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가 나라를 살린다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이제 1편부터 차례로 들어가 보면 1편제목은 욕심으로서 욕심을 다스린다는 것이다.
2편의 제목은 한국경제가 달라져야하는 이유이다.
3편의 제목은 한비자의 지혜를 빌리자는 것으로. 한비자가 어떤 인물인지. 어떤 학문을 중요시했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4편의 소제목은 원칙이 바로선 사회를 위하여 라는 것이다
5편의 제목은 부패는 도덕보다는 제도의 문제이다. 라는 것이다.
6편의 제목은 개혁과 저항의 역학관계이다.
마지막 7편의 제목은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이다.

지금까지 7편에 걸쳐 한비자가 나라를 살린다는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고, 간단간단하게 나의 의견을 밝혀보았다.

본문내용

의 자신을 위한 나뭇가지를 바라보기 보다 나무를 볼 줄 알고, 나아가 숲을 볼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 7편의 제목은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이다.
여기에서는 신자유주의가 무엇인지 유교적 공동체하에서의 우리나라. 그리고, 우리나라의 소득분배통계를 보여주고, 현재 21세기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우리들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7편에서는 결국 지금까지 해왔던 이야기들을 기초로 종합적인 정리를 해주고 있다.
새로운 자유주의가 등장했다. 유교적 공동체 하에서 근면, 검소를 통해 발전한 나라중의 하나인 우리나라가 이제는 공동체라는 평등성을 버리고, 자유롭고, 평등한 나라가 되어야 하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 현재의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많은 일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7편에 걸쳐 한비자가 나라를 살린다는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고, 간단간단하게 나의 의견을 밝혀보았다. 역시나 나의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경제학과 행정학을 같이 공부해 보아도. 시장지배와 정부규제의 정도성의 차이는 딱 꼬집어 이야기 하기 힘들다. 그것은 그 나라 고유의 현 상황에 맞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대는 변하고, 덕치사상이 중요하던 춘추전국시대와 자유경쟁을 중요시하는 지금과는 비교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것은 말 할 수 있다. 각각의 국가의 상황이 있겠지만, 우리나라는 이제 모두 같이 함께 잘살자는 새마을 운동의 시대는 지나갔다.
이제는 모두 함께 힘을 합쳐 잘 사는 것이 아닌, 모두 함께 열심히 경쟁하며 일하여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가발전을 이룩해야 할 시대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