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시』동인의 시사적 의의와 공과
Ⅰ 서론
―'현대시'의 시론과 동인의 유형
1.'현대시'시의 시론
2.'현대시'가 지닌 주요한 의미
3.'현대시'의 변화 과정
4.'현대시'동인들의 유형
Ⅱ 본론
1. 자아와 사랑에의 탐구
1) 내면탐구, 언어탐구-이승훈, 김규태, 주문돈
2. 자아와 자연에의 탐구
1) 몸과 자연의 생명력-정진규, 허만하
2) 유기체적 사유와 문명비판-오세영, 이건청
3. 자아와 현실에의 탐구
1) 융화와 관찰-마종하, 이유경
2) 위혼과 현실비판-김종해, 박의상
4.'현대시'동인지의 의의
결론
― '현대시'의 전개 양상
1.1960년대와 '현대시'의 '내면' 발견
2.'언어탐구'와 '내면탐구'의 등가성
3.'내면'의 폭이 보여주는 다양한 스펙트럼
4.모더니즘적 기법과 결부된 상징주의적 '내면'의 깊이
5.'현실'이라는 관계항과 결부된 '내면'의 확장
Ⅰ 서론
―'현대시'의 시론과 동인의 유형
1.'현대시'시의 시론
2.'현대시'가 지닌 주요한 의미
3.'현대시'의 변화 과정
4.'현대시'동인들의 유형
Ⅱ 본론
1. 자아와 사랑에의 탐구
1) 내면탐구, 언어탐구-이승훈, 김규태, 주문돈
2. 자아와 자연에의 탐구
1) 몸과 자연의 생명력-정진규, 허만하
2) 유기체적 사유와 문명비판-오세영, 이건청
3. 자아와 현실에의 탐구
1) 융화와 관찰-마종하, 이유경
2) 위혼과 현실비판-김종해, 박의상
4.'현대시'동인지의 의의
결론
― '현대시'의 전개 양상
1.1960년대와 '현대시'의 '내면' 발견
2.'언어탐구'와 '내면탐구'의 등가성
3.'내면'의 폭이 보여주는 다양한 스펙트럼
4.모더니즘적 기법과 결부된 상징주의적 '내면'의 깊이
5.'현실'이라는 관계항과 결부된 '내면'의 확장
본문내용
상화하고 있다. ④주문돈의 경우는 내면이 담지한 복잡다기한 다양의 요소들을 지양한 상징주의적 이데아의 지향을 보여준다.
동인지 활동 중반을 넘어가면서 동인들은 그들의 내면탐구와 언어실험이라는 지향점에 대한 하나의 콤플렉스를 드러낸다.
5.'현실'이라는 관계항과 결부된 '내면'의 확장
19∼20집을 넘어서면서 동인들은 그들이 지향했던 내면탐구 및 그 내면과 조응된 언어들이 결코 현실로부터 자유로운 것이 아님을 절감한다. 이것은 10여 년의 활동을 전개하면서 동인들이 이미 신진에서 중견 반열로 오르게 되었고 1970년도를 전후해서는 문예지의 중앙지면을 차지할 만큼 성장한 탓도 있었다.『현대시』동인지가 1972년 26집을 끝으로 종결된 것은 내면탐구라는 그들의 지향점과 신진시인들의 의욕의 장을 담아내는 몫이 다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인지 후반으로 갈수록 동인들의 '내면'이 지닌 개별적 독자성에 주목하기보다는 당대 현실과의 관계항으로서의 지점에 입각한 다양한 내면지점을 보여준다. ①이해녕은 현실과 내면 사이의 햄릿적 내면의 딜레마 양상으로, ②이승훈은 현실과 내면이 관계성을 암시하는 중의적 내면의 양상으로, 오세영은 시인의 현실적 일상과 결부된 냉소적 시선으로, ③이건청은 폭력적 현실의 미적 극복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현대시'의 활동은 민중적 외부적 시각으로 편향되기 쉬웠던 당대 현실 속에서 모더니즘 시를 지향하되, 특히 '내면'의 폭과 넓이와 깊이를 탐구한 공로가 있다. 그들이 개척한 '내면탐구'의 독자성과 그 깊이는 당대의 '난해성' 및 '현실적 비난'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우리 문학사에서 돋보인다.
동인지 활동 중반을 넘어가면서 동인들은 그들의 내면탐구와 언어실험이라는 지향점에 대한 하나의 콤플렉스를 드러낸다.
5.'현실'이라는 관계항과 결부된 '내면'의 확장
19∼20집을 넘어서면서 동인들은 그들이 지향했던 내면탐구 및 그 내면과 조응된 언어들이 결코 현실로부터 자유로운 것이 아님을 절감한다. 이것은 10여 년의 활동을 전개하면서 동인들이 이미 신진에서 중견 반열로 오르게 되었고 1970년도를 전후해서는 문예지의 중앙지면을 차지할 만큼 성장한 탓도 있었다.『현대시』동인지가 1972년 26집을 끝으로 종결된 것은 내면탐구라는 그들의 지향점과 신진시인들의 의욕의 장을 담아내는 몫이 다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인지 후반으로 갈수록 동인들의 '내면'이 지닌 개별적 독자성에 주목하기보다는 당대 현실과의 관계항으로서의 지점에 입각한 다양한 내면지점을 보여준다. ①이해녕은 현실과 내면 사이의 햄릿적 내면의 딜레마 양상으로, ②이승훈은 현실과 내면이 관계성을 암시하는 중의적 내면의 양상으로, 오세영은 시인의 현실적 일상과 결부된 냉소적 시선으로, ③이건청은 폭력적 현실의 미적 극복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현대시'의 활동은 민중적 외부적 시각으로 편향되기 쉬웠던 당대 현실 속에서 모더니즘 시를 지향하되, 특히 '내면'의 폭과 넓이와 깊이를 탐구한 공로가 있다. 그들이 개척한 '내면탐구'의 독자성과 그 깊이는 당대의 '난해성' 및 '현실적 비난'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우리 문학사에서 돋보인다.
추천자료
한국 현대시 -서정주의 '신부'-
《모시서》를 바탕으로한 현대시 해석 - 김지하의 '새'
현대시에서 초월과 종교적 상상력
[과외]고등 국어 현대시 기출 01
[과외]고등 국어 현대시 기출 02
[과외]고등 국어 현대시 기출 03
[과외]고등 국어 현대시 기출 04
[과외]고등 국어 현대시 기출 05
현대시 - 이상(李箱)과 시(詩)
임용고시에 필요한 현대시 총정리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오는 한시와 현대시 비교
현대시 정리
삼국유사를 읽고 요약, 삼국유사의 내용을 소재로 한 현대시 한 편을 찾아 쓰고 감상문을 기...
[현대시론] 제 7 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 6, 7 절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