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fusion pump
(1) 사용목적
(2) 사용방법 <그림1>
(3)Infusion pump의 기타기능
(4) alarm 종류
(5) 주의사항
2) Syringe pump
(1) 사용목적
...
(1) 사용목적
(2) 사용방법 <그림1>
(3)Infusion pump의 기타기능
(4) alarm 종류
(5) 주의사항
2) Syringe pump
(1) 사용목적
...
본문내용
흡인 시간은 8~12초를 넘어서는 안 되고 심전도 모니터를 감시해야 한다.
- 평균 동맥압, 심박출량, 심박동수 그리고 뇌내압의 변화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해서 흡인 횟수를 제한한다.
4) Nebulizer
(1) 정의
흡입치료기는 콤플레서 모터를 이용하여 준비된 약을 폐포 깊숙한 부위까지 넣어주기 위한 것으로, 약을 0.5~5.5마이크론의 아주 작은 입자로 만들어 분무해 주며 환자가 흡입을 하면 약이 직접 폐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최근에 천식을 치료할 때 약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다.
(2) 사용 목적
기관지 확장제나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를 미세입자로 흡입시키므로 세기관지까지 직접 도달하여 기관지 확장의 효과가 빠르고 객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 흡입요법의 장점
① 증상 발생 부위에 약물이 직접 투여된다(세 기관지를 통해 직접 폐로 전달된다).
②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약물에 비해 부작용이 거의 없다.
③ 약효 발현이 신속하다.
④ 약액이 작은 입자로 분사되므로 폐포 깊숙이 직접 도달된다.
(4) 흡입량과 소요시간
① 약물의 통상적인 흡입량은 3ml(약+ 생리식염수)이고, 흡입 치료횟수는 1일 3~4회 이다.
② 성인에서는 간헐적인 흡입방법에 의해 15분 정도 흡입하고, 소아에서는 연속적인 흡입방법에 의해 8분정도 흡입한다.
(5) 적응증
상, 하기도 감염증, 폐색성 폐질환, 기도 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 내 진한 분비물 이 있을 때 사용한다.
(6) 준비용품
Nebulizer 본체, Nebulizer 세트. 약물(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등), 약물 희석용 생리 식염수, 마우스피스 또는 마스크
◈ 약물의 종류
① ventolin(벤토린)
- 중증의 급성 천식
만성 기관지 경련의 처치
② pulmicort
- 스테로이드 제재
기관지 천식
③ atrovent
- 기도폐쇄성 장애에 기인한 호흡곤란
④ nucomyte
- 객담배출 및 기관지 조영, 기관지경 검사
폐기종, 폐결핵
(7) 사용 전 준비사항
주위 환경, 전원, 기기 등을 점검하고 기기가 정확히 작동하는가를 확인한다.
Nebulizer 의 조립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8) 사용방법
① 환자와 보호자에게 Nebulizer 의 사용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② 사용 전에 객담을 배출시킨다.
③ 소독된 분무기의 윗부분을 열고 처방된 약을 용기에 넣는다.
④ 분무기의 윗부분을 잘 잠그고 마스크 또는 마우스피스를 끼운다.
⑤ 본체를 전원에 연결하고 연결호스로 본체와 약물을 담은 분무기를 연결한다.
⑥ 환자는 상체를 편안하게 눕힌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한다.
⑦ 스위치를 켠 후, 마우스피스 가까이에 입술을 대고 흡입할 수 있을 때 까지 분무 를 들이마시고 잠깐 유지한 후 천천히 숨을 내쉰다.
⑧ 마우스피스를 입에서 떼고 천천히 숨을 내쉰다.
⑨ ⑦번과 ⑧번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며 분무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⑩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하고 간호 기록한다.
⑪ 흡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마스크와 분무기를 분리하여 따뜻한 물이나 흐르는 수돗물에 헹군다. 단, 사용 시 흡입제는 한가지 씩 사용한다.
⑫ 사용후 구강 점막 손상 방지를 위해 가글링 하도록 교육한다.
(9) 합병증
오염된 Nebulizer 세트의 사용으로 인한 하부 호흡기 감염
(10) 사용 시 주의사항
① 담당의의 지시에 따라 1일 3~4회, 1회 10~15분간 실시하도록 한다.
