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불교와 한국 불교의 차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 불교와 한국 불교의 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른 신도들과 함께 둥그런 원 앞에서 좌복을 깔고 참선을 하고 계시다
문득 삼매에 드셨는지 당신께서 그 원 안에 몰두되는 느낌과 동시에 온 정신이 빨려들어가더랍니다 그러다 다른 세계가 나타나는데 허공에서 들리는 말이 “보여줄 것이 있다 둘러보아라” 그러다가 갑자기 떨어지는데 끝없이 떨어지는데 문득 서 보니 두께를 알 수 없는 철문이, 알 수 없는 높이로 굳게 서있는데 문득
강철문 저편에서 비명 소리가 들리는데 소리만 들어도 무섭고 공포스러운 느낌이 들었는데 허공에서 “여기는 지옥이다 네가 여기까지 올 필요는 없느니라”란 말소리가 들리더랍니다 그러다 동시에 온 몸이 허공으로 솟구치더니 이번에는 끝없이 위로 올라가더랍니다 도착한 곳이 주위만 둘러보아도 너무 행복한 곳이라 이 세상에서 볼 수 없는 광경이 펼쳐지는데 누군가의 안내로 가다가 기다리라고 하여 기다리는 중에 누가 나왔는데 돌아가신 할아버지가 나타나시더랍니다 그러면서 할머니께 고생 많다 하시며 자식들 잘 키워달라고 하시면서 나는(할아버지) 잘 있으니 걱정 말라 내 다 알고 있다라고 말씀하시더랍니다 --중략-- 그런 뒤 다시 밖으로 나왔는데 지도법사가 옆에서 지켜보고 있더랍니다
그 지도 법사는 할머니께서 여행 다녀오신 걸 알고 그 날 대중들 앞에서 경험담과 함께 수행 정진을 강조하셨다고 하셨습니다
---------
그리고 참고로 태고종에 대해 말씀드리면
태고종도 원래는 조계종에 소속되었지요 (일제때 일제가 그렇게 만들었지요)
태고종은 정화불사 때 쫓겨난 대처승들이 만든 종단입니다.
정화불사를 계기로 태고종이 조계종에서 분리되었습니다
대처승제도에 대하여
저 개인적인 소견을 말씀드리자면 찬성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청정 비구승 제도만으로는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네요
좀더 대중적이며 사회 참여적이며 포교 활성화엔 시대적으로 대처승의 역할이 증대될 수 있을 꺼라 봅니다 그렇다고 비구승 제도가 못하다는 게 아니라 좀 더 활동적이고 덜 제약받지 않은가 봅니다
기독교의 목사가 머리기르고 처자식 갖고 술담배하고 복장에서 자유로운 것에 비춰보면 대처승은 비교도 않될 만큼 제약이 많은 것이지요
일본은 아다시피 모두 대처승 제도며 불교가 전체인구의 85%인 것만 보아도
대처승의 사회 참여 포교의 현실을 알 수 있지요
그리고 존경하는 만해 한용운 스님도 조선불교유신론에 대처승 제도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인정해 제도화하자고 하셨구요
법우님들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