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수행평가의 개념
Ⅲ. 수행평가의 특징
Ⅳ. 포트폴리오의 정의
Ⅴ. 포트폴리오의 의미
Ⅵ. 포트폴리오의 교육적 효과
Ⅶ.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행평가의 향후 과제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수행평가의 개념
Ⅲ. 수행평가의 특징
Ⅳ. 포트폴리오의 정의
Ⅴ. 포트폴리오의 의미
Ⅵ. 포트폴리오의 교육적 효과
Ⅶ.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행평가의 향후 과제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도이다. 학생 선발을 지필검사 점수로 판단하는 평가 체제는 학교로 하여금 이른바 \'측정 유도 수업(Measurement- Driven Instruction; MDI)\'을 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즉 교사가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학생을 가르치고 가르친 내용을 평가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피드백하는 정상적인 교육 활동을 하기보다는 \'시험에 나올 것을 예상하여 가르치는\' 왜곡된 현상이 나타난다. 각종 학교의 입학 전형이 지필검사 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학교 교육에 있어서 수행평가의 정착은 요원하다.
마지막 장애는 교사 자신이다. 교사 자신부터 평가는 곧 시험이라는 등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수업은 수업대로 하고 한두 번의 지필 시험 점수로써 학생을 규정짓는 것을 평가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은 하루속히 사라져야 한다. 우리 다함께 \'학습평가는 인간이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인간규정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명제를 음미할 필요가 있다.
Ⅷ. 결론
수행평가는 학생이 과제의 수행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인지 기능을 평가한다. 그리고 수행평가는 재능과 요구가 다양한 학생들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는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지원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수업 방식을 개선하도록 유도하고 학생의 진보 정도와 학교 운영 상황을 사정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비용이 많이 들고 노동집약적이라는 이유로 수행평가를 사용하기를 주저한다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게 된다. 컴퓨터를 위시한 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수행평가 도구가 개발·보급되고 각급 학교에서 그것을 활용하는 날이 올 때까지 기다릴 것인가? 교사들이 직접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실시하고 채점하는 번거로운 일을 마다하지 않을 때 교육의 질은 그 만큼 높아질 것이다.
참고문헌
◎ 남명호(1995),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교육 평가 연구, 제8권 제2호
◎ 백순근(1998), 학생평가 방법의 다양화, 교육월보 3월호
◎ 이명숙(1996), 포트폴리오 수행평가의 효율적인 대안, 대구교대, 초등교육 연구 논총
◎ 이영석·이정화(2001), 영역별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 원리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조한무(1998),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교육과학사
◎ 황숙희(1997), 포트폴리오 평가 체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마지막 장애는 교사 자신이다. 교사 자신부터 평가는 곧 시험이라는 등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수업은 수업대로 하고 한두 번의 지필 시험 점수로써 학생을 규정짓는 것을 평가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은 하루속히 사라져야 한다. 우리 다함께 \'학습평가는 인간이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인간규정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명제를 음미할 필요가 있다.
Ⅷ. 결론
수행평가는 학생이 과제의 수행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인지 기능을 평가한다. 그리고 수행평가는 재능과 요구가 다양한 학생들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는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지원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수업 방식을 개선하도록 유도하고 학생의 진보 정도와 학교 운영 상황을 사정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비용이 많이 들고 노동집약적이라는 이유로 수행평가를 사용하기를 주저한다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게 된다. 컴퓨터를 위시한 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수행평가 도구가 개발·보급되고 각급 학교에서 그것을 활용하는 날이 올 때까지 기다릴 것인가? 교사들이 직접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실시하고 채점하는 번거로운 일을 마다하지 않을 때 교육의 질은 그 만큼 높아질 것이다.
참고문헌
◎ 남명호(1995),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교육 평가 연구, 제8권 제2호
◎ 백순근(1998), 학생평가 방법의 다양화, 교육월보 3월호
◎ 이명숙(1996), 포트폴리오 수행평가의 효율적인 대안, 대구교대, 초등교육 연구 논총
◎ 이영석·이정화(2001), 영역별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 원리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조한무(1998),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교육과학사
◎ 황숙희(1997), 포트폴리오 평가 체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