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영화의 CG기술
2. 자귀모의 특수효과
3.자귀모에 쓰인 여러 가지 CG기법 분석
4. 퇴마록
5. 퇴마록에 쓰인 여러가지 CG기법 분석
2. 자귀모의 특수효과
3.자귀모에 쓰인 여러 가지 CG기법 분석
4. 퇴마록
5. 퇴마록에 쓰인 여러가지 CG기법 분석
본문내용
t 를 사용한 것이 되었다. 대개 광량이 적은 실내에서는 Greenmat 가 더 효과적인데 반해 Bluemat 는 광량이 많은 야외에서 사용 할 때가 더 많다.
퇴마사들을 뒤쫓던 특수기동대(s.w.a.t)가 폭발로 인해 살상당하는 장면의 Key Point는 액션의 타이밍과 조명의 방향. "씨네온"으로 합성을 하고, 하수구가 사각형 모양인데 비해 불길은 원형을 유지하므로 "Elestic reality" 라는 몰핑 프로그램으로 균형을 잡아주는 작업을 했다.
준후가 가지고 놀다 지하통로로 빠진 월향검이 솟아오르는 이 장면은 실제에 가까운 월향검의 구현, 빈 통로를 촬영당시 광량의 방향과 카메라의 렌즈 종류를 계산했으며 월향검의 디자인은 3D animation으로 작업했다. 사용 프로그램은 "Explore"이다.
악령의 제의가 시작되는 사교집단의 하늘은 수조에 맑은 물을 담고 먹물 을 쏟은 후 퍼지는 효과를 이용 촬영을 한 후, 사교집단의 하늘과 합성을 했다.
게임에 진 준후가 분에 못 이겨 게임기 속의 괴물을 현실로 불러내 싸우 는 이 내용은 카메라가 패닝되는 움직임을 고려 원근감을 주었다. 무엇보 다 괴물의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착지한 느낌을 주기위해 "frame by frame" 작업을 어렵게 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난제는 머리위에 있는 형광등이다. 형광불빛이 괴물 형상에 자연스럽게 굴절 및 투과 되는 것까지 계산을 해야 했다. 게임기 속의 괴물은 본래 살색을 띄었으나 사실감 있게 배경을 무과 시키는 반투명효과를 냈다. 괴물 캐릭터 사용 프로그램은 "Houdini"와 "Renderman" 을 사용했다.
퇴마사들을 뒤쫓던 특수기동대(s.w.a.t)가 폭발로 인해 살상당하는 장면의 Key Point는 액션의 타이밍과 조명의 방향. "씨네온"으로 합성을 하고, 하수구가 사각형 모양인데 비해 불길은 원형을 유지하므로 "Elestic reality" 라는 몰핑 프로그램으로 균형을 잡아주는 작업을 했다.
준후가 가지고 놀다 지하통로로 빠진 월향검이 솟아오르는 이 장면은 실제에 가까운 월향검의 구현, 빈 통로를 촬영당시 광량의 방향과 카메라의 렌즈 종류를 계산했으며 월향검의 디자인은 3D animation으로 작업했다. 사용 프로그램은 "Explore"이다.
악령의 제의가 시작되는 사교집단의 하늘은 수조에 맑은 물을 담고 먹물 을 쏟은 후 퍼지는 효과를 이용 촬영을 한 후, 사교집단의 하늘과 합성을 했다.
게임에 진 준후가 분에 못 이겨 게임기 속의 괴물을 현실로 불러내 싸우 는 이 내용은 카메라가 패닝되는 움직임을 고려 원근감을 주었다. 무엇보 다 괴물의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착지한 느낌을 주기위해 "frame by frame" 작업을 어렵게 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난제는 머리위에 있는 형광등이다. 형광불빛이 괴물 형상에 자연스럽게 굴절 및 투과 되는 것까지 계산을 해야 했다. 게임기 속의 괴물은 본래 살색을 띄었으나 사실감 있게 배경을 무과 시키는 반투명효과를 냈다. 괴물 캐릭터 사용 프로그램은 "Houdini"와 "Renderman" 을 사용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