 많은 종류의 의지부품과 재료 그리고 기술적인 측면을 두고 선택하여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의지의 제작기술, 소켓의 형태, 현가장치, 정렬, 그리고 부품들이 각각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잠점과 단점을 알고 있어야 이를 절단자에게 맞는 요구와 최적의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무릎아래 의지는 의지발 및 발목관절, 하퇴부, 소켓, 그리고 현가장치로 구성된다.
④ 의지발
의지에서 의지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지발의 주요 목적은 인체의 발과 발목관절을 대신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첫째, 정상 관절의 기능을 대신해야 하며, 둘째, 충격흡수 기능을 가져야 하며, 셋째, 안정적인 체중지지를 위한 발바닥 부분이 필요하다. 넷째, 근육의 기능을 대신해야 하며, 다섯째 외관의 기능을 중요시 하여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⑤ 무릎 위 의지
무릎 위 의지란 A-K(Above Knee) prosthesis라고도 불리며 하지 절단의 약 3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상당수의 환자에서 의지 착용 후 보행이 힘든 경우가 많은데 약 25%정도에서 성공적인 착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처방이 제대로 되고 환자가 열심히 한다면 그보다 더 높은 성공률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임상 경험에서도 많은 대퇴 절단 환자가 성공적인 의지 착용 후 외래를 방문하는 경우를 많이 보아 왔다. 무릎아래 의지와 다른 점은 무릎 관절이 있다는 것과 골반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전면 접착(total suction)시 골반과 연결할 필요가 없지만 상당히 힘든 부분이다.
환부에 따라 회전 장식을 부착 할 수 있고, 무릎관절 의족과 달리 무릎장식에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무릎이 지나치게 꺽이는 것을 방지한다. 무릎 위 의지는 의지발 및 발목관절, 무릎아래 부위, 의지 무릎관절, 무릎 윗부분 및 소켓, 그리고 현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⑥ 무릎 의지
무릎관절 절단 시 사용한다. 무릎 장식에 따라 단축형과 다축형으로 구분되고 소켓 유형은 주로 흡착방식을 이용한다. 무릎 장식의 발달로 거의 정상인들처럼 걸을 수 있다.
⑦ 엉덩이 관절 의지
대퇴골 골두를 제거한 상태 즉 엉덩이관절을 절단했을 때 제작하는 의지로 뛰지는 못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걷고 앉는데 효과적인 의족이 다양하게 있다. 엉덩이 관절의지는 무릎 위 의지에 비해서 의지 엉덩이 관절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4) 의지 착용 훈련
손발의 절단이란 심리적인 큰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안정되고 성숙된 절단단을 만들어 의지의 조기 장착 훈련을 시행하고 궁극적으로는 조기에 사회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5) 평가
절단자의 의지장착훈련의 진행, 소켓의 적합(맞춰짐)평가, 얼라이먼트(alignment)의 평가, 초기 적합, 최종 적합검사를 한다.
② 발목관절 의지
발목관절 이단은 1842년 싸임(Syme)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현재는 초기에 비하여 절단단의 외관이 더 좋아지긴 했지만, 절단단의 원위부가 구근처럼 생겨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반면 의지 착용 시 체중부하가 좋고 보행기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③ 무릎아래 의지
무릎아래 의지는 B-K(Below Knee) prosthesis라고 불린다. 무릎 밑에서 절단되는 경우로 하지 절단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하퇴 절단의 90%이상 성공적으로 의지를 착용하고 일상생활 및 보행을 하고 있으며 문제가 거의 없다.
하퇴 절단 시에는 적어도 무릎에서 절단 부위까지 5-7인치, 즉 12.5-17.5cm는 유지 되는 것이 좋으며, 적어도 3-5cm는 있어야 의지를 착용할 수 있고 그보다 짧은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무릎아래 의지는 환부의 길이, 용도, 소켓 유형, 제조사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하퇴의족을 착용하더라도 제작기술의 발달도 일반인과 보행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현재 실리콘 하퇴의족이 가장 대중적이며, 스포츠형 하퇴의족에 대한 수요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절단 환자에게 적합한 의지를 선택할 때, 환자와 재활 팀은 너무나 많은 종류의 의지부품과 재료 그리고 기술적인 측면을 두고 선택하여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의지의 제작기술, 소켓의 형태, 현가장치, 정렬, 그리고 부품들이 각각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잠점과 단점을 알고 있어야 이를 절단자에게 맞는 요구와 최적의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무릎아래 의지는 의지발 및 발목관절, 하퇴부, 소켓, 그리고 현가장치로 구성된다.
④ 의지발
의지에서 의지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지발의 주요 목적은 인체의 발과 발목관절을 대신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첫째, 정상 관절의 기능을 대신해야 하며, 둘째, 충격흡수 기능을 가져야 하며, 셋째, 안정적인 체중지지를 위한 발바닥 부분이 필요하다. 넷째, 근육의 기능을 대신해야 하며, 다섯째 외관의 기능을 중요시 하여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⑤ 무릎 위 의지
무릎 위 의지란 A-K(Above Knee) prosthesis라고도 불리며 하지 절단의 약 3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상당수의 환자에서 의지 착용 후 보행이 힘든 경우가 많은데 약 25%정도에서 성공적인 착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처방이 제대로 되고 환자가 열심히 한다면 그보다 더 높은 성공률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임상 경험에서도 많은 대퇴 절단 환자가 성공적인 의지 착용 후 외래를 방문하는 경우를 많이 보아 왔다. 무릎아래 의지와 다른 점은 무릎 관절이 있다는 것과 골반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전면 접착(total suction)시 골반과 연결할 필요가 없지만 상당히 힘든 부분이다.
환부에 따라 회전 장식을 부착 할 수 있고, 무릎관절 의족과 달리 무릎장식에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무릎이 지나치게 꺽이는 것을 방지한다. 무릎 위 의지는 의지발 및 발목관절, 무릎아래 부위, 의지 무릎관절, 무릎 윗부분 및 소켓, 그리고 현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⑥ 무릎 의지
무릎관절 절단 시 사용한다. 무릎 장식에 따라 단축형과 다축형으로 구분되고 소켓 유형은 주로 흡착방식을 이용한다. 무릎 장식의 발달로 거의 정상인들처럼 걸을 수 있다.
⑦ 엉덩이 관절 의지
대퇴골 골두를 제거한 상태 즉 엉덩이관절을 절단했을 때 제작하는 의지로 뛰지는 못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걷고 앉는데 효과적인 의족이 다양하게 있다. 엉덩이 관절의지는 무릎 위 의지에 비해서 의지 엉덩이 관절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4) 의지 착용 훈련
손발의 절단이란 심리적인 큰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안정되고 성숙된 절단단을 만들어 의지의 조기 장착 훈련을 시행하고 궁극적으로는 조기에 사회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5) 평가
절단자의 의지장착훈련의 진행, 소켓의 적합(맞춰짐)평가, 얼라이먼트(alignment)의 평가, 초기 적합, 최종 적합검사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