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II.본론
1. 고령인구 규모 및 추이
2. 시도, 시군구별 고령인구
3. 100세 이상 고령자 집계
(1) 규 모
(2) 분 포
(3) 연령구조
(4) 인구특성
1) 성 비
2) 건강상태
3) 건강관리
4)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5)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6) 활동시간
7) 주간활동
4. 건강보험상 노인 의료비 추이
III. 결론
II.본론
1. 고령인구 규모 및 추이
2. 시도, 시군구별 고령인구
3. 100세 이상 고령자 집계
(1) 규 모
(2) 분 포
(3) 연령구조
(4) 인구특성
1) 성 비
2) 건강상태
3) 건강관리
4)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5)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6) 활동시간
7) 주간활동
4. 건강보험상 노인 의료비 추이
III. 결론
본문내용
) 혼자 타기
가벼운 집안일 하기
돈 계산 및 관리
제 때에 약 복용하기
796(100.0)
796(100.0)
796(100.0)
796(100.0)
796(100.0)
796(100.0)
36(4.5)
30(3.8)
16(2.0)
63(7.9)
69(8.7)
153(19.2)
53(6.7)
44(5.5)
22(2.8)
118(14.8)
71(8.9)
120(15.1)
74(9.3)
74(9.3)
59(7.4)
77(9.7)
53(6.7)
105(13.2)
624(78.4)
639(80.3)
690(86.7)
528(66.3)
594(74.6)
407(51.1)
9(1.1)
9(1.1)
9(1.1)
10(1.3)
9(1.1)
11(1.4)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2006
6) 활동시간
○ 하루에 집안일이나 산책 등 신체적인 활동을 하는 시간은 주로 1시간미만이 71.4%로 가장 많으며, 4시간이상 활동하는 경우도 6.9%로 나타남
(명, %)
구 분
계
1시간
미만
1~2시간
2~4시간
4시간
이상
미상
신체적 활동시간
796
(100.0)
568
(71.4)
111
(13.9)
49
(6.2)
55
(6.9)
13
(1.6)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2006
7) 주간활동
○ 평소에 낮 동안 하시는 활동으로는 노환 등으로 누워서 지내는 경우가 40.8%, TV 시청이 29.8%로 나타남
(명, %)
구 분
계
누워서
지냄
TV시청
집안
일을 함
노인정에 다님
수입 있는 일을 함
기타
미상
주간활동
796
(100.0)
325
(40.8)
237
(29.8)
57
(7.2)
47
(5.9)
5
(0.6)
117
(14.7)
8
(1.0)
- 독서, 뜨개질, 산책, 앉아계심, 박수운동 등의 기타 응답도 있었다.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2006
4. 건강보험상 노인 의료비 추이
○ 노인에 대한 의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2001~2006년 까지 전체의료비를 포함하여 노인의료비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전체 의료비에서 노인의료비의 비율이 2001년 (17.8%)에 비하여 2006년(25.9%)로 약 8.1%증가하였다.
(단위 : 억원, %)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전체의료비
178,195
190,606
205,336
223,559
247,968
285,580
노인의료비
31,681
36,811
43,723
51,364
60,556
73,931
구 성 비
17.8
19.3
21.3
23.0
24.4
25.9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 2001년~2003년
「2004년 건강보험심사통계지표」, 「2005년~2006년 건강보험통계지표」
III. 결론
통계청,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와 지역적 분포, 100세 이상의 고령인구의 특성과 고령인구의 의료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찾아볼 수 있었다.
1. 위자료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2005년 자료를 기준으로 4백3십만명에 이르면서 5년 전 3백3십만명에 비하여 약 100만명이 증가하여 노인인구 증가율 29.5%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급속한 속도로 노인인구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2. 노인인구의 분포로는 동지역(7.2%)보다 주로 읍면지역(18.6%)에 분포하였고 시도별로 보았을 때, 전남(17.7%)이 가장 인구고령화가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시군구별로는 전체 234개 시군구중 초고령 사회는 63개(26.9%), 고령사회는 37개(15.8%), 고령화 사회는 87(37.2%)로 약30%이상의 시군구가 초고령 사회이거나 고령화 사회로 나타났다.
