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호수 수질관리 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호소수의 세계 동향

본 론 I. 덕진공원 연못
Ⅱ. 해외 호소수 관리 사례
Ⅲ. 국내 호소수 관리 사례
Ⅳ. 처리 공법

결 론 덕진 연못의 처리 공법 적용

본문내용

방지한다
결 론
현재 덕진연못의 수질관리는 특별히 하고 있지 않으며 연꽃의 수질정화기능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유입유량이 부족하여 증발에 의한 연못의 유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 수심 30cm이상 감소하여 수질의 오염도가 증가하고 있다.
덕진연못의 수심은 1-1.5m 정도로 매우 얕고 물의 순환이 없어 연못의 자정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수질 악화가 더욱 심화 되는 것 같다.
그래서 현재 덕진연못에서 하고 있는 수질관리 방법에 대해 우리 나름대로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첫 번째는 바로 유량확보가 안되고 있다는 점이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덕진호수의 유량확보는 전적으로 우수와 지하수로 이루어지고 있다.
비가 많이 오는 여름, 가을에는 물이 많아 전주천으로 흐르고 겨울과 봄에는 가뭄으로 인해 수심 30cm이상 감소하여 수질의 오염도가 증가하고 있다.
두 번째로 전북대학교 기숙사 근처에서 덕진공원 방향으로 하수가 흐르는데 지금은 바위와 흙으로 막아 다른 하천으로 흐르도록 방향을 바꿔 놓았지만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엔 유량이 많아져 둑을 넘어 호수로 하수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세 번째로 여름과 가을에 호수의 1/3정도를 뒤덮을 정도의 푸르른 연잎과 아름다운 연꽃을 보기위하여 봄과 겨울에 앙상한 줄기만 보이게 한다는 점이다. 이는 미관상 안 좋을 뿐 아니라 부영양화를 일으킬 우려가 충분히 있다.
시든 연잎이나 연꽃 등의 식물로부터 이를 먹이로 하는 조류(藻類,algae)가 왕성하게 생기기 시작하여, 악취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이러한 열악한 환경은 반복되어 결국에는 DO의 부족과 결함은 연못과 호수를 점진적으로 악화시켜 물속에서만 살 수 있는 수중생물체 및 물고기들은 결국 살 수 있는 터전을 잃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어느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문제에서나 항상 빠지지 않는 시민들의 의식과 인식 많이 결여 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주 시민들의 대표적 휴식공간인 덕진공원 연못의 수질관리 방법에 대해서 관리사무소에서도 잘 알지 못하는 현실이 많이 안타까웠다.
외부 업체를 통해 수질을 관리 하는 것도 아니었으며, 만 3천평에 이르는 엄청난 넓이에 이르는 호수의 유일한 관리법은 풍력과 태양력을 이용하여 연못에 물결을 일으켜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기구 단 3대 뿐이었다(그 기구의 명칭도 모르고 있으니 안타까움이 더 크다).
이 기구는 우리가 조사한 처리공법중의 풍차하강류 이용 정화공법과 매우 유사했지만 그 크기가 매우 작았고 조사한 내용과는 다르게 하층의 물까지 순환시키기는 어려워 보였다. 다른 기계적인 모터장치 없이 자연에너지만으로 움직이는 기구여서 큰 수질개선 효과를 보기 힘들 듯 했다.
이러한 현실에 놓여있는 덕진 연못을 우리가 조사한 사례에서의 공법 및 기술을 알맞게 적용시키면 수질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질 것 같다.
먼저 가장 문제시 되었던 유량확보!
유량확보방안으로 우수를 확보하는 것인데 덕진공원 주변지역의 우수를 우수관을 통해 전주천으로 방류하는 것보다 그 물을 수집하여 간이처리장을 만든 후 다시 덕진연못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집수관을 설치하는 것이 좋은 방안인거 같다.
또한 여름철 많은 비로 범람 위험을 항상 가지고 있는 전북대학교 기숙사 쪽의 둑을 없애고 대신 그 하수의 수질개선을 위해 유입수에 UDFW공법을 사용하여 유입수의 수질을 개선하고 지하수를 통한 지속적인 덕진연못의 유량을 확보한다면 더욱 맑고 깨끗한 덕진연못으로 이름을 높이게 될 것이다.
두 번째로 황토경량체를 이용한 황토경량체 정화공법은 지금 현재 덕진호에서 수질정화방법의 한가지로 연꽃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인위적인 황토경량체를 만들어 그 위에 식물을 성장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흡수하는 산소로 인해 호소내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세 번째로 현재 녹조류가 많이 있으므로 녹조류 제거 장치를 통해 투명도를 높이고 산소공급 및 연못의 물의 순환을 위해 올로이드 장치를 사용하여 연못에 산소공급 및 순환을 일으켜 자정작용을 일으키는 방법 또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풍차하강류 이용 정화방법의 규모를 확대시켜 깊은 수심까지 물을 순환시키고 공기가 유입되면 스스로의 자정작용에 의한 수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영양화를 막는 것이다.
연꽃은 질소 인을 흡수하여 수질개선에 도움이되므로 지금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하며 연꽃이 지면 수거하여 부영양 물질로 변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여러 공법들 중 경제성이나 적합성을 적절히 조화시켜 덕진호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좀 더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를 덕진호에서 즐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비록 수업발표를 위해 덕진호의 호소수 처리방법에 대해서 조사를 시작했지만 생각과는 달리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환경공학도로서 많은 책임감을 느꼈던 시간이었다. 이 조사를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덕진호의 수질에 관심을 갖고 더 나은 수질로 변해가기를 바라는 바이다.
※ 참고
부산광역시 시의회 / 기획재정위원회
첨단환경기술 2009
호수수질 관리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4)
용산가족공원 : Http://parks.seoul.go.kr/park/common/park_info/park_info_detail.jsp?p_idx=29&p_cate=4
보라매공원 http://parks.seoul.go.kr/template/default.jsp?park_id=boramae
여의도공원 : http://parks.seoul.go.kr/park/common/park_info/park_info_detail.jsp?p_idx=21&p_cate=2&f_idx=106&m_idx=111
풍차하강류 이용 정화장치 : 한빛환경주식회사 HTTP://WWW.HANBEET.COM
녹조류 제거 장치 : 아태수기엔지니어링㈜ HTTP://WWW.APWTECH.CO.KR
신휴저수지 : http://egosio.epmap.egosio.com/d/?epid=신휴저수지&domain=이고시오
인터뷰 : 전주시설관리공단 덕진공원 관리사무소 직원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9.06.11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