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특별한 합병증이 없으면 수술 후 첫날 또는 둘째 날부터 이상을 위해 침대에서 췰체어로 또 그 반대로 이동하는 운동을 한다.
④절단부 통증
⑤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수술 부위 통증의 증가. 심한 압통, 절단부 부종의 증가, 봉합 주위를 피부 괴저. 상처에서의 농성배액의 유무등 감염과 관련된 증상을 유의해서 관찰한다.
⑥신체상 손상으로 인한 신체상 장애
(2)수술 후 합병증
①출혈
절단 수술 후 약간의 출혈이나 배액은 정상이나 출혈이 심하면 즉시 보고해야 한다.
②혈종
혈종은 수술 후 상처 치유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감염성 박테리아의 배지가 되므로 위험
->수술 봉합 부위를 유심히 관찰한다.
③절단부 부종
붕대를 균일하게 감지 못하면 절단부의 모양이 적당한 형태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일정하게 붕대를 감는 것이 중요
④피부합병증
수술 후 봉합부의 치유가 지연되면 피부괴저가 생길 수 있다.
⑤관절구축
석고붕대를 하지 않는 한 고 관절 경축, 절단부 외전경축, 무릎 굴절 경축, 수족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쉽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 후 24∼48시간 이후에는 베개를 절단부에 고여주거나 절단부를 거상 시키지 않는다.
절단부가 외회전 되지 않도록 체위를 취해 주고 절단부를 규칙적으로 내전시킨다.
⑥환상지감
절단에 없어진 부분이 존재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이 감각은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법은 없으나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 해 줌으로써 환자가 환상지감을 수용하도록 도와준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나타나나, 대부분 의지 장착 후 감소되거나 사라진다.
⑦수술 후 상처감염증
감염에 대한 증상과 징후로서는 갑작스런 발열, 한기 발한. 절혈구 침강 속도의 증가. 백혈구의 증가 들을 들 수 있다.
7. 재활과 의지사용
절단수술 후 환자는 보행을 위하여 의족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재활의 과정이 필요하다.
1)환자가 달성해야 할 재활의 목적
①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여 근육 강도와 지구력을 증가
②절단부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기 전까지는 체중 부하를 통제
③새로운 의족 사용을 연습하여 능숙하고 자연스러운 보행이 되도록 한다.
2)금기사항
-둔부나 술부 아래 배게를 놓는다.
-침대에 단단부를 걸쳐 놓는다.
-휠체어에 단단부를 걸쳐 놓는다.
-척추를 구부린다.
-둔부나 술부를 굴곡 시킨 채 눕는다.
-대퇴사이에 베개를 놓는다.
-단단부를 외전한다.
-목발 손잡이 위에 단단부를 놓는다.
3)의지 장착을 위한 절단단의 준비
①일반적으로 절단 후 의지 장착의 시기
수술 직후나 상처가 치유된 직후(수술 후 약 7-10일)나, 상처가 치유된 후 조기(수술 후 약 2-3주)에 임시 의지를 착용하고 후에 완전한 의지를 착용할 수도 있고, 절단단이 완전 성숙한 뒤 (수술 후 약 2-3개월)에 한 번에 완전한 의지를 착용할 수도 있다.
②절단단을 성숙시키는 방법
-붕대고정법: 탄력 붕대나 고무 붕대를 사용하여, 절단단의 끝에서부터 위쪽으로 감아 올라가 절단단을 원추형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상처를 관찰할 수 있고 특별한 재료나 장치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주 감아 주어야 하고, 감는 방법이 불완전하면 오히려 절단단의 부종을 악화 할 가능성이 있다.
-견고한 고정법: 절단 직후 마취 하에서 석고 붕대로 절단단을 감싸는 방법이다. 절단단의 부종을 예방하고, 임시 의족을 석고 붕대에 연결하여 조기 보행을 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처를 관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덜 견고한 고정: 쉽게 교환할 수 있고 상처의 손상이 작은 장점이 있으나 조기보행은 할 수 없다.
4)의족 착용 후 합병증
①절단부의 피부 손상
-의지사용 훈련을 방해하고 병원 입원 기간을 장기화 시킨다. 증상은 일단 치유된 상처가 헐거나 수포나 괴사가 생긴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 후 의지 착용으로 처음 보행을 시작할 단계에서 자주 절단 부면을 관찰하고 만약 피부 자극이나 찰과상이 있으면 의지 착용을 잠시 중단한다.
②절단부 허약 또는 전신 허약증
노약자에게 흔하므로 근육의 힘과 내구력을 길러 준다.
③절단부 간호
*발적, 수포, 찰과상의 유무를 살핀다.
*절단부 청결을 위하여 매일 부드러운 비누로 씻고 잘 닦은 후 말린다. 청결 후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는다. 알코올은 피부를 너무 건조 시키고 기름이나 크림은 절단부를 너무 부드럽게 하여 의지 사용에 불편을 준다.
5)의지관리
의지를 매일 점검하여 땀과 먼지를 제거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