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표
2. 아이디어 채택
3. 아이디어 개선안
4. 개략적인 스케치 및 부품도
5. 아이디어 평가
6. 구조물 제작시 주의사항
7. 앞으로의 방향
2. 아이디어 채택
3. 아이디어 개선안
4. 개략적인 스케치 및 부품도
5. 아이디어 평가
6. 구조물 제작시 주의사항
7. 앞으로의 방향
본문내용
m × 5EA = 540cm 이므로
부재량이 45cm 초과 된다. <측면도>
☞ 총 소요 부재량이 초과 되므로 구조모델을 개선해 본다.
②개선안
가. 나. 다.
4.
소요길이
330cm
473cm
551 cm
고려사항
- 부재량으로 볼 때 (나) 모델이 적합
- 재료의 두께를 고려 (4mm)
- 부재 절단을 고려 ( 사선절단 )하면 소요량 감소 예상 (20~25cm)
- 창의성 고려
- 안정성 고려
최종 선택
(다) 구조선택
- 소요량으로 판단할 때 는 (나) 구조가 적합하지만, 창의성과 안정성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적절한 부재 절단으로 인해 소요량이 감소될 것으 로 예상 되므로 최종 구조물은 (다)로 선택.
4. 개략적인 스케치 및 부품도 [단위: mm]
①평면도 ( 위에서 본 모양)
20
관통구
< 사재 > 【20EA】
< 큰 오각형 > 【20EA】
< 작은 오각형 > 【20EA】
②측면도 ( 한단면만 )
<사재> 【15EA】
<수직재> 【10EA】
③개략적인 완성도
- 그림이 복잡하여 사재는 미포함 하여 그림. (측면도 참고)
- 제작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구조물의 무게제한)
- 부재량 계산시 중간층 부재들은 양끝과 같다고 가정 하에 계산. (실제는 소요량 적음)
④제작순서
양끝 단면 구조 부재 제작 ⇒ 조립 ⇒ 기둥 부재 제작 ⇒ 기둥과 양 끝단면 조립
⇒ 무게 측정 ⇒ 무게와 부재량에 따른 중간 층 수정 ⇒ 중간층 부재 제작 및 조립 ⇒ 사재 제작 및 조립 ⇒ 완성
5. 아이디어 평가
아주 나쁨
나쁨
보통
좋음
아주 좋음
비고
창의성
★
안정성
★
경제성
★
부재량 많음
- 곡선형 구조를 최조 제안 했지만 제작 재료의 특성상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된 것이 아쉬움.
- 기존에 볼 수 없는 형태로 창의적인 구조라 판단.
- 하중을 받아주는 수직재(기둥)가 많아 큰 하중에 유리.
- 창의적 구조를 위해 많은 부재가 사용되어 실제 구조물 제작시 시공비가 높음.
6. 구조물 제작시 주의사항
- 각 부재의 단면 절단이 정확해야 한다.
- 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해야 하중을 고루 분포 할 수 있다.
- 과도한 접착제 사용은 무게 초과의 원인이 된다.
- 부상에 주의해야 한다.
- 부재와 부재의 접착 면이 견고하게 조립한다.
7. 앞으로의 방향
①제작도에 따라 최종구조물 제작
②구조물을 제작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돌발 상황에 대한 제작 수정
③제작구조물에 대한 예비 테스트
부재량이 45cm 초과 된다. <측면도>
☞ 총 소요 부재량이 초과 되므로 구조모델을 개선해 본다.
②개선안
가. 나. 다.
4.
소요길이
330cm
473cm
551 cm
고려사항
- 부재량으로 볼 때 (나) 모델이 적합
- 재료의 두께를 고려 (4mm)
- 부재 절단을 고려 ( 사선절단 )하면 소요량 감소 예상 (20~25cm)
- 창의성 고려
- 안정성 고려
최종 선택
(다) 구조선택
- 소요량으로 판단할 때 는 (나) 구조가 적합하지만, 창의성과 안정성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적절한 부재 절단으로 인해 소요량이 감소될 것으 로 예상 되므로 최종 구조물은 (다)로 선택.
4. 개략적인 스케치 및 부품도 [단위: mm]
①평면도 ( 위에서 본 모양)
20
관통구
< 사재 > 【20EA】
< 큰 오각형 > 【20EA】
< 작은 오각형 > 【20EA】
②측면도 ( 한단면만 )
<사재> 【15EA】
<수직재> 【10EA】
③개략적인 완성도
- 그림이 복잡하여 사재는 미포함 하여 그림. (측면도 참고)
- 제작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구조물의 무게제한)
- 부재량 계산시 중간층 부재들은 양끝과 같다고 가정 하에 계산. (실제는 소요량 적음)
④제작순서
양끝 단면 구조 부재 제작 ⇒ 조립 ⇒ 기둥 부재 제작 ⇒ 기둥과 양 끝단면 조립
⇒ 무게 측정 ⇒ 무게와 부재량에 따른 중간 층 수정 ⇒ 중간층 부재 제작 및 조립 ⇒ 사재 제작 및 조립 ⇒ 완성
5. 아이디어 평가
아주 나쁨
나쁨
보통
좋음
아주 좋음
비고
창의성
★
안정성
★
경제성
★
부재량 많음
- 곡선형 구조를 최조 제안 했지만 제작 재료의 특성상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된 것이 아쉬움.
- 기존에 볼 수 없는 형태로 창의적인 구조라 판단.
- 하중을 받아주는 수직재(기둥)가 많아 큰 하중에 유리.
- 창의적 구조를 위해 많은 부재가 사용되어 실제 구조물 제작시 시공비가 높음.
6. 구조물 제작시 주의사항
- 각 부재의 단면 절단이 정확해야 한다.
- 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해야 하중을 고루 분포 할 수 있다.
- 과도한 접착제 사용은 무게 초과의 원인이 된다.
- 부상에 주의해야 한다.
- 부재와 부재의 접착 면이 견고하게 조립한다.
7. 앞으로의 방향
①제작도에 따라 최종구조물 제작
②구조물을 제작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돌발 상황에 대한 제작 수정
③제작구조물에 대한 예비 테스트
추천자료
현대생물학과 21세기 첨단과학
피터싱어의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7장 감상문
[벤처기업][벤처창업][벤처]벤처기업과 벤처창업 분석(벤처기업의 개념, 벤처기업 형태, 창업...
[GMO][유전자변형식품][유전자변형농산물]GMO(유전자변형식품)의 잠재력, 장단점과 GMO(유전...
브레인스토밍의 정의, 브레인스토밍의 원리, 브레인스토밍의 규칙, 브레인스토밍의 준비, 브...
브레인스토밍의 의미, 브레인스토밍의 필요성, 브레인스토밍의 원리, 브레인스토밍의 순서, ...
[코스웨어]교육용 소프트웨어(코스웨어)의 정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코스웨어)의 학습유형과 ...
생산관리 우산꽂이 제작 팀프로젝트
[독후감] 탐욕의 경제학 _키애런 파커·게리 그리핀 지음
섹스북을 읽고나서
[ 사업 계획서 ] e- business 이지체크(EasyCheck) 결과 산출물
자동차 부품 공장 공정 개선 프로젝트
[건축] 대학에서의 건축교육의 이상적인 방향
[벤처기업][사업계획서][창업][벤처기업 육성][벤처기업 자금지원][벤처기업 성장효과]벤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