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족보(族譜)의 개념(槪念)
2. 족보(族譜)의 유래(由來)와 역사(歷史)
3. 족보(族譜)의 종류(種類)
4. 족보(族譜) 보는 방법(方法)
5. 족보(族譜)에 기록(記錄)할 내용(內容)

본문내용

으로 족인(族人)의 자격, 종족(宗族)의 범위, 새로운 조항이나 변경 등을 기록했다. 기(記)나 지(誌)에서는 시조(始祖)나 중시조(中始祖) 혹은 파조(派祖)를 중심으로 전기(傳記)묘지(墓誌)제문(祭文) 등을 적고, 시조(始祖)나 본관(本貫), 성씨(姓氏), 지명(地名), 분파(分派) 내력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다. 영정(影幀)과 유적(遺蹟)이 있으면, 영정(影幀)이 모셔진 곳, 조상이 제향(祭享)된 서원(書院), 사당(祠堂), 신도비(神道碑) 등의 사진을 싣는다. 묘소도(墓所圖)는 시조(始祖)와 파조(派祖) 등 유명한 선조(先祖)의 묘소(墓所)을 그린 도면이다. 관련된 것이 있으면 같이 싣는다. 별전(別傳)에서는 기타 열전(列傳)행장(行狀)언행록(言行錄) 등 자랑할 거리를 싣는다. 발문(跋文)은 편집후기(編輯後記)에 해당되나 구보(舊譜)의 발문은 앞부분에 싣고 뒤에는 부록 편만 싣는 추세이다. 세계도(世系圖)는 전체 인명을 보여주는 것으로 남자 위주로 싣는다.
본문(本文)에 해당되는 부분은 인명에 대한 기록 부분이다. 이 부분은 실린 인명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항렬에 맞춰 정해진 규칙과 순서대로 기록하면 된다.
뒷부분에는 부록 편으로 가문에 관련 없이 일반 상식적인 것을 싣는 추세이다.
족보상식(族譜常識) 편은 보학(譜學)의 기본적인 사항을 언급한 것이다. 관혼상제(冠婚喪祭)는 사람이 살면서 거쳐야 할 통과의례(通過儀禮)에 해당되는 것으로, 요즘은 관례(冠禮)가 사라지고, 혼례(婚禮)는 화려해지고, 상례(喪禮)는 짧아지고, 제례(祭禮)는 간소화되는 추세이다. 관직제도(官職制度)는 족보에서 관직을 중요시하였으므로 이를 이해하기 쉽게 도표로 작성하고, 설명을 한 것이다. 한국역사(韓國歷史)는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역사를 적어놓은 것이다. 역사의 이해가 이루어져야만 족보 속에 나오는 사람들의 삶이 쉽게 이해된다. 왕실계보도(王室系譜圖)는 통치한 왕들의 계보도로 한 국가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고, 족보에 나오는 인명의 시대를 가늠하는 데 참고가 된다. 성씨(姓氏)의 유래(由來)는 한국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모든 성씨를 대상으로 시조(始祖)와 중시조, 파조를 살피고, 현재까지 어떻게 내려왔는가를 밝혀놓은 것이다. 동서양연대대조표(東西洋年代對照表)는 족보에 간지로 연대가 표시된 것을 서기(西紀) 연도로 쉽게 보기 위한 것이다.
기타 각 가문에서 중요하거나 참고가 될 만한 것을 족보 부록으로 실어 놓는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7.0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