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 KS F 2502 )


시험 목적

시험 기구

시 험 방 법

참 고 사 항

시 험 결 과

고 찰

본문내용

56
평균조립율=(1.48+1.56)/2=1.52
최대 치수 : 40mm
-통과량의 평균-
100
100
100
99.8
100
99.9
96.8
94
95.4
48.8
46.8
47.8
9.9
9.2
9.6
(6) 고찰
시험을 통해서 알아내고자 하는 것은, 골재의 입도, 조립률,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등을 구하기 위하여 행한다. 골재의 적부, 각종 골재의 적당한 비율이 결정,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골재의 품질관리 등에 필요하기 때문에 실험을 한다. 그리고 모든 시험이 그렇듯이 실험은 지금보다 더욱 많은 경제적인 이익을 남기기 위하여 새로운 실험을 하거나 새로운 방법 등을 개발하는 것들을 하는데 이 실험역시 시멘트의 량의 배합에 대해서 최소한의 시멘트의 사용을 통한 공사비의 최소화에 그 실험의 목적을 둔다.
실험에 앞서 이와 유사한 실험을 작년에 토질역학에서 2학년때, 했던 시험과 같은 시험이라 시험이 낮설지가 않았다. 여기서 토질역학 시간에 해 보았던 실험은 잔골재에 대한 실험만을 해봤기 때문에 굵은 골재의 체 가름에 대한 시험은 처음 해보았지만, 그 실험의 기본적인 이론은 잔골재와 다르지 않았기 때문에 시험에 쉽게 접할 수 있었고 골재 실험 중 가장 처음으로 하는 시험이었기 때문에 실험에 더욱 많은 정성을 쏟아 실험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시험에 있어 엄밀히 2개의 실험을 동시에 실험을 해야 하였기 때문에 실험에 굵은골재 팀과 잔골재 팀으로 분산하여 동시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잔골재의 실험을 할 때, 실험에 있어 우리가 가장 처음으로 실험을 했다는 사실과 한번 해보았던 실험이었기 때문이라는 장점이 더해져 수월하게 실험에 임할 수 있었다. 그리고체의 상태는 상당히 청결한 상태였기 때문에 도 역시 오차는 최소화될 수 있었다. 실험의 종류 후 우리가 다른조에게 넘겨줄 때 깨끗하게 넘겨 줘야 만이 우리의 실험결과 역시 거희 완벽에 가까이 나올 수 있고 다른조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처음의 실험에 심혈을 기울여 실험을 하였다. 처음 잔골재를 돌린 후 굵은 골재의 실험을 하게 되어 진동기를 작동 시켰는데 그 작동 소리에 깜짝 놀랄 정도로 큰 소리에 정말 놀랐었다. 작동전에 왠지 위험해 보여 처음부터 꽉 잠그고 실험에 참가하여 다행이 실험은 수월하게 진행이 되었다. 그리고 체의 진동 후 실제로 체 밖으로 나가 땅에 떨어져있는 골재도 몇 개가 있어 실제 처음의 실험 중량과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 되었다.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 해내는 과정에서 그 통과량은 모두 비슷한 형식의 그래프가 나왔다.
모든 실험을 마치고 그 양의 계산해보니 처음의 가장 심혈을 기울여 실험을 해서인지 가장 까다로운 실험에 속했었는데 그 결과는 상당히 만족스러운 정도로 나왔다. 잔골재의경우에는 처음에 넣은 500g이 계산결과 1,2차례모두 499.5g나오는 미소한 오차를 보였으며 굵은 골재에서는 처음 넣은 10kg에서 1차례에는 9.842 2번째 차례에는 완벽한 10kg나오는 등 거희 극소한의 오차를 보여 실험과 결과 양면에서 상당히 실험이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6.23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