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3권의 제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로3권의 제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II. 근로3권 제한의 법적 근거
III. 근로의 성질에 의한 근로3권의 제한
IV. 사업의 성질에 의한 근로3권의 제한
V. 결

본문내용

이 제한 또는 금지될 수 있다.
(2) 제한의 근거
헌법 37조 2항의 국가안전보장을 그 근거로 찾고 있다.
(3) 효과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라 할지라도 방산물자의 생산에 직접 관련된 자의 단체행동권만이 제한되며,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을 제한할 수 없다.
따라서 방산물자 생산에 직접 관련이 없는 자는 근로3권을 향유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2. 공익사업 종사자에 대한 단체행동권의 제한
(1) 공익사업
공중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업으로, 정기노선여객운수사업 및 항공운수사업, 공중위생 및 의료사업 및 혈액공급사업, 은행 등이 있다.
(2) 필수공익사업
①개념 및 예시
공익사업 중에서 그 업무의 정지 또는 폐지가 공중의 일상생활을 현저히 위태롭게 하거나 국민경제를 현저히 저해하고 그 업무의 대체가 용이하지 아니한 사업을 말한다. 철도, 병원, 통신사업 등이 이에 해당한다.
②개정법의 내용
최근 개정된 노조법에서는 필수공익사업의 직권중재가 쟁의권의 과도한 제약이라는 비판과 함께 위헌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이를 삭제 하였다.
그리고, 종전 필수공익사업에서 항공운수사업 및 혈액공급사업을 추가하였으며, 필수공익사업 중에서 필수유지업무를 도입하였다.
다만, 이는 노사의 준비 등을 고려하여 08.1.1부터 시행하도록 하였다.
(3) 효과
①조정기간
공익사업의 조정기간은 일반 사업과 달리 15일이다.
②직권중재
필수공익사업의 경우 직권중재가 가능하며 직권중재에 회부되면 15일간 쟁의행위가 금지된다. 다만, 08.1.1부터 이는 완전히 시행되지 않게 된다.
③긴급조정
노동부장관의 결정으로 긴급조정이 가능하며, 긴급조정시에는 공표한 날로부터 30일간 쟁의행위가 금지된다.
V. 결
1. 근로3권의 전면적 부인 또는 본질적 내용 침해의 금지
근로3권이 법률 및 기타 규정에 의하여 제한될지라도 그 제한은 필요최소한도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근로3권의 전면적 부인 또는 본질적 내용의 침해는 인정될 수 없다고 볼 것이다.
2. 공무원 및 교원에 대한 단체행동권 인정의 필요성
공무원노조법이 제정되었음에도 공무원노조가 법외노조로 남으려 하는 것은 단체행동권이 전면적으로 부인되기 때문이다. 물론 공무원이 국가와 특수한 신분관계 및 공공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그들도 근로자성이 인정되는바 단체행동권의 일부행사를 용인하는 방향으로 법개정이 이루어짐이 타당할 듯싶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7.1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