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언사 발표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만언사란?

2. 가사의 다양한 모습(유배와 여행의 체험)

3. 만언사의 특수성

4. 작품의 구성과 일화 및 이해와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쓰여졌다.
11세에 어머니 상을 당하고, 10여년간 외가에 의탁하였다가 후에 계모를 맞아 효행을 다하였던 일과 혼인하여 여유있는 생활을 누리면서 행락에 빠지기도 하였던 일을 노래하였다. 이어서 벼슬하여 부귀가 번화하다가 '소심봉공' 잘못하여 유배형을 받게 된 일과, 유배길에 강두에서 부모친척과 이별하고 경기도, 충청도를 거쳐 다시 전라도의 여주, 익산, 전주, 정읍, 나주, 영암을 거치면서 유배지인 추자도에 이르는 노정과 그 노정에서 느낀 바를 표현하였다. 다음에는 유배지의 물과 더위로 인한 고초와 보리밥과 소금과 장으로 연명하는 굶주림 등을 묘사하였다. 김진형이 지은 장편 유배 가사인 '북천가'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었으며, '만언사'의 경우 현실 세계의 질곡에 대한 발분적 정서가 정론적인 차원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유배 생활 자체에서 느끼는 고통과 분노의 차원에서는 전형적인 형태로 형상화되고 있다. 연군적 서정성이 약화된 반면 유배 생활에서 느끼는 슬픔과 분노가 보다 전형적인 형태로 형상화된 것이다.
이본으로 필사본 3종이 전하며, 필사본에 따라 작자 안조환이 안도환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작자가 34세 때에 추자도(楸子島)로 유배된 사건을 작품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
<만언사>(萬言詞)는 <만언사>(萬言詞)라는 주가사와 <만언사답>(萬言詞答), <사부모>(思父母), <사처>(思妻), <사자>(思子), <사백부>(思伯父)등 일련의 작품들이 같이 기록되어 있다. 내용은 추자도로 유배당한 신세 한탄과 함께 자신의 과거사를 회상한다.
유배길에 강두(江頭)에서 부모 친척과 이별하고 경기도·충청도를 거쳐 다시 전라도의 여산·익산·전주·정읍·나주·영암을 거치면서 유배지인 추자도에 이르는 노정과 그 노정에서 느낀 바를 표현하였다.
다음에는 유배지의 물과 더위로 인한 고초와, 보리밥과 소금과 장으로 연명하는 굶주림 등을 묘사하였다. 이 작품이 서울에 전하자 궁녀들이 읽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가 없었고, 이로 인하여 그는 곧 소환되었다는 일화를 가지고 있다. 상당히 긴 장편의 유배가사로, 김진형(金鎭衡)이 지은 장편 유배가사인 <북천가>(北遷歌)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1988)
김성배 외《주해가사문학전집》(정연사,1961)
장덕순, 《한국고전문학의 이해》(일지사, 1973)
최강현, 《기행가사자료선집》(국학자료원, 199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