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개와 구성
2. 인물
3. 어휘
2. 인물
3. 어휘
본문내용
벨 수 (베어 죽임) 결심할 수 끊을 수 다를 수
* 無非(무비) 그렇지 않음이 없음. 모두
* 無非所(무비소) ~하지 않은 바가 없다.
* 所自出(소자출) 사물이 나온 근본(根本). 출처(出處). 유래한 곳.
* 所由(소유) 말미암은 바 거쳐지나온 길 유래(由來)
지방(地方)의 낮은 벼슬아치 당대(唐代)의 벼슬 이름.
* 所由施(소유시) 말미암아 베풀어진 바.
* 禮樂(예악) 예절과 음악
* 敎化(교화) 교육(敎育)하여 감화(感化)시킴. 가르쳐 착한 사람이 되게 함
佛敎진리(眞理)를 가르쳐 선(善)으로 인도함.
* 典章(전장) 제도(制度)나 법령(法令)등의 총칭.
* 文物(문물) 예악(禮樂)전장(典章)제도(制度)의 총칭
색깔과 모양. 문채와 모양.
수레복장기(旗)의장(儀仗) 따위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문헌(文獻)과 유물
* 矣乎(의호) 말이 끝난 뒤 여운을 남기는 조사. 영탄의 조사.
* 如何(여하) 어찌함. 어떻게. 어떻게 하면.
어찌하여. 왜 어떠한가.
* 耳 귀 이 뿐 이 (따름) 어조사 이
* 人主(인주) 임금. 인군. 인목(人牧).
* 有志(유지) 어떤 일에 뜻이 있음. 또는 그 사람.
* 不可不(불가불) 하지 않을 수 없음. 부득불(不得不)
* 舍 집 사 여관 사 머무를 사 둘 사 버릴 사 (내버림, 제거함)
* 何以(하이) 무엇으로. 어떻게 어째서. 왜
차이가 없음. 또는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반문의 말
* 以來(이래) 과거 어느 일정한 때부터 지금까지 이후(以後)
*沈潛(침잠) 물속에 깊이 잠김. 침착하고 감성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음. 덕화(德化)가 깊이 젖어듦.
마음을 가라앉히고 생각을 가다듬음.
* 參考(참고) 살펴서 생각함. 대조(對照)하여 생각함.
* 融會(융회) 녹여서 모음. 또는 자세히 이해함.
* 貫通(관통) 꿰뚫어서 통함.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연결됨.
모두 이해하고 환히 앎.
조리가 정연함. 문맥 같은 것의 앞뒤가 통함.
* 融會貫通(융회관통) 여러 가지 지식이나 도리를 융합하여 총체적으로 철저히 이해함.
* 折衷(절충)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고 둘을 조화시켜 알맞은 것을 얻음.
* 禹謨(우모),大禹謨(대우모) 서경(書經)의 편명(篇名).
군신(君臣) 사이의 가언(嘉言) 및 선정(善政)등을 내용으로 함.
* 奧旨(오지) 매우 깊은 뜻. 오의(奧義)
* 手澤(수택) 책그릇 따위에 자주 손이 닿아서 생기는 광택
선인의 필적이나 유물(遺物)을 이르는 말
* 引用(인용) 남의 글이나 말의 한 부분을 끌어 씀. 남을 채용함.
* 識別(식별지별) 잘 알아서 가려 냄. 표(標)하여 구별이 되게 함.
* 化工(화공) 조화(造化)의 교묘함. 자연의 창조력(創造力)을 이름.
* 猶 원숭이 유 망설일 유 같을 유(마치 -같다.) 오히려 유
* 精深(정심) 자세하고 깊음. 정밀하고 심오함.
* 造 지을 조 시작할 조 이룰 조 이를 조 (옴. 감. 도달함)
* 訓(훈고) 경서(經書)나 고문(古文)의 자구(字句)의 해석
* 大略(대략) 대체적인 요지(要旨) 큰 계략. 원대한 책략(策略)
----------------------------------------------------------------------------------------------
*** 참고 문헌 ***
≪大漢韓辭典≫ (株)敎學社 (2005년) → ≪대한한사전≫ (주)교학사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2001년) → ≪한한대자전≫ 민중서림
≪금성필수한자사전≫ 금성출판사 (2005년)
----------------------------------------------------------------------------------------------
* 無非(무비) 그렇지 않음이 없음. 모두
* 無非所(무비소) ~하지 않은 바가 없다.
