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공연] 국립국악원 < 박미정의 춤; Park Mijoung's Dance 2009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공연] 국립국악원 < 박미정의 춤; Park Mijoung's Dance 2009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연 전 3

2. 박미정의 춤 2009 3

3. 공연감상 3
3-1. 프로그램 1부 3
3-1-1. 춘앵전 3
3-1-2. 교방무고 4
3-1-3. 입춤 4
3-1-4. 신쾌동流 거문고 산조 4
3-2. 프로그램 2부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4
3-2-1. 프롤로그(틀 안에서) 5
3-2-2. 1장. 담을 넘어 5
3-2-3. 2장. 칼 끝에 쓰러진 행복 5
3-3-3. 3장. 사랑은 죽음도 넘어서서 5

4. 공연 후 5

5. 참고문헌 및 사이트 5

본문내용

없는 애절함이 둘의 춤에서 묻어난다. 둘은 서로 껴안고 퇴장한다.
그러다 빨간 조명과 함께 연기가 나오고 무거운 음악이 흐르고 검은 복장의 여자들이 칼을 들고 나와 춤을 추는데 매우 비장미가 느껴졌다. 그렇게 칼을 들고 춤을 추다가 최랑이 나오고 최랑은 가운데서 춤을 추고 칼을 든 여자들은 최랑을 가운데 두고 돌면서 춤을 춘다. 노래는 절정에 이르고 최랑은 괴로워하며 쓰러진다. 다들 퇴장하고 이규가 나와서 최랑이 사라졌음에 대한 슬픔을 춤으로 표현하는데 그 슬픔이 매우 크다는 것을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혼자 오랫동안 슬픔에 잠긴 춤을 추다가 귀신인 최랑이 나오고 함께 춤을 춘다. 노래는 매우 슬프다. 마치 사극의 슬픈 장면에 나오는 음악과 같다. 최랑이 죽었음에도 저승과 이승의 벽을 넘어 서로 사랑을 나눈다.
4. 공연 후
이 때까지는 국악 공연을 볼 때 솔직히 완전 집중해서 보지는 못했다. 국악에 대한 지식도 거의 없었고 아주 조금은 지루함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공연은 춤으로만 이루어져서 그런지 매우 흥미로웠고 한시간 반 공연동안 집중해서 보았다. 이제 국악에 대한 거부감은 정말 조금도 없다. 많진 않더라도 국악에 대한 지식도 어느 정도 쌓인 것 같아 기분이 좋다. 아직 초보이긴 하지만 친구들에게 국악에 대해 몇 마디라도 할 수 있게 된 것 같아 기분이 새롭다. 국악 공연 1시간 30분, 의미 있고 뜻 깊은 시간이었다.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참고 문헌
국립국악원 박미정의 춤 팜플렛
참고 사이트
http://www.koreanculture.net/chunaeng.html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