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책사업을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와 민간단체가 협의하여 펼쳐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분담,공 사의 역할 분담들이 확실시하여 서로에게 떠맡기는 식의 행정은 있어서는 안된다.아동과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과 성격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여 앞으로는 청소년복지와 정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일반 청소년과 다를바 없는 요보호청소년에 대한 대책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청소년정책을 수립하고, 소관 부처간에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체계를 구축하며, 적정한 규모의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청소년 수련활동에 대한 편중에서 벗어나 청소년들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로 청소년들 스스로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할것이다.
추천자료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제도][아동복지실천][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체계][아동...
[사회복지학]아동복지의 발전과정과 문제점 및 실천방향(A+리포트)
학교중퇴 청소년을 위한 복지정책
건강가정기본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아동복지법에대해
[아동 및 청소년 복지정책의 분석] 아동정책과 청소년정책의 통합 및 아동, 청소년정책의 정...
청소년 아르바이트-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와 문제점 고찰
청소년 복지론 1~10장 요약 정리
[청소년복지]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을 설명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4년 1학기 청소년육성제도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정책의특징 비교)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기본법의 주요 내용과 특징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 개정의 의의와 주...
[사회복지 정책론] 학대아동 보호정책 (아동학대 정의 및 유형, 정책의 필요성, 학대아동 보...
행정administration·정책연구에 있어서 시간과 관련한 논의의 전개 및 행정·정책 활동의 소요...
최근 영유아보육법 제정 및 개정 등을 통해 영유아와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보육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