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한문] 경의선 노선도 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용한문] 경의선 노선도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의선 노선도 조사
서 울 역
신 촌 역
가 좌 역
디지털 미디어 역
수 색 역
문 산 역
파 주 역
월 롱 역
금 촌 역
금 릉 역
운 정 역
탄 현 역
일 산 역
화 전 역
행 신 역
능 곡 역
대 곡 역
곡 산 역
백 마 역
풍 산 역

본문내용

원지(경기문화재자료 71),
-월산대군사당(경기문화재자료 79), -연산군시대금표비(경기문화재자료 88)
지명 유래
옛 부터 이곳에는 각종 꽃들이 많이 피어나 꽃밭이라는 뜻으로 화전(花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과 원래 밭에다 불을 지른 후 파종하고 농사를 지은 화전(火田)이었는데 '불 화(火)'자 대신 '꽃 화(花)'자를 써서 지금의 화전이 되었다는 설이 있음
연계 노선
-
도시공학 참고자료
-
행 신 역
幸(다행 행)信(믿을 신)驛(역참 역)
Haengsin Station
위 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면 적
165.49㎢
인 구
38만 5387명
문 화 재
-태고사원증국사탑비(보물 611), -태고사원증국사탑(보물 749),
-행주산성(사적 56), -벽제관지(사적 144),
-북한산성(사적 162), -고려공양왕릉(사적 191),
-서오릉(사적 198), -서삼릉(사적 200),
-행주대첩비(구비)(경기유형문화재 74),
-최영장군묘(경기기념물 23), -북한산중흥사지(경기기념물 136),
-고양향교(경기문화재자료 69), -행주서원지(경기문화재자료 71),
-월산대군사당(경기문화재자료 79), -연산군시대금표비(경기문화재자료 88)
지명 유래
믿음이 있어 행복한 역
연계 노선
KTX 차량기지가 있어서 KTX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공학 참고자료
능 곡 역
陵(큰언덕 능)谷(골 곡)驛(역참 역)
Neunggok Station
위 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454
면 적
면적 165.49㎢
인 구
38만 5387명
문 화 재
-태고사원증국사탑비(보물 611), -태고사원증국사탑(보물 749),
-행주산성(사적 56), -벽제관지(사적 144),
-북한산성(사적 162), -고려공양왕릉(사적 191),
-서오릉(사적 198), -서삼릉(사적 200),
-행주대첩비(구비)(경기유형문화재 74), -최영장군묘(경기기념물 23),
-북한산중흥사지(경기기념물 136), -고양향교(경기문화재자료 69),
-행주서원지(경기문화재자료 71), -월산대군사당(경기문화재자료 79),
-연산군시대금표비(경기문화재자료 88)
지명 유래
토당동은 마을에 있는 사당인 삼성당이 흙으로 만들어져 토당이라고 한 데서 유래된 지명으로, 또 한편으로는 이곳에서 도당제를 지냈으므로 도당리라고 한 것이 변하여 토당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자연마을에 능골·얼음뜰·사뫼·삼성당 등이 있다.
연계 노선
경의선과 서울 교외선, 39번 국도, 398번 지방도
도시공학 참고자료
-
대 곡 역
大(큰 대)谷(골 곡)驛(역참 역)
Daegok Station
위 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
면 적
면적 165.49㎢
인 구
38만 5387명
문 화 재
-태고사원증국사탑비(보물 611), -태고사원증국사탑(보물 749),
-행주산성(사적 56), -벽제관지(사적 144),
-북한산성(사적 162), -고려공양왕릉(사적 191),
-서오릉(사적 198), -서삼릉(사적 200),
-행주대첩비(구비)(경기유형문화재 74), -최영장군묘(경기기념물 23),
-북한산중흥사지(경기기념물 136), -고양향교(경기문화재자료 69),
-행주서원지(경기문화재자료 71), -월산대군사당(경기문화재자료 79),
-연산군시대금표비(경기문화재자료 88)
지명 유래
토당동은 마을에 있는 사당인 삼성당이 흙으로 만들어져 토당이라고 한 데서 유래된 지명으로, 또 한편으로는 이곳에서 도당제를 지냈으므로 도당리라고 한 것이 변하여 토당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자연마을에 능골·얼음뜰·사뫼·삼성당 등이 있다.
연계 노선
경의선과 서울 교외선, 39번 국도, 398번 지방도
도시공학 참고자료
-
곡 산 역
谷(골 곡) 山(뫼 산) 驛(역참 역)
Goksan Station
위 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면 적
면적 165.49㎢
인 구
38만 5387명
문 화 재
-태고사원증국사탑비(보물 611), -태고사원증국사탑(보물 749),
-행주산성(사적 56), -벽제관지(사적 144),
-북한산성(사적 162), -고려공양왕릉(사적 191),
-서오릉(사적 198), -서삼릉(사적 200),
-행주대첩비(구비)(경기유형문화재 74), -최영장군묘(경기기념물 23),
-북한산중흥사지(경기기념물 136), -고양향교(경기문화재자료 69),
-행주서원지(경기문화재자료 71), -월산대군사당(경기문화재자료 79),
-연산군시대금표비(경기문화재자료 88)
지명 유래
내곡동은 능곡동 방향에서 볼 때 염주산 산 기슭의 안쪽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연계 노선
-
도시공학 참고자료
-
백 마 역
白(흰 백)馬(말 마)驛(역참 역)
Goksan Station
위 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면 적
59.8㎢
인 구
22만 7690명
문 화 재
-호수공원 -고양시 민속전시관
-일산 밤가시 초가(경기 중요민속자료 8), -이천우 묘
-신도비(고양향토유적 7), -계원군 묘와 신도비(고양향토유적 3),
-정지운선생 묘(고양향토유적 11), -홍이상선생 묘
-신도비(고양향토유적 13), -장경의 묘
-신도비, -이정암
-정려문, -어세공 묘지(墓誌),
-독산 봉수대, -권필의 묘와 묘갈,
-문봉서원지(文峰書院祉)
지명 유래
-
연계 노선
동쪽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 중앙부를 356번 지방도(고양대로)가 동서로 관통한다.
도시공학 참고자료
-
풍 산 역
楓(단풍나무 풍)山(뫼 산)驛(역참 역)
PoongSan Station
위 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풍동 1445-1
면 적
59.8㎢
인 구
22만 7690명
문 화 재
-호수공원 -고양시 민속전시관
-일산 밤가시 초가(경기 중요민속자료 8), -이천우 묘
-신도비(고양향토유적 7), -계원군 묘와 신도비(고양향토유적 3),
-정지운선생 묘(고양향토유적 11), -홍이상선생 묘
-신도비(고양향토유적 13), -장경의 묘
-신도비, -이정암
-정려문, -어세공 묘지(墓誌),
-독산 봉수대, -권필의 묘와 묘갈,
-문봉서원지(文峰書院祉)
지명 유래
-
연계 노선
-
도시공학 참고자료
-
  • 가격2,4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5.03.1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