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생물학과 21세기 첨단과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생물학과 21세기 첨단과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 생명공학기술의 개요
1. 생명공학의 발달사
2.기술의 특성
3. 주요기술
4. 기술의 범위
5. 연도별 기술개발 과정과 연구자
6. 기술별 발달 과정
󰊲 생명공학기술의 현황과 전망
1. 생명공학의 현황
2. 생명공학의 발전전망
3. 생명사회의 꿈
󰊳 생명공학 응용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응용산업과의 관계
2. 선진국 생명공학기술 산업화 동향
3. 우리나라 생명공학산업 현황 및 정부정책
󰊴 생명복제
1. 생명복제의 역사
2.생명복제 과정
3. 생명복제의 전반적인 문제점
4. 복제인간의 문제점
󰊵 Proteomics
1. Proteomics란?
2. Proteomics의 종류와 응용분야
󰊶 DNA Chip
1. DNA Chip은 왜 필요한가?
2. DNA chip은 무엇인가?
3. DNA chip의 응용분야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것이면 또한 빠른 시간 안에 검색이 가능하다는 점.
3. DNA chip의 응용분야
⇒ 유전자 발현정도 측정(gene expression monitoring), DNA상의 단일염기돌연변이 확인(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유전자 서열분석(sequencing) 등 기존의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한 모든 분야에 적용.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의 동정 및 검출, 암과 같은 질병의 진단, 신약의 효능검정 및 신약개발을 위한 도구로의 응용, 법의학적 진단 등의 분야에서 DNA chip의 장점이 응용될 수 있으며, 이미 일부분은 실용화되었거나 실용화될 계획.
< 결 론 >
현재 생명공학 분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유전자 조작과 생물 복제 등은 특히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막대하다. 거기에 더해서 게놈 프로젝트가 100% 완성된다면 앞으로 우리의 생활은 지금 보다도 더 많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그에 대응하기 위해 생명공학의 현주소, 긍정적인 부분, 부정적인 부분, 그리고 앞으로의 우리의 자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먼저 생명공학은 지금 동물의 복제를 가능하게 하는 수준까지 올라와 있다. 돌리의 탄생이 그러했고 우리나라에서는 영롱이의 탄생이 그 예이다. 생명체를 암수의 교배 없이 체세포만으로 탄생시켰다는 점에서 많은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다음으로 생각해 볼 것은 생명공학의 긍정적인 부분이다. 첫 번째로 복제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수명연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신체 장기의 복제를 통해 암 등의 난치병을 치유하는 것이 그 예이다. 그리고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는 사회가 바라고 부모가 바라는 바람직한 이상형의 인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것은 미래에 대한 희망적 가능성이 증대되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불임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아이를 가질 수 있게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또 한번 그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DNA상의 질병 유발 물질을 제거하여 지금까지 고치지 못해 고생하던 병들을 발발하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데에도 생명공학의 기술이 한 몫을 할 것이다. 또한 늘어만 가는 인구를 뒷받침할 식량의 생산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지금, 생명공학은 질 좋은 식량을 다량으로 생산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 분명하다. 끝으로 생태계의 파괴로 사라져 버린 생물, 또는 앞으로 그렇게 될 생물들을 보호하는 차원에서도 생명공학이 큰 영향을 줄 것이다.
하지만 생명공학을 잘못 사용하였을 경우의 단점도 생각해 보아야한다. 먼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문제이다. 규제되지 않는 마구잡이식의 복제와 유전자 조작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나’라는 존재, 그리고 각각의 타인에 대한 존엄성을 잊게 만들기 쉽다. 또한 생명공학은 말 그대로 생명체를 다루는 기술이기 때문에 만약 실수가 생겨 실험이 실패했을 때 되돌릴 수가 없게 된다. 그만큼 정밀하고 발달된 기술이 필요하며, 그 시행 이전에 많은 고찰이 필요하다. 또 하나의 문제는 좋은 형질만을 찾는 것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개체가 유지되는데 도움이 되는가? 하는 문제이다. 아무리 좋은 형질을 모아놓았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단점이 있기 마련인데 그 단점을 보완해 줄 다른 생물이 없다면 인류를 비롯한 지구 생명체들은 존속하기 힘들 것이다. 또한 가정의 유대감이 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선택된 자식, 자기를 선택해준 사람으로서의 부모라는 생각이 깊어진다면 사랑이 바탕이 되어야할 가정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끝으로 유전공학이 사회의 나쁜 세력에 의해 사용된다면 그 끝은 다른 사회문제들의 악영향보다 배로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것을 고찰하여 인류의 미래가 가장 밝아질 수 있는 방향으로 생명공학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에 윤리성을 더해야 한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인류의 미래는 우리 자신의 선택에 달린 것이지 기술 자체의 발전에 달리지 않았다. 생명공학의 부정적인 면만을 생각해서 무턱대고 부정하는 어리석은 짓을 하는 것보다는 그것을 바로 알고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우리의 의식을 다잡을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그것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긍정적인 면이 최대한으로 살아난 우리의 미래는 멀지 않은 곳에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과학기술처 외,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tech 2000), 1993.12.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tech 2000) 2단계('98~2002)」, 1998.5.
박영훈, "생명공학기술분야의 차세대 연구개발 동향", 생명공학동향, 제5권, 제4 호, 1998.3.
박재혁 외, 「생명공학 기술혁신 전략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 1997.8.
박종오 외, 「생물산업계 현황조사 연구」, 기업기술연구원, 1997.3.
산업연구원, 「2000년대 첨단기술산업의 비전과 발전과제-생물산업」, 1994.12.
설성수 외, 「기술혁신과 산업과학기술정책」, 기업기술연구원, 1997.7.
장호민 외, 「생명공학과 윤리,사회」, 생명공학동향, 1993.3.
한문희 외, 「생명공학기술-현재와 미래」, 생명공학연구소, 1996.12.
현병환 외,「생명공학 인지도 및 경제적 가치평가 연구」, 1997.1.
Bundessministerium fur Bildung, Wissenschaft, Forchung und Technoligie (BMBF), "Was bringt uns die Biotechnologie?", Bonn, 1995.
Narure Biotechnology, "The R&D costs of bringing a new drug to the market", Vol 15, 1997.12.
Narure Biotechnology, "Biotechnology unscathed in Korea finance crisis", Vol 16, 1998.2.
Schmoch, U. , "bdw patent index", bild der wissenschaft, 11/1994, pp. 6-7, 1994.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5.17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8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