② 방안의 공기는 깨끗하고 신선해야 하며, 맞바람은 피하도록 한다.
③ 약을 흡입 할 때는 특별히 심호흡을 하지 말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정상적인 호 흡을 한다.
④ 습도가 높거나 추운 날은 감기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흡입치료가 끝난 즉시의 외출은 삼간다.
5) EKG Monitor
(1) 입원시 Monitor순서
1. NIBP, EKG, BT, Oxymeter sensor를 부착한다.
2. Monitor 하단 5번째 Adimt/Discharge 버튼을 click한다.
3. 환자의 차트번호와 이름, 성별, 나이를 입력한다.
.
4. NIBP Auto mode를 눌러 early & 60min을 확인한다.
- OFF로 click 되어 있으면 NIBP가 자동으로 측정이 제대로 안된다.
5. 환자 모니터 상 하단에 있는 버튼 중 NIBP start를 누른다
6. Central monitor에서 환자의 차트번호와 이름, 데이터가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2) Dischage 시 monitor 사용 순서
1. EMR 중환자실 기록지에서 해당 환자의 최종 V/S 확인 후 저장을 두 번 click한다.
2. Monitor 하단 5번째 Adimt/Discharge 버튼을 click한다.
3. 왼쪽 하단에 Discharge 버튼을 click한다.
4. OK를 click한다.
(3) A-Line & CVP monitor 사용 순서(AUTO)
1. Monitor 왼쪽 하단 첫 번째 menu를 click한다.
2. Display config.를 click한다.
3. Auto를 click한다.
4. Manu를 두 번 click한다.
5. 본체 하단 세 번째 부분에 A-line & CVP circuit 및 kit를 연결한다.
6. Monitor 왼쪽에 A-line & CVP 창이 뜨는지 확인한 후 click한다.(monitor상에서 안
나오거나, BP zero drift가 나오면 연결부위가 제대로 안됐거나, A-line& C-line
function이 안된 상태 또는 kit나 jack이 불량인 상태이다)
7. A-line & C-line 중에서 3-way를 수액 쪽을 잠근다.
8. A-line & C-line touch 후 BP zero ready message를 확인 후 BP Zero를 click한다. (BP zero ready --> BP zero complete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9. 3-way를 다시 풀면 message가, "measurement in progress" 확인 한 후 menu를
Click한다.
【 참고 】 Ohmeda Datex monitor
<>
필수장비 요약
제출일자:
제출자:
학번:
- 평균 동맥압, 심박출량, 심박동수 그리고 뇌내압의 변화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해서 흡인 횟수를 제한한다.
4) Nebulizer
(1) 정의
흡입치료기는 콤플레서 모터를 이용하여 준비된 약을 폐포 깊숙한 부위까지 넣어주기 위한 것으로, 약을 0.5~5.5마이크론의 아주 작은 입자로 만들어 분무해 주며 환자가 흡입을 하면 약이 직접 폐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최근에 천식을 치료할 때 약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다.
(2) 사용 목적
기관지 확장제나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를 미세입자로 흡입시키므로 세기관지까지 직접 도달하여 기관지 확장의 효과가 빠르고 객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 흡입요법의 장점
① 증상 발생 부위에 약물이 직접 투여된다(세 기관지를 통해 직접 폐로 전달된다).
②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약물에 비해 부작용이 거의 없다.
③ 약효 발현이 신속하다.
④ 약액이 작은 입자로 분사되므로 폐포 깊숙이 직접 도달된다.
(4) 흡입량과 소요시간
① 약물의 통상적인 흡입량은 3ml(약+ 생리식염수)이고, 흡입 치료횟수는 1일 3~4회 이다.
② 성인에서는 간헐적인 흡입방법에 의해 15분 정도 흡입하고, 소아에서는 연속적인 흡입방법에 의해 8분정도 흡입한다.
(5) 적응증
상, 하기도 감염증, 폐색성 폐질환, 기도 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 내 진한 분비물 이 있을 때 사용한다.