4. 노인인구에서 100세 이상의 인구는 2005년 961명으로 5년 전에 비하여 2,9%로 증가한 것을 보아 고령인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남녀 성비는 여자가 857명으로 0.6%증가하고 남자가 104명으로 26.8%를 기록하면서 100세 이상의 남자노인의 수가 많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5. 100세 이상의 노인인구에서 신체적 질병 유무의 경우에 절반이상(54.6%)이 질병이 있다고 하였고 ADL의 경우 가장 어려운 목욕하기에서 55.3%가 ‘전혀 할 수 없다’라고 대답하였으며 IADL에서 약복용하기 이외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전혀 할 수 없다’라고 대답한 것을 미루어 보아 생리적 수명은 향상되었지만 그에 따른 건강관련 수명은 증가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6. 고령자의 건강관리 방법에서 49.7%의 의견이 ‘평소대로 생활(특별한 것이 없다)’라고 대답하고 운동이나 산책은 5.3%로 대답한 것을 미루어 보아 노인체육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생각된다.
7. 마지막으로 전체의료비에 대하여 노인의 의료비 지출정도를 살펴보면 2001년에 비하여 2006년, 약 5년 동안 25.9%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노인에 대한 의료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많은 손실을 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를 경험하고 있고 이런 사회적 현상에 따라 노인인구의 의료비 증가와 같은 국가적, 개인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예방의학차원에서의 국가의 제도적 장치보완이나 개인적인 생활습관을 고쳐나감으로서 단순히 생리적 수명의 연장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건강수명을 증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참고 자료-
1. 2005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결과[여성·아동·고령자·활동제약자·혼인연령·1인가구 부문] 보도자료, 통계청.
2. 2005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결과[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보도자료, 통계청
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0.
4. 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1~2003.
5. 건강보험심사통계지표, 2004.
6. 건강보험통계지표, 2005~2006.
가벼운 집안일 하기
돈 계산 및 관리
제 때에 약 복용하기
796(100.0)
796(100.0)
796(100.0)
796(100.0)
796(100.0)
796(100.0)
36(4.5)
30(3.8)
16(2.0)
63(7.9)
69(8.7)
153(19.2)
53(6.7)
44(5.5)
22(2.8)
118(14.8)
71(8.9)
120(15.1)
74(9.3)
74(9.3)
59(7.4)
77(9.7)
53(6.7)
105(13.2)
624(78.4)
639(80.3)
690(86.7)
528(66.3)
594(74.6)
407(51.1)
9(1.1)
9(1.1)
9(1.1)
10(1.3)
9(1.1)
11(1.4)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2006
6) 활동시간
○ 하루에 집안일이나 산책 등 신체적인 활동을 하는 시간은 주로 1시간미만이 71.4%로 가장 많으며, 4시간이상 활동하는 경우도 6.9%로 나타남
(명, %)
구 분
계
1시간
미만
1~2시간
2~4시간
4시간
이상
미상
신체적 활동시간
796
(100.0)
568
(71.4)
111
(13.9)
49
(6.2)
55
(6.9)
13
(1.6)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2006
7) 주간활동
○ 평소에 낮 동안 하시는 활동으로는 노환 등으로 누워서 지내는 경우가 40.8%, TV 시청이 29.8%로 나타남
(명, %)
구 분
계
누워서
지냄
TV시청
집안
일을 함
노인정에 다님
수입 있는 일을 함
기타
미상
주간활동
796
(100.0)
325
(40.8)
237
(29.8)
57
(7.2)
47
(5.9)
5
(0.6)
117
(14.7)
8
(1.0)
- 독서, 뜨개질, 산책, 앉아계심, 박수운동 등의 기타 응답도 있었다.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 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2006
4. 건강보험상 노인 의료비 추이
○ 노인에 대한 의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2001~2006년 까지 전체의료비를 포함하여 노인의료비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전체 의료비에서 노인의료비의 비율이 2001년 (17.8%)에 비하여 2006년(25.9%)로 약 8.1%증가하였다.
(단위 : 억원, %)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전체의료비
178,195
190,606
205,336
223,559
247,968
285,580
노인의료비
31,681
36,811
43,723
51,364
60,556
73,931
구 성 비
17.8
19.3
21.3
23.0
24.4
25.9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 2001년~2003년
「2004년 건강보험심사통계지표」, 「2005년~2006년 건강보험통계지표」
III. 결론
통계청,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와 지역적 분포, 100세 이상의 고령인구의 특성과 고령인구의 의료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찾아볼 수 있었다.
