秦漢문학 - 詩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秦漢문학 - 詩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언시

2. 칠언시

3. 악부의 생장

4. 악부의 사상성

5. 악부의 예술성

본문내용

."
부리가 듣고는 안채에 올라 어머님께 여쭙기를, "소자 본시 귀상이 아니오나 다행히 이 아내를 맞었나이다. 머리를 묶고 자리를 함께 하고, 황천길도 같이 맹세하였습니다. 서로 섬긴지 두 세해, 아직 오래되지 않았고, 여자의 소행도 나쁘지 않았는데, 어이타 박대하나이까?"
어머니의 대답이 : "왜이리 버릇없는고! 이 애는 예절도 모르거니와 행실도 방자해. 내 일찍부터 눈박에 났거늘 네 말이 왜 멋대로인지. 동쪽마을에 어진 규수어서 그녀를 보내되 천만에 만류말이어다" 했다.
부리가 꿇어앉어 : "엎디어 아뢰나니. 이승에서 이 아내를 버리면 평생 다시는 장가 들지 않으렵니다."
어머니가 이 말을 듣더니만 손으로 침상을 치면서 분노했다.
「상사」는 한 여인이 사랑의 맹세를 하는 장면이요, 「공작동남비」는 봉건예교 밑에서 결혼을 강박당하지만 사랑을 위해 순애하는 고사인데, 여기서는 동한 말년 중국 동남쪽 노강부지방에서 발생한 순애고사를 바탕하여 윤색한 353 구에 달하는 장시로 등장함.
1765자에 달하는 중국 최장의 서사시요, 최초의 시극이라 할 수 있는 「공작동남비」는 초중향과 그 아내 난지가 서로 사랑하여 결혼하였으나 초모는 난지를 내쫓고 중향을 또 다른 관가의 딸과 재혼시키려하자 두 사람이 정사하는 비극인데 높은 사상성과 예술성을 갖고 있음.
봉건예교의 죄악을 폭로하면서 혼인자유를 구가하는 이 속에는 모두 30차례에 걸친 개성적인 대화를 통해서 등장하는 인물의 개성과 행동을 선명하게 부각시켰으며, 적당한 전재를 통해 스토리의 층차를 살렸고, 풍부한 고사 속에 여유있는 서정성을 점철시켰다.
특히 맨 처음 「공작동남비, 오리일배회」같은 상징적인 서두로서 기흥작용을 했거나 고사를 펼침에 있어 번거로움과 간략함을 번갈아하는 곧 「번간호용」의 수사법, 순수사실과 과장을 동시에 활용하는 수사법은 매우 특수 하였다.
한대악부 속에는 특히 부녀형상이 많음. 주로 기녀에 대한 동정·현녀에대한 찬미, 횡포에 대한 저항 등 세가지 주제를 갖고 있는데, 「공작동남비」의 여주인공인 난지는 그 세가지를 가지고 있는 전형이라 할 수 있음
5. 유선류
악부 속에는 죽음의 공포나 생명의 무상을 강열하게 느껴 퇴폐적이고 비관적인 일면과 유선적이고 신비한 염원을 동시에 갖고 있음.
그 속에는 황노 및 신선장생의 사상이 보이는 바 이는 동한의 악부에서 일이나 뒷날 위진시에 영향을 주었음.
대주당가. 인생기하? 비여조로, 거일고다.
개당이강, 우사난망, 하이해우? 유유두강.
청청자금, 유유아심. 단위군고, 침음지금.
유유록명, 식야지평. 아유가빈, 고슬취생.
명명여월, 하시가철. 우종중내, 부가단절.
월맥도천, 왕용상존. 계활담연, 심념구은.
월명성희, 조작남비. 요수삼잡, 하지가의.
산부염고, 해부염심, 주공토포, 천하귀심.
(조조, 단가행)
술도 보면 노래하고파. 인생이 얼마냐고? 마치 아침 이슬처럼 지난 세월은 너무도 많아.
비장히 노래해도 가슴에 시를 씻기 어려우. 무얼로 시름을 풀까? 오직 술을 만든 두강.
그대의 파란 옷깃, 나의 유유한 그리움. 오직 당신을 사모했기로, 지금도 나즉이 읖조리네.
