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서론
ⅱ . 아방가르드의 개념
ⅲ . 아방가르드의 특징
ⅳ . 아방가르드적 무용예술
ⅴ . 아방가르드적 무용예술의 주요인물
a . 머스 커닝햄
b . 저드슨 댄스그룹
c . 존 케이지
ⅵ . 결론
ⅱ . 아방가르드의 개념
ⅲ . 아방가르드의 특징
ⅳ . 아방가르드적 무용예술
ⅴ . 아방가르드적 무용예술의 주요인물
a . 머스 커닝햄
b . 저드슨 댄스그룹
c . 존 케이지
ⅵ . 결론
본문내용
안으로 포섭 하며 의상또한 일상복장과 유사하다. 이들 그룹은 또한 해프닝적 요소를 받아들여 퍼포먼스처럼 행해진다. 원래의 현대무용은 전문적이고 고난이도기 때문에 장기간의 연습시간을 필요로하여 시즌/비시즌이 있어야하는데 이들은 일상과 무용을 통합하려했기 때문에 그럴 필요가 없었다.
c . 존 케이지
는 미국의 작곡가였다. 우연성 음악의 개척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조작된 피아노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음렬주의, 전자 음악 등의 음악을 작곡하였다. 대표작으로 4분 33초, 가상 풍경(Imaginary Landscape) 등을 작곡했다.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하였다. 1년정도 쉰베르크의 제자였던 적이 있으나 화성이나 이론에는 자기적성에 맞지않아 유럽으로 떠났다.
'4분 33초‘
무대에 나가 인사를 하고 피아노 앞에 앉아 4분33초 동안 앉아 있다가 일어나서 인사하고 퇴장한다. 청중은 가만히 앉아서 다른 바깥에서 나는 잡음을 들을 수 있는데, 청중들의 기침 소리나 소곤거림이 이 작품의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그는 관객들을 동적 주체가 되도록 한다. 그가 1950년대 초부터 시도한 불확정성이라든가 우연에 의한 조작 이라는 음악의 방법은 이러한 사상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다. 연주 현장에서 우연적으로 만들어진 자연스런 소리들이 결국 이 작품을 구성하면서 이른바 우연성의 음악(chance music)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ⅵ . 결론
20세기 초 등장한 아방가르드는 전통적인 것과 인습적 요소 들을 거부하며 혁신적인 변화와 새로움을 추구함으로써 무용계는 물론이 거니와 전 예술계에 획기적인 진보를 가져다주는 계기가 되었다. 미래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구성주의 등 여러 예술 사조를 아우를 만큼 그 시대도 길뿐더러 정치, 문학, 예술, 종교 등까지도 영향을 미쳤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새로움이 그들에겐 더 이상 새로움이 아니었으며 그저 실행에 옮길 뿐이었다. 새롭고 독창적인 것들이 모든 시대에 있어서 예술적으로 가치 있는 것의 특징이 되는 속성이며 창작의 밑거름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보수적이고 고루하기보다는 보다 독특하고 자유로운, 그렇지만 그 속의 개념과 진실성이 담긴 참신한 것들을 우리는 계속해서 추구해야 할 것 이다.
◈ 출처 ◈
아드리안 마리노(1984) - 아방가르드는 어떻게 정의 되는가, 외국문학제1호
조앤 카스- 역사속의 춤
김기택 -모더니즘의 이념적 근거에 대한 접근中‘아방가르드’
c . 존 케이지
는 미국의 작곡가였다. 우연성 음악의 개척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조작된 피아노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음렬주의, 전자 음악 등의 음악을 작곡하였다. 대표작으로 4분 33초, 가상 풍경(Imaginary Landscape) 등을 작곡했다.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하였다. 1년정도 쉰베르크의 제자였던 적이 있으나 화성이나 이론에는 자기적성에 맞지않아 유럽으로 떠났다.
'4분 33초‘
무대에 나가 인사를 하고 피아노 앞에 앉아 4분33초 동안 앉아 있다가 일어나서 인사하고 퇴장한다. 청중은 가만히 앉아서 다른 바깥에서 나는 잡음을 들을 수 있는데, 청중들의 기침 소리나 소곤거림이 이 작품의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그는 관객들을 동적 주체가 되도록 한다. 그가 1950년대 초부터 시도한 불확정성이라든가 우연에 의한 조작 이라는 음악의 방법은 이러한 사상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다. 연주 현장에서 우연적으로 만들어진 자연스런 소리들이 결국 이 작품을 구성하면서 이른바 우연성의 음악(chance music)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ⅵ . 결론
20세기 초 등장한 아방가르드는 전통적인 것과 인습적 요소 들을 거부하며 혁신적인 변화와 새로움을 추구함으로써 무용계는 물론이 거니와 전 예술계에 획기적인 진보를 가져다주는 계기가 되었다. 미래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구성주의 등 여러 예술 사조를 아우를 만큼 그 시대도 길뿐더러 정치, 문학, 예술, 종교 등까지도 영향을 미쳤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새로움이 그들에겐 더 이상 새로움이 아니었으며 그저 실행에 옮길 뿐이었다. 새롭고 독창적인 것들이 모든 시대에 있어서 예술적으로 가치 있는 것의 특징이 되는 속성이며 창작의 밑거름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보수적이고 고루하기보다는 보다 독특하고 자유로운, 그렇지만 그 속의 개념과 진실성이 담긴 참신한 것들을 우리는 계속해서 추구해야 할 것 이다.
◈ 출처 ◈
아드리안 마리노(1984) - 아방가르드는 어떻게 정의 되는가, 외국문학제1호
조앤 카스- 역사속의 춤
김기택 -모더니즘의 이념적 근거에 대한 접근中‘아방가르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