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발생론적 비평
- 수사학적 비평
- 장르 비평
- 관념사적 비평
- 마르크스주의 비평
- 대조 비평
- 여권 신장 비평
- 언어학적 비평
- 아리스토텔레스
- 지수 비평
- 객관적 비평
- 인상 비평
- 표현 비평
- 효용 비평
- 모방 비평
- 재단 비평
- 이론 비평
- 실제비평
- 수사학적 비평
- 장르 비평
- 관념사적 비평
- 마르크스주의 비평
- 대조 비평
- 여권 신장 비평
- 언어학적 비평
- 아리스토텔레스
- 지수 비평
- 객관적 비평
- 인상 비평
- 표현 비평
- 효용 비평
- 모방 비평
- 재단 비평
- 이론 비평
- 실제비평
본문내용
쳐 크게 번성했었다.
- 모방 비평
‘모방 비평’은 문학 작품을 현실 세계와 인간 생활의 모방이나 반영 혹은 재현으로 보고, 그 기본적 적용 기준을 작품이 재현하고 있거나 재현해야 할 대상에 대한 재현의 ‘진실성’에 두고 있는 연구 방법이다. 즉, 언어로 표현된 상상적 세계의 유사성에 초점을 둔 문학 비평 방법으로서 문학을 문학 밖의 세계와의 관련에서 규정하려고 한다. 여기서의 기준은 언어의 구조물이 환기하는 상상적 세계, 즉 현실이다. 사실에 닮은 정도를 그 평가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또한 이상적인 인생 또는 마땅히 그래야 할 당위의 삶에 대해 언급하는 비평 유형들은 모두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면, 사회. 윤리. 문화. 철학적 비평, 마르크스주의 비평, 아리스토텔레스 비평, 여권 신장 비평, 모방 비평 등이 그것이다. 또 지수 비평도 여기에 속하나 존재론과 결부되어 있고, 특히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모방론과 효용론이 거의 대등할 만큼 결합되어 있다고 보여 진다.
- 재단 비평
‘재단 비평’은 주제, 짜임새, 기법, 문체 등으로 작품의 효과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를 분석. 설명하고, 비평가의 개인적 판단의 근거를 문학적 우수성을 판별하는 일반적 표준 위에 놓으려 하는 연구 방법이다.
이 비평의 예로는 극에서 3일치설을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적 비평이나 민족, 시대, 환경을 비평의 기준으로 삼는 테느의 비평이나 마르크스주의 비평 등을 들 수 있다. 이 비평들은 작가에게 창작 방법론을 강요하고 독자에게는 취미를 강요한다.
- 이론 비평
‘이론 비평’은 일반적 원리에 입각하여 문학 작품의 고찰과 해석에 적용될 수 있는 용어와 구분과 범주들의 일관된 체계 및 이들 작품과 그 작가를 평가할 수 있는 ‘판단 기준’을 설정하려고 노력하는 연구 방법인데, 이에 대한 비평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詩學>, 라챠즈의 <文學批評의 원리>, 프라이의 <批評의 解剖>등이 있다.
- 실제 비평
‘실제 비평’은 일명 應用 批評이라고도 하는데, 특정한 작품과 작자에 관한 논의를 주안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분석과 평가를 통제하는 이론적 원리들은 그 속에 내재되어 있거나 필요한 경우에만 끌여들여지고 있다. 이 비평은 때때로 인상 비평과 재단 비평으로 구분되어 설명되기도 한다.
參考文獻
- 現代文學批評의 理論과 應用 (새문사-1988)
- 한국현대소설의 이론과 적용 (이론서)
- 문학연구 방법론
- 문예사조사
- 모방 비평
‘모방 비평’은 문학 작품을 현실 세계와 인간 생활의 모방이나 반영 혹은 재현으로 보고, 그 기본적 적용 기준을 작품이 재현하고 있거나 재현해야 할 대상에 대한 재현의 ‘진실성’에 두고 있는 연구 방법이다. 즉, 언어로 표현된 상상적 세계의 유사성에 초점을 둔 문학 비평 방법으로서 문학을 문학 밖의 세계와의 관련에서 규정하려고 한다. 여기서의 기준은 언어의 구조물이 환기하는 상상적 세계, 즉 현실이다. 사실에 닮은 정도를 그 평가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또한 이상적인 인생 또는 마땅히 그래야 할 당위의 삶에 대해 언급하는 비평 유형들은 모두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면, 사회. 윤리. 문화. 철학적 비평, 마르크스주의 비평, 아리스토텔레스 비평, 여권 신장 비평, 모방 비평 등이 그것이다. 또 지수 비평도 여기에 속하나 존재론과 결부되어 있고, 특히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모방론과 효용론이 거의 대등할 만큼 결합되어 있다고 보여 진다.
- 재단 비평
‘재단 비평’은 주제, 짜임새, 기법, 문체 등으로 작품의 효과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를 분석. 설명하고, 비평가의 개인적 판단의 근거를 문학적 우수성을 판별하는 일반적 표준 위에 놓으려 하는 연구 방법이다.
이 비평의 예로는 극에서 3일치설을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적 비평이나 민족, 시대, 환경을 비평의 기준으로 삼는 테느의 비평이나 마르크스주의 비평 등을 들 수 있다. 이 비평들은 작가에게 창작 방법론을 강요하고 독자에게는 취미를 강요한다.
- 이론 비평
‘이론 비평’은 일반적 원리에 입각하여 문학 작품의 고찰과 해석에 적용될 수 있는 용어와 구분과 범주들의 일관된 체계 및 이들 작품과 그 작가를 평가할 수 있는 ‘판단 기준’을 설정하려고 노력하는 연구 방법인데, 이에 대한 비평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詩學>, 라챠즈의 <文學批評의 원리>, 프라이의 <批評의 解剖>등이 있다.
- 실제 비평
‘실제 비평’은 일명 應用 批評이라고도 하는데, 특정한 작품과 작자에 관한 논의를 주안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분석과 평가를 통제하는 이론적 원리들은 그 속에 내재되어 있거나 필요한 경우에만 끌여들여지고 있다. 이 비평은 때때로 인상 비평과 재단 비평으로 구분되어 설명되기도 한다.
參考文獻
- 現代文學批評의 理論과 應用 (새문사-1988)
- 한국현대소설의 이론과 적용 (이론서)
- 문학연구 방법론
- 문예사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