1. 위자료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2005년 자료를 기준으로 4백3십만명에 이르면서 5년 전 3백3십만명에 비하여 약 100만명이 증가하여 노인인구 증가율 29.5%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급속한 속도로 노인인구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2. 노인인구의 분포로는 동지역(7.2%)보다 주로 읍면지역(18.6%)에 분포하였고 시도별로 보았을 때, 전남(17.7%)이 가장 인구고령화가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시군구별로는 전체 234개 시군구중 초고령 사회는 63개(26.9%), 고령사회는 37개(15.8%), 고령화 사회는 87(37.2%)로 약30%이상의 시군구가 초고령 사회이거나 고령화 사회로 나타났다.
4. 노인인구에서 100세 이상의 인구는 2005년 961명으로 5년 전에 비하여 2,9%로 증가한 것을 보아 고령인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남녀 성비는 여자가 857명으로 0.6%증가하고 남자가 104명으로 26.8%를 기록하면서 100세 이상의 남자노인의 수가 많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5. 100세 이상의 노인인구에서 신체적 질병 유무의 경우에 절반이상(54.6%)이 질병이 있다고 하였고 ADL의 경우 가장 어려운 목욕하기에서 55.3%가 ‘전혀 할 수 없다’라고 대답하였으며 IADL에서 약복용하기 이외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전혀 할 수 없다’라고 대답한 것을 미루어 보아 생리적 수명은 향상되었지만 그에 따른 건강관련 수명은 증가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6. 고령자의 건강관리 방법에서 49.7%의 의견이 ‘평소대로 생활(특별한 것이 없다)’라고 대답하고 운동이나 산책은 5.3%로 대답한 것을 미루어 보아 노인체육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생각된다.
7. 마지막으로 전체의료비에 대하여 노인의 의료비 지출정도를 살펴보면 2001년에 비하여 2006년, 약 5년 동안 25.9%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노인에 대한 의료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많은 손실을 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를 경험하고 있고 이런 사회적 현상에 따라 노인인구의 의료비 증가와 같은 국가적, 개인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예방의학차원에서의 국가의 제도적 장치보완이나 개인적인 생활습관을 고쳐나감으로서 단순히 생리적 수명의 연장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건강수명을 증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참고 자료-
1. 2005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결과[여성·아동·고령자·활동제약자·혼인연령·1인가구 부문] 보도자료, 통계청.
2. 2005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결과[100세이상 고령자조사 결과문] 보도자료, 통계청
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0.
4. 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1~2003.
5. 건강보험심사통계지표, 2004.
6. 건강보험통계지표, 2005~2006.
추천자료
(노인간호학)노인주거복지시설(양로시설, 노인복지주택, 노인공동생활가정)의 입소대상, 시설...
(노인간호학)노인의료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 공동생활 가정)의 입소대상, 시설규모...
[노인][노인취업][노인소득보장][노인소득보장제도][노인복지]노인의 개념, 노인의 취업현황,...
[노인][고령자][신체][여가활동][교육적 욕구]노인(고령자)의 개념, 노인(고령자)의 특성, 노...
[노인교육][노인교육정책][영국 노인교육정책 사례]노인교육의 의미, 노인교육의 가치, 노인...
[노인교육][노인교육기관][노인교육정책][노인교육내용][노인교육프로그램][노인교육]노인교...
[노인권익운동][노인권익운동 외국동향][노인권익운동 과제]노인권익운동의 성격, 노인권익운...
[노인문제][노인문제 실태][노인문제 원인][노인문제 관점][노인문제 해결과제]노인문제의 정...
[노인교육][프랑스 노인교육 사례]노인교육의 개념, 노인교육의 필요성, 노인교육의 내용, 노...
[노인학교][노인학교의 교과과정][노인학교의 문제점][노인학교 관련 제언]노인학교의 의의, ...
[노인복지관 기능] 노인복지관의 기능과 주요 프로그램 및 운영사례 (노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노인복지론] 노인요양보호 (노인요양보호의 이해, 실천, 실태, 노인요양보호사, 과제)
저소득 독거노인 종합적 사례관리 (노인, 노인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사례, 실제사례관리)
[독거노인 (獨居老人)] 독거노인의 개념, 현황, 어려움, 문제점, 독거노인 보호 사업 및 독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