우 우 사슴이 울면서 들풀을 먹네. 내게 좋은 손님 있어 북 치로 거문고 뜯고 피리 부네.
휘영청 밝은 달아! 언제 멈추려나? 내 마음속의 시름 또한 그칠 날이 없네.
꼬부랑 들길을 걸어 멀리 문안을 물었기로 서로 투합하여 잔치하니 옛정이 새로워라.
달 밝고 별 드문데 가마귀는 남쪽을 나네. 나무를 세 번 맴 돌거늘, 어느 가지에 의지할까?
산은 높을수록 좋고, 바다는 깊을수록 좋아. 주공은 입안에 든 것도 뱉거늘 온 천하가 모두 그를 받들었네.
「단가행」,「동도행」은 신선에 대한 동경이므로, 민중에게 있어 유선은 일종의 정신귀족적인 사치라 할 수 있겠다.
5. 악부의 예술성
악부의 예술성은 사상성보다 더욱 절대 적임
첫째 사실주의적인 서사성을 충분히 발휘한 점
한서에서 말한 연사이발을 전통으로 정립시킨 시대로 사회 각계각층의 고통, 곧 병사 로부터 농부, 빈민, 유랑민, 고아, 촌부에 이르기까지의 절실한 이야기를 거의 소묘 혹 은 대화를 통해 사실 되므로써 서사시의 전형을 세운점.
둘째 서사시에 등장하는 많은 인물의 개성이 잘 형상화 됨
어느 시에도 주인공이 있는데 그 주인공이 마치 사회 일각에서 볼 수 있는 전형처럼 부각되고 있음, 여기에는 그 인물에 알맞은 언어, 생활, 대화 등이 연결되어 있기 때 문임.
셋째 형식의 자유로운 구사.
악부시에 많이 쓰인 것은 잡언체와 오언체임. 이것들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면 서 스스로의 격을 형성하고 있음. 한 편의 시에 한 글자에서 열 글자의 구식이 다양 하게 구사되고 있는데 물론 오언이 위주임.
넷째 민가의 특성을 십분 발휘하고 있음.
흥기식: 서두에 상징적, 연상적 흥기작용을 위해 「청청하반초 면면사원도」(음마장성 굴행)나「공작동남비, 오리일배회」(공작동남비)처럼 강가의 아득한 초원으로 사람을 멀리 보낸다던지, 공작이 나는 것으로 부부의 이별을 암시했다.
연쇄식: 끝말을 받아 연쇄적으로 연결시키면서 음악성을 살리는 방법
「사자량신,양신성가사……」(전성남)나 「문군유타심, 납잡최소지·최소지, 당 풍양기회」(유소사)
서술식: 사물을 차서대로 서술하는 형식으로 수다스런 유모나 창에 적당한 방법
「십삼능직소, 십사학재의, 십오탄공후……」(공작동남비)나 「어희연엽동, 어희 연엽서, 어희연엽남……」(강남)
대화식: 마치 희곡이나 소설처럼 대화를 쓰는 방법인데 그 예는 대단히 많다.
이런 것들은 거의 민가에서 상용되는 기교로서 조탁적인 귀족문학·궁정문학과는 달리 크게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낭만주의적인 사상과 수법을 사실주의와 병행시키고 있음이니, 이는 서사성이 많은 시편에 서정성을 잘 배합시키고 있다는 말이 된다.
「상사」나 「유소사」같은 열렬한 연가가 있는가하면 「강남가채연」이나 「단가 행」같은 것은 민요적인 음조로 애수 띤 흥을 돋구고 있다. 그리고 비록 고사시라 할 지라도 그 속에 낭만성을 배합하고 있는데 「우림랑」이나 「맥상상」에서는 희롱을 당하고 있는 여인들의 치장이나 동작을 아름답게 표현하느라 적당한 과장과 허구를 더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중국,   문학사,   진 한,   시가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