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객(만화, 영화, 드라마 비교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객(만화, 영화, 드라마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는 결말로 이끌고 있다. 영화에서는 성찬과 오봉주의 대결이 중심이므로 결론에서도 이들의 대결의 결과(성찬의 승, 오봉주와 운암정의 몰락) 를 보여주어 어떻게 보면 권선징악과 비슷한 의미를 담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역시 성찬과 오봉주의 대결이 중심소재이지만 결론은 이 둘의 대결이 아니라 외부세력과의 대결로 이끌어감으로써 다시 한 번 처음에 선보였던 형제애를 보여준다. 오숙수가 성찬을 양자로 삼아 성찬이 오봉주를 친형처럼 따랐고 계속해서 도와주려는 모습은 처음부터 이 결론을 염두에 두고 원작 그리고 영화와는 다르게 연출한 부분일 것이다. 영화와 드라마의 두 결말 모두 중심 플롯에서 이어지는 최고의 극적 긴장감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에서 내용의 차이를 떠나 좋은 점수를 주고 싶다.
하지만 여기서 아쉽게 느낀 점은, 먼저 영화에서는 갑작스레 일본인이 조선(한국)에 대해 무조건적인 사죄의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물론 선조의 잘못이 있기는 하지만 어떠한 연유로 본인이 그러한 자세를 취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그리고 드라마에서는 마지막에 갑자기 자세를 바꾸는 오봉주의 심경변화에 대한 조금 더 상세한 묘사가 있었으면 훨씬 더 스토리의 진행과 시청자의 이해가 매끄럽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어떠한 것이든 100% 만족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섬세함의 부족이 아쉽게 느껴지기는 했지만 극적인 결말은 그것을 덮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4. 마치며
식객은 만화로도, 영화로도, 드라마로도 모두 인기를 끌었다. 그 스토리상 그리고 캐릭터상의 특징은 차이가 있었지만 우리 맛을 근본으로 한 중심 소재는 변하지 않았다. 아직은 우리나라에서 없었던 ‘음식’ 이라는 생소한 소재. 그 소재를 찾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전통 음식이라는 광범위한 소재를 다루기 위해 원작자는 4년간의 준비를 하고 작품 활동에 들어가기에 이르렀다. 만약 상상력과 추측에 의거하여 식객이라는 만화가 나왔다면 독자로 하여금 큰 감동과 공감은 이끌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가 접해보지 못했던 음식이라도 거기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담겨있기 때문에 생소하지 않고 정겹게 느껴져 내용에 더욱 몰입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영화와 드라마는 그 근본을 밑바탕에 깔아두고 장르의 특성상 대결과 갈등을 앞세워 흥미를 주는 요소를 최대한 끄집어내고 첨가하여 식객의 또 다른 맛을 느끼게 해주었다. 이것은 탄탄한 원작의 스토리가 있었기에 가능했으리라 생각한다. 굉장히 많은 소재가 있었기에 그 중 감독의 의도에 맞는 소재를 택하여 새로운 가공을 한 것이다.
원소스멀티유즈(OSMU)가 점점 중요성을 띄고 있고, 문화 산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요즘이다. 그 가운데에서 식객은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OSMU 의 조건인 탄탄한 스토리, 다양하고 개성 있는 캐릭터, 독특하고 흥미로운 소재 등을 두루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그 부분에 대해 더 한층 깊이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어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7.2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