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아라리, 육자배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 정선아라리 >
2.1 정선아라리의 유래와 배경
2.2 정선아라리의 내용
2.2.1 사랑의 표출
2.2.2 유희와 풍류
2.2.3 시집살이의 설움
2.2.4 덧없는 세월을 한탄
2.2.5 가난한 삶의 애환과 극복
2.2.6 나라사랑과 통일
2.3 정선아라리의 특징

3. < 육자배기 >
3.1 남도민요
3.2 육자배기의 특징
3.3 육자배기의 내용
3.4 자진육자배기

4. 나가며

본문내용

던 부녀자들은 생활고와 외로움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시의 정서가 반영되어 여성적 정조, 즉, 그리움과 이별을 나타내는 내용이 많이 등장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일제 이후 육자배기는 전문소리꾼의 노래로 인식되어져 온 경향이 있으며, 일본의 대중문화가 들어오면서 우리의 소리가 퇴색되었다. 나승만, <육자배기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식>, 한국민속학회, 1991
3.4 자진육자배기
전라도 소리조를 흔히 “육자배기토리”라고 한다. 그만큼 육자배기는 전라도 민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노래이고, 전라도 음악의 기본이 되는 민요이다. 자진육자배기는 주로 진양조의 육자배기 뒤를 이어 세마치 장단으로 부르는 곡으로, 속도가 더 빨라진다. 육자배기는 농부들이 소박하게 부르기도 하지만, 명창들이 멋지게 불러서 박수를 받는 민요이기도 하다. 특히 옛날 잡가꾼들은 공연을 통해서 육자배기를 많이 불렀다고 하는데, 공연에서 육자배기를 부를 때에는 육자배기 한 곡만 부르지 않고 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삼산은 반락·개고리타령·흥타령을 메들리식으로 잇대어 불렀다고 한다. 국립국악원, <육자배기-자진육자백기>
자진육자배기의 선율형은 육자배기와 같으나, 전체적으로 육자배기보다 구성지고 흐느적거리는 느낌을 준다.
4. 나가며
정선아라리는 어느 한 기능에 밀착되지 않고 노동의 현장에서, 또한 유희의 공간에서 널리 불려졌다. 나물 뜯을 때, 밭 맬 때, 나무할 때, 심지어는 아이를 재울 때 자장가로도 불렸고 잔치 때나 여럿이 둘러앉아 놀 때도 부르는 다기능의 민요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아리랑의 든든한 뿌리가 되는 정선아라리는 이제 정선에 머문 소리만은 아니다. 한국인이 머문 공간이라면 어디에서나 그 구성지고 애잔하면서도 해학적인 정서로 인해 쉽게 빠져드는 소리로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육자배기는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삶이 녹아있는 소리이며, 선율이 유연하면서도 음의 폭이 넓고, 장절의 변화가 다양하여 그 예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대중가요와 외국 음악 등이 만연해 있는 요즘 시대에서, 우리는 점점 퇴색되어가는 우리 소리의 보존을 위해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소리, 즉, 민요의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인데, 학술답사를 통해 우리의 자산인 구비문학을 채록하는 우리들의 작업 또한 작은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진용선, <정선아리랑>, 집문당, 2004
나수부, <이 강산을 울린 아리랑>, 동명출판사, 1996
전신재 외, <강원도 민요와 삶의 현장>, 강원발전연구원, 2005
이현수, <정선아리랑의 전승양상>,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김헌선, <정선아라리로 우리 소리의 부활을 꿈꾸다>, 창비, 2004
안성우, <육자배기의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음악학회, 2000
전지영, <전라남도 민요의 분포와 특징>, 한국민요학회, 2003
나승만, <육자배기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식>, 한국민속학회, 1991
고혜경, 나승만 공저, <남도민요기행 노래를 지키는 사람들>, 문예공론사, 1995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6.1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