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본문내용
경부고속철도 건설 배경
1960,70 경제부흥기정보의 도로,항공등 타 교통수단 중심 투자 정책 독점적인 지위를 상실
서비스 및 철도 이용률 저하
사회적 비용이 상승을 유발
경부 축을 중심으로, 일반 철도와 도로 등 주요 교통망의 수송 능력이 포화 상태가 되어, 물류비가 매년 15%씩 증가 국가경쟁력이 저하
1980년대 초, 경부고속철도의 건설 필요성이 제기
제2이동통신사업과 함께 경부고속철도 사업이 추진
1980년대 초반부터 구체적인 계획수립에는 착수하지 못한 채 착공여부를 두고 논란이 분분
의견A : 교통체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경부고속철도의 건설이 시급
의견B : 그 비용으로 항만~도로를 확충하는게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6공정부가 (노태우 정권) 1989년 공사비 5조8천462억 원을 들여 1998년에 완공하겠다는 건설계획을 확정
92년 6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992년 4월 천안∼대전 구간에서 요란하게 첫 공사가 시작
가. 건설교통부 고속철도건설기획단
1994.4. 30 고속철도과(한시조직) 설치 (4급, 8명)
1996. 5. 1 고속철도과를 고속철도추진반으로 개편 운영(4급,9명)
1996. 6.29 고속철도추진반을 고속철도과(정식직제)로 개편운영 (4급, 12명)
1996.11.23 고속철도건설기획단 설치 (3급, 2과 22명)
1997.9.3 고속철도건설기획단내건설기획과증설(3급,3과29명)임무 및 기능
고속철도에 관한 계획 및 정책의 수립,조정
고속철도 투자 및 재원조달계획의 수립,조정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지도,감독
나. 철도청 고속철도 본부
1989. 12. 고속철도건설실무작업단(고속전철기획실) 설치
1994. 12. 고속철도운영준비단 설치
1996. 7. 기술진흥담당관실을 고속철도담당관실로 재편
1997. 7. 철도공무원교육원 내 고속철도훈련과 신설
1999. 7. 고속철도본부 신설(1본부장, 5과 20팀 76명)
2000. 1. 본부 산하 고속철도건설사업소 신설(1소장, 6과 22팀 118명)
1960,70 경제부흥기정보의 도로,항공등 타 교통수단 중심 투자 정책 독점적인 지위를 상실
서비스 및 철도 이용률 저하
사회적 비용이 상승을 유발
경부 축을 중심으로, 일반 철도와 도로 등 주요 교통망의 수송 능력이 포화 상태가 되어, 물류비가 매년 15%씩 증가 국가경쟁력이 저하
1980년대 초, 경부고속철도의 건설 필요성이 제기
제2이동통신사업과 함께 경부고속철도 사업이 추진
1980년대 초반부터 구체적인 계획수립에는 착수하지 못한 채 착공여부를 두고 논란이 분분
의견A : 교통체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경부고속철도의 건설이 시급
의견B : 그 비용으로 항만~도로를 확충하는게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6공정부가 (노태우 정권) 1989년 공사비 5조8천462억 원을 들여 1998년에 완공하겠다는 건설계획을 확정
92년 6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992년 4월 천안∼대전 구간에서 요란하게 첫 공사가 시작
가. 건설교통부 고속철도건설기획단
1994.4. 30 고속철도과(한시조직) 설치 (4급, 8명)
1996. 5. 1 고속철도과를 고속철도추진반으로 개편 운영(4급,9명)
1996. 6.29 고속철도추진반을 고속철도과(정식직제)로 개편운영 (4급, 12명)
1996.11.23 고속철도건설기획단 설치 (3급, 2과 22명)
1997.9.3 고속철도건설기획단내건설기획과증설(3급,3과29명)임무 및 기능
고속철도에 관한 계획 및 정책의 수립,조정
고속철도 투자 및 재원조달계획의 수립,조정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지도,감독
나. 철도청 고속철도 본부
1989. 12. 고속철도건설실무작업단(고속전철기획실) 설치
1994. 12. 고속철도운영준비단 설치
1996. 7. 기술진흥담당관실을 고속철도담당관실로 재편
1997. 7. 철도공무원교육원 내 고속철도훈련과 신설
1999. 7. 고속철도본부 신설(1본부장, 5과 20팀 76명)
2000. 1. 본부 산하 고속철도건설사업소 신설(1소장, 6과 22팀 118명)
키워드
추천자료
가장 경주답게 가꾸는 게 보존의 핵심이다
청주시 산업구조의 변화
청주공항 물류활성화를 위한 방안
관광활성화를 위한 소프트경쟁력 강화방안 -경주지역을 중심으로v
국내의 관광지를 중심으로 관광자원이 될만한 주제를 설정하여 관광상품을 개발해 보세요.
KTX 고속열차사고의 위험성과 고장 사례 및 문제 발생 원인(기술, 제도, 정책) 분석
[건설업][건설산업]건설업(건설산업)의 특성, 건설업(건설산업)의 동향, 건설업(건설산업)의 ...
175,직무수행계획서_직무계획서_화성시직무수행계획서_공기업직무수행계획서_직무수행_구직계...
[KTX]KTX 성공요인분석 보고서
[KTX]KTX 성공요인분석 PPT자료
[이슈] 수서발 KTX를 둘러싼 철도노조 파업
[노사관계론] 철도공사의 사례 - 철도공사, 이철사장의 취임과 개혁방안, 이철사장의 공과, ...
[실용한문] 경의선 노선도 조사
기차의 역사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