(6) 준비용품
Nebulizer 본체, Nebulizer 세트. 약물(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등), 약물 희석용 생리 식염수, 마우스피스 또는 마스크
◈ 약물의 종류
① ventolin(벤토린)
- 중증의 급성 천식
만성 기관지 경련의 처치
② pulmicort
- 스테로이드 제재
기관지 천식
③ atrovent
- 기도폐쇄성 장애에 기인한 호흡곤란
④ nucomyte
- 객담배출 및 기관지 조영, 기관지경 검사
폐기종, 폐결핵
(7) 사용 전 준비사항
주위 환경, 전원, 기기 등을 점검하고 기기가 정확히 작동하는가를 확인한다.
Nebulizer 의 조립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8) 사용방법
① 환자와 보호자에게 Nebulizer 의 사용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② 사용 전에 객담을 배출시킨다.
③ 소독된 분무기의 윗부분을 열고 처방된 약을 용기에 넣는다.
④ 분무기의 윗부분을 잘 잠그고 마스크 또는 마우스피스를 끼운다.
⑤ 본체를 전원에 연결하고 연결호스로 본체와 약물을 담은 분무기를 연결한다.
⑥ 환자는 상체를 편안하게 눕힌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한다.
⑦ 스위치를 켠 후, 마우스피스 가까이에 입술을 대고 흡입할 수 있을 때 까지 분무 를 들이마시고 잠깐 유지한 후 천천히 숨을 내쉰다.
⑧ 마우스피스를 입에서 떼고 천천히 숨을 내쉰다.
⑨ ⑦번과 ⑧번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며 분무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⑩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하고 간호 기록한다.
⑪ 흡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마스크와 분무기를 분리하여 따뜻한 물이나 흐르는 수돗물에 헹군다. 단, 사용 시 흡입제는 한가지 씩 사용한다.
⑫ 사용후 구강 점막 손상 방지를 위해 가글링 하도록 교육한다.
(9) 합병증
오염된 Nebulizer 세트의 사용으로 인한 하부 호흡기 감염
(10) 사용 시 주의사항
① 담당의의 지시에 따라 1일 3~4회, 1회 10~15분간 실시하도록 한다.
② 방안의 공기는 깨끗하고 신선해야 하며, 맞바람은 피하도록 한다.
③ 약을 흡입 할 때는 특별히 심호흡을 하지 말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정상적인 호 흡을 한다.
④ 습도가 높거나 추운 날은 감기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흡입치료가 끝난 즉시의 외출은 삼간다.
5) EKG Monitor
(1) 입원시 Monitor순서
1. NIBP, EKG, BT, Oxymeter sensor를 부착한다.
2. Monitor 하단 5번째 Adimt/Discharge 버튼을 click한다.
3. 환자의 차트번호와 이름, 성별, 나이를 입력한다.
.
4. NIBP Auto mode를 눌러 early & 60min을 확인한다.
- OFF로 click 되어 있으면 NIBP가 자동으로 측정이 제대로 안된다.
5. 환자 모니터 상 하단에 있는 버튼 중 NIBP start를 누른다
6. Central monitor에서 환자의 차트번호와 이름, 데이터가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2) Dischage 시 monitor 사용 순서
1. EMR 중환자실 기록지에서 해당 환자의 최종 V/S 확인 후 저장을 두 번 click한다.
2. Monitor 하단 5번째 Adimt/Discharge 버튼을 click한다.
3. 왼쪽 하단에 Discharge 버튼을 click한다.
4. OK를 click한다.
(3) A-Line & CVP monitor 사용 순서(AUTO)
1. Monitor 왼쪽 하단 첫 번째 menu를 click한다.
2. Display config.를 click한다.
3. Auto를 click한다.
4. Manu를 두 번 click한다.
5. 본체 하단 세 번째 부분에 A-line & CVP circuit 및 kit를 연결한다.
6. Monitor 왼쪽에 A-line & CVP 창이 뜨는지 확인한 후 click한다.(monitor상에서 안
나오거나, BP zero drift가 나오면 연결부위가 제대로 안됐거나, A-line& C-line
function이 안된 상태 또는 kit나 jack이 불량인 상태이다)
7. A-line & C-line 중에서 3-way를 수액 쪽을 잠근다.
8. A-line & C-line touch 후 BP zero ready message를 확인 후 BP Zero를 click한다. (BP zero ready --> BP zero complete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9. 3-way를 다시 풀면 message가, "measurement in progress" 확인 한 후 menu를
Click한다.
【 참고 】 Ohmeda Datex monitor
<
필수장비 요약
제출일자:
제출자:
학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