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문학 (漢代문학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대문학 (漢代문학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2장. 漢代文學.
1. 한대의 시대적 특징.
2. 한대의 문학
(1) 초사
1)굴원
2)이소
(2) 한부
1) 한부의 기원
2) 한부의 발전
3) 한부의 특징

본문내용

학가일 뿐만 아니라 중국 역사상 뛰어난 과학 사상가였다. 사부의 대표작으로는 「서경부(西京賦)」, 「東京賦」, 「南京賦」를 꼽을 수 있다. 그의 부의 한 가지 특색은 사냥, 궁정, 화려한 제왕 귀족들의 생활을 묘사하는 것 이외에 많은 사회의 풍속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사꾼, 협객, 각저백희(角百戱), 방상(方相), 대나(大儺) 등이 작품 속에 묘사되고 있고, 이 밖에도 사상을 개진한 「사현부(思玄賦)」, 「귀전부(歸田賦)」가 있는데, 「귀전부」는 단부로서 전원적인 흥취가 담겨 있다.
- 채옹(132~192) : 어렸을 때부터 문명(文名)을 날렸는데, 사장(辭章)을 잘 했을 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정통했다. 채옹의 부는 「술행부(述行賦)」가 가장 유명하다. 내용은 백성들의 빈곤한 생활에 대한 동정과 뜻 있는 사람들의 억압에 대한 분노를 서술하고 있다. “마음 속으로 이 일을 분개(心憤此事)”하여 이 부를 지었다고 한다.
- 조일(?~187?) : 『후한서』「조일전(趙壹傳)」에 “자기의 재능만을 믿고 남을 깔보았다(恃才倨傲)”라고 한 것처럼 성품이 방자하고 예법을 멸시하여 사람들로부터 빈축을 사게 되어 「해빈(解)」을 지었다. 그 뒤 여러 차례의 범법 행위로 말미암아 죽음을 당할 뻔했으나 친구들이 구출해 주었다. 그리하여 「궁조부(窮鳥賦)」를 지어 친구들에게 감사함을 표현했다. 그는 재주가 뛰어나고 명성도 있었으나, 벼슬은 군리에 지나지 않았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자세질사부(刺世疾邪賦)」가 있다. 내용은 당시의 정치 횡포, 관리들의 부패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한부가 위진남북조 때에는 내용, 형식을 막론하고 모두 크게 탈바꿈하였다. 배부(俳賦)가 유행하였는데, 이는 특히 육조 시대에 유행하였다. 배부는 한부와 마찬가지로 과장, 수식을 중요시하였고, 글의 짝을 맞추었기 때문에 변부(騈賦)라고도 하였다. 이어 수당대에는 변려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매우 규격화된 부체로서 과거에 부과하였기 때문에 시부(試賦)라고 일컫기도 했다.
만당 때에 두목의 「아방궁부(阿房宮賦)」가 나온 뒤로부터 운산문체가 유행했는데 송나라 때에 이르러 더욱 그 체제를 많이 사용하였다. 지나치게 형식적인 구속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필연적인 추세였다. 구양수(歐陽修)에 이르러 산문의 필법을 사용한, 감정, 사상의 표현이 매우 자유로운 새로운 부체를 창작하기 시작하였는데 소식에 이르러 더욱 빛을 발하게 되었다.
3) 한부의 특징
한부는 시와 산문의 특수한 혼합체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운문의 일종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시경 이후부터 초사에 이르는 동안 시의 범위와 편폭이 커지고, 글이 화려해짐에 따라서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색채가 다분한 신체시가 탄생하였다. 이와 같은 운문과 산문의 혼합 체제는 무제와 선제이후부터 문인들이 공을 노래하고 덕을 칭송해 공록을 얻는 도구로 삼았으며 한부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한부 전성시기의 작품은 천편일률적으로 정해진 형식에 따라 지어졌으며, 그 구성 형식을 보면 크게 직서체(直敍體)와 문답체(問答體)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한 편의 부는 서(序), 본문(本文), 결어(結語)의 3단계로 구성되어, 서에서는 작품의 동기를 쓰고, 결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난왈(亂曰)”, “계왈(系曰)”, “중왈(重曰)”, “가왈(歌曰)” 등의 허두로 본문의 내용을 함축 요약하고 있으나, 모든 부가 이와 같이 3단의 구성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나라 때 많은 부의 작가들은 어떤 사물에 대해 감정을 솔직 담백하게 표현하는 개성 있는 부를 짓지 않고, 과장되고 아름답게 수식하는 것을 제일로 여겼다. 그 때문에 한부는 진실된 감정이 결핍되고 형식에만 치우치게 된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형식주의는 중국 문장의 수사에 있어서 그래도 상당한 공현을 하였던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한부에는 기문(奇文)과 괴자(怪字)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은 작자의 박학함을 드러내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전고를 많이 사용하고 지나치게 사실을 과장하여 서술하고 있다. 사마상여의 「상림부」에는 “교룡적리(蛟龍赤), 옹용건타(龍), 우우허탑()……”이라고 어족의 풍성함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 일단을 보더라도 기문과 괴자의 사용을 즐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중국문학사, 한대문학
(역사따라 배우는) 중국문학사, 다락원, 이수웅, 2001.
(개정) 중국문학사, 신아사, 김학주, 2007.
간추린 중국 문학사, 서울학고방, 김장환, 199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