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등장인물
1) 아만다 윙필드(어머니)
2) 로라 윙필드(아만다의 딸)
3) 톰 윙필드(아만다의 아들)
4) 짐 오코너(젊은 신사 방문객)
2. 상연을 위한 각서(覺書)
3. 스크린의 수법
4. 음악
5. 조명
1) 아만다 윙필드(어머니)
2) 로라 윙필드(아만다의 딸)
3) 톰 윙필드(아만다의 아들)
4) 짐 오코너(젊은 신사 방문객)
2. 상연을 위한 각서(覺書)
3. 스크린의 수법
4. 음악
5. 조명
본문내용
래 로라의 음악이다. 그래서 로라와 그녀를 상징하는, 아름답고 부서지기 쉬운 유리 세공품에 극의 초점이 맞춰질 때에 가장 명료하게 들려온다.
5. 조명
이 극의 조명은 사실적이 아니다. 추억이라는 분위기에 알맞게 무대는 어슴푸레하다. 조명의 초점은 선택된 장소나 인물에게 맞춰지며, 때로는 장면의 중심이라고 할 위치와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에를 들면, 톰과 아만다가 언쟁하는 장면에서는 전혀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로라의 모습에 가장 밝은 빛이 집중된다. 그와 똑같이 저녁식사 장면에서도 소파에서 침묵을 지키고 있는 로라의 모습이 시각의 중심에 시종 있어야 한다. 로라에게 비치는 조명은 다른 인물과는 구분되며, 성녀나 성모를 그린 초기의 종교화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하고 소박한 밝음을 띠지 않으면 안 된다. 가령 옐 그레코의 종교화에서는 비교적 어슴푸레한 분위기 속에서 인물의 모습이 빛나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조명이 이 극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그것은 또한 스크린의 사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 것이다.) 자유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조명은 다소 정적(靜的)인 극에 사용될 때 유동감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점에서 절대적인 가치를 발휘한다.
5. 조명
이 극의 조명은 사실적이 아니다. 추억이라는 분위기에 알맞게 무대는 어슴푸레하다. 조명의 초점은 선택된 장소나 인물에게 맞춰지며, 때로는 장면의 중심이라고 할 위치와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에를 들면, 톰과 아만다가 언쟁하는 장면에서는 전혀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로라의 모습에 가장 밝은 빛이 집중된다. 그와 똑같이 저녁식사 장면에서도 소파에서 침묵을 지키고 있는 로라의 모습이 시각의 중심에 시종 있어야 한다. 로라에게 비치는 조명은 다른 인물과는 구분되며, 성녀나 성모를 그린 초기의 종교화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하고 소박한 밝음을 띠지 않으면 안 된다. 가령 옐 그레코의 종교화에서는 비교적 어슴푸레한 분위기 속에서 인물의 모습이 빛나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조명이 이 극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그것은 또한 스크린의 사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 것이다.) 자유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조명은 다소 정적(靜的)인 극에 사용될 때 유동감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점에서 절대적인 가치를 발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