* 所自出(소자출) 사물이 나온 근본(根本). 출처(出處). 유래한 곳.
* 所由(소유) 말미암은 바 거쳐지나온 길 유래(由來)
지방(地方)의 낮은 벼슬아치 당대(唐代)의 벼슬 이름.
* 所由施(소유시) 말미암아 베풀어진 바.
* 禮樂(예악) 예절과 음악
* 敎化(교화) 교육(敎育)하여 감화(感化)시킴. 가르쳐 착한 사람이 되게 함
佛敎진리(眞理)를 가르쳐 선(善)으로 인도함.
* 典章(전장) 제도(制度)나 법령(法令)등의 총칭.
* 文物(문물) 예악(禮樂)전장(典章)제도(制度)의 총칭
색깔과 모양. 문채와 모양.
수레복장기(旗)의장(儀仗) 따위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문헌(文獻)과 유물
* 矣乎(의호) 말이 끝난 뒤 여운을 남기는 조사. 영탄의 조사.
* 如何(여하) 어찌함. 어떻게. 어떻게 하면.
어찌하여. 왜 어떠한가.
* 耳 귀 이 뿐 이 (따름) 어조사 이
* 人主(인주) 임금. 인군. 인목(人牧).
* 有志(유지) 어떤 일에 뜻이 있음. 또는 그 사람.
* 不可不(불가불) 하지 않을 수 없음. 부득불(不得不)
* 舍 집 사 여관 사 머무를 사 둘 사 버릴 사 (내버림, 제거함)
* 何以(하이) 무엇으로. 어떻게 어째서. 왜
차이가 없음. 또는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반문의 말
* 以來(이래) 과거 어느 일정한 때부터 지금까지 이후(以後)
*沈潛(침잠) 물속에 깊이 잠김. 침착하고 감성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음. 덕화(德化)가 깊이 젖어듦.
마음을 가라앉히고 생각을 가다듬음.
* 參考(참고) 살펴서 생각함. 대조(對照)하여 생각함.
* 融會(융회) 녹여서 모음. 또는 자세히 이해함.
* 貫通(관통) 꿰뚫어서 통함.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연결됨.
모두 이해하고 환히 앎.
조리가 정연함. 문맥 같은 것의 앞뒤가 통함.
* 融會貫通(융회관통) 여러 가지 지식이나 도리를 융합하여 총체적으로 철저히 이해함.
* 折衷(절충)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고 둘을 조화시켜 알맞은 것을 얻음.
* 禹謨(우모),大禹謨(대우모) 서경(書經)의 편명(篇名).
군신(君臣) 사이의 가언(嘉言) 및 선정(善政)등을 내용으로 함.
* 奧旨(오지) 매우 깊은 뜻. 오의(奧義)
* 手澤(수택) 책그릇 따위에 자주 손이 닿아서 생기는 광택
선인의 필적이나 유물(遺物)을 이르는 말
* 引用(인용) 남의 글이나 말의 한 부분을 끌어 씀. 남을 채용함.
* 識別(식별지별) 잘 알아서 가려 냄. 표(標)하여 구별이 되게 함.
* 化工(화공) 조화(造化)의 교묘함. 자연의 창조력(創造力)을 이름.
* 猶 원숭이 유 망설일 유 같을 유(마치 -같다.) 오히려 유
* 精深(정심) 자세하고 깊음. 정밀하고 심오함.
* 造 지을 조 시작할 조 이룰 조 이를 조 (옴. 감. 도달함)
* 訓(훈고) 경서(經書)나 고문(古文)의 자구(字句)의 해석
* 大略(대략) 대체적인 요지(要旨) 큰 계략. 원대한 책략(策略)
----------------------------------------------------------------------------------------------
*** 참고 문헌 ***
≪大漢韓辭典≫ (株)敎學社 (2005년) → ≪대한한사전≫ (주)교학사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2001년) → ≪한한대자전≫ 민중서림
≪금성필수한자사전≫ 금성출판사 (200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