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에로스 (Eros)
2. 에로스의 탄생 신화
# 플라톤『향연 - 사랑에 관하여』
3. 에로스와 프시케
4. 에로스와 안테로스
5. 프시케의 상징
6. 프시케의 시련
7. 다시 에로스와 프시케
2. 에로스의 탄생 신화
# 플라톤『향연 - 사랑에 관하여』
3. 에로스와 프시케
4. 에로스와 안테로스
5. 프시케의 상징
6. 프시케의 시련
7. 다시 에로스와 프시케
본문내용
인 경우도 있다. 네 가지인 경우는 3번의 내용이 추가된 것이다.
1) 곡식의 종류를 분류하는 일: 개미떼가 도와줌
2) 황금양의 털을 한줌씩 가져오는 것: 강의 신이 도와줌 혹은 미풍 제피르가 도와줌
3) 계곡의 폭포수를 받아오는 것: 독수리가 도와줌
4) 저승에서 페르세포네에게 단장료를 받아오는 것: 탑과 에로스가 도와줌
프시케는 이런 시련을 통해서 에로스와의 사랑이라는 진정한 행복을 얻게 되었다.
7. 다시 에로스와 프시케
마음, 정신, 영혼이라는 의미와 심리학이란 단어의 어원이 되고 있는 프시케와 에로스의 사랑이야기의 전체적인 줄거리는 오디세우스가 자신 내면 속에 오랫동안 존재하던 진정한 자기 자신인 페넬로페를 찾아간다면, 프시케라는 여주인공은 진정한 자신의 사랑 에로스와 결합하게 된다는 이야기로, 두 이야기는 남성과 여성의 처지에서 바라본 삶의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시련과 고난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얻게 되고, 성숙된 인간의 영혼을 형상해나가는 과정을 프시케의 모습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사랑이란 의심과 더불어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라는 사랑의 성격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바로 ‘에로스와 프시케’의 신화인 것이다.
1) 곡식의 종류를 분류하는 일: 개미떼가 도와줌
2) 황금양의 털을 한줌씩 가져오는 것: 강의 신이 도와줌 혹은 미풍 제피르가 도와줌
3) 계곡의 폭포수를 받아오는 것: 독수리가 도와줌
4) 저승에서 페르세포네에게 단장료를 받아오는 것: 탑과 에로스가 도와줌
프시케는 이런 시련을 통해서 에로스와의 사랑이라는 진정한 행복을 얻게 되었다.
7. 다시 에로스와 프시케
마음, 정신, 영혼이라는 의미와 심리학이란 단어의 어원이 되고 있는 프시케와 에로스의 사랑이야기의 전체적인 줄거리는 오디세우스가 자신 내면 속에 오랫동안 존재하던 진정한 자기 자신인 페넬로페를 찾아간다면, 프시케라는 여주인공은 진정한 자신의 사랑 에로스와 결합하게 된다는 이야기로, 두 이야기는 남성과 여성의 처지에서 바라본 삶의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시련과 고난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얻게 되고, 성숙된 인간의 영혼을 형상해나가는 과정을 프시케의 모습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사랑이란 의심과 더불어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라는 사랑의 성격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바로 ‘에로스와 프시케’의 신화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