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관련 용어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KAN (Korean Article Number)

2. KAN-13(표준형)

3. KAN-8(단축형)

4. 표준 물류코드 체계 및 바코드 심볼(EAN-14, ITF)

5. 표준물류코드체계

6. 용응식별자 (AI : Application Identifier)

7. 보충정보용 바코드 심볼(UCC/EAN-128)

8. Source Marking(소스마킹)

9. In-store Marking(인스토아마킹)

10. Film Master(필름마스터)

11. POS시스템(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

12. EOS (Electronic Order System : 보충발주 시스템)

13. Bar Code (바코드)

14. 2차원 바코드( 2D Barcode)

15.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 효율적 소비자 대응)

16. ABC (Activity Based Costing : 활동원가회계)

17. QR (Quick Response : 소비자 즉시 대응)

18. EC( Electronic Commerce ; 전자상거래)

19.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20. EFTS (Electronic Fund Transfer System : 전자자동이체 시스템)

21. PDS (Pose Data Service)

22. KAN 상품정보 D/B

본문내용

맺었다는 경위를 갖고 있다.두 번째는 좁은 의미로서 ERP 개념의 실현을 위한 “통합형 업무 패키지 소프트웨어”자체를 가리킨다. 요즈음 “ERP"라고 할 경우는 ERP 팩키지 소프트웨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좁은 의미로서 ER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다국적 , 다층화, 다언어 등에 의한 글로벌 대응이 가능하고- 기업활동전반에 걸친 업무기능이 “Best Business"실행용으로 제공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에 의한 리엔지니어링 자원이 가능하며- 원장형 통합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는 중앙데이터베이스를 중간매체로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ERP의 업무 프로세스가 통합되어 있고- 미리 장착된 업무기능을 각각의 설정으로 자사에 맞게 선택후 설정할수 있고,- 하드웨어 업체에 의존하지 않는 개방형태를 채용한다.20. EFTS (Electronic Fund Transfer System : 전자자동이체 시스템)EFTS란 전자적인 정보교환방법으로 자금용 결제시스템이다. EFTS는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발달을 배경으로 미국의 은행업계가 팽창하는 사무처리에 대응하기 위해서 개발했다. EFTS는 기업간 뿐만 아니라 타인과 기업간의 자금이동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때문에 전자적인 결제수단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CD(Cash Dispenser : 현금자동지급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 현금자동입출금기), POS 시스템 등도 EFTS를 구성하는 시스템의 하나이다.최근에는 EFTS가 Home Banking, Firm Banking까지도 일컫는 용어이다. 기술적으로는 EFT와 관련 EDI에 의해 자금이체가 자동화된다.21. PDS (Pose Data Service)POS데이터 서비스란 POS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유통업체의 소매점포로부터 상품의 판매기록이 되어 있는 POS 데이터화일을 수집, 분석하여 개별상품 등에 대한 판매정보, 시장 점유율 및 고개동향 등 관련정보를 제조업체, 유통업체에 제공함므로써 효율적인 마아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POS 데이터 분석 가공서비스를 말한다. 국내의 경우에는 (재)한국유통정보센터가 중심이 되어 관련 실험을 95년부터 97년까지 3차례 실시하였고 98년부터는 상용화를 위한 본격적인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POS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 각 업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POS정보를 유통 각 단계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유통산업의 전반적인 정보화 체계 구축 및 경제성, 효율성이 제고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정보의 이용기회가 적은 중소기업 및 지방기업도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수 있어 정보의 편재화를 방지할 수 있다.- POS데이터를 표준양식에 의해 수집, 활용함으로써 POS시스템의 표준화를 촉진시켜 유통정보시스템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POS 데이터 수집분석시, KAN코드를 이용함으로써 KAN코드 마스터 파일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POS데이터 서비스 참여소매점에서는 타 점포와의 비교분석보고서가 제공되어 자사 점포운영에 POS 데이터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VAN 업체를 비롯한 마케팅 조사, 분석업체에서는 데이터 수집, 포맷변화, 에러 데이터의 삭제 등 번잡한 데이터 가공 및 통합 작업을 하지 않아도 유용한 POS 데이터를 입수 할 수 있기 때문에 POS데이터 분석 조기 확대 및 효율적 운영이 가능해진다.
22. KAN 상품정보 D/BKAN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란 각 상품에 부여된 KAN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품관리 및 검색에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POS시스템의 운영이나 POS 데이터를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품정보(KAN코드와 관련속성 정보)가 필요한데, 관련기업이 개별적으로 수집하는 경우, 상품코드정보의 수집, 정비비용이 매우 많이 소모된다. 특히 유통업체가 POS시스템을 처음 도입할 때는 상품마스터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어 POS시스템 보급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종합적이며 공적인 기관인 (재)한국유통정보센터가 KAN상품정보를 일괄적으로 수집하여 PC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유통전체의 정보화합리화를 촉진시키고 있다.일반적으로 신상품의 경우 품목코드를 부여하고 있는 제조업체로부터 KAN정보를 수집, 해당 분류코드를 첨가하고 있으며, 매월 POS Data 서비스참여업체로부터 신상품 D/B화일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망라성 즉 히트율(Hit)을 제고하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0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