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
Ⅲ. 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1. 개인적 측면에서의 필요성
2. 국가·사회적 측면에서의 필요성
Ⅳ.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Ⅴ.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현황
Ⅵ.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문제점
1. 학교 교육의 진로지도 체제 미비
2. 학부모들의 오도된 교육관
3. 진로지도에 대한 행정적 지원의 결여
Ⅶ.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실천 방향
Ⅷ.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선 방안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
Ⅲ. 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1. 개인적 측면에서의 필요성
2. 국가·사회적 측면에서의 필요성
Ⅳ.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Ⅴ.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현황
Ⅵ.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문제점
1. 학교 교육의 진로지도 체제 미비
2. 학부모들의 오도된 교육관
3. 진로지도에 대한 행정적 지원의 결여
Ⅶ.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실천 방향
Ⅷ.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선 방안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견을 수렴한 진로 연수 주제 및 방법의 다양화로 연수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노력한다. 또한 교육청 차원에서 진로 전문가로 구성된 인력 pool제를 운영하여 단위 학교에 다양한 계층의 진로 전문 강사를 지원해 준다.
일곱째, 자녀의 진로교육을 위해 가정의 역할을 다한다. 가정은 학교의 진로교육에 협조하고, 학교는 학부모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며, 지역 사회와 밀접한 유대 관계를 갖고 지역 사회가 진로교육의 학습장이 되도록 지역 사회의 여러 가지 자원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등으로 진로교육위원회를 구성하여 진로교육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견학 장소, 실습 장소로 이용한다. 즉 진로교육을 위한 가정의 역할을 다해야 하며, 자녀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따뜻한 애정과 신뢰를 제공하여 자녀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주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내적 힘을 기르도록 도와준다.
여덟째, 교사들의 진로지도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한다.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과 지도력 없이는 진로교육이 발전해 나갈 수 없다. 모든 교사들은 교내·외 진로연수나 워크숍에 적극 참여하여 자신의 진로지도에 대한 전문성 신장에 노력해야 하며, 특히 단위 학교에서는 학년 초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진로연수를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진로지도에 대한 마인드를 가지고 진로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Ⅸ. 결론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일과 직업의 세계를 이해하고, 탐색하는 단계이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을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체험학습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동안의 진로교육은 집단적인 강의, 주입식, 훈계 등으로만 이루어져서 일과 직업에 대한 막연한 인식을 심어 줄 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가 없었다.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처음 작업은 바로 이 체험학습을 체계적으로 계획, 전개, 실천하여 다양한 진로 체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직접 실시할 수 있는 경제적이며 현실적인 진로체험 학습 프로그램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사가 진로지도 교사가 되어 모든 교과 활동에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별활동과 방과 후 활동, 방학 중 활동, 학교 행사 등의 체험학습을 비롯하여, 진로상담의 혁신과 아울러 진로 정보 자료 활용을 위한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교사와 학부모의 진로 인식의 전환을 위한 연수 실시 등 진로교육 중심의 학교 운영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강재태 외(2000), 진로지도 워크북, 교육과학사
ⅱ. 김충기·김현옥(1993),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건국대학출판부
ⅲ. 부평여자중학교(1997), 진로 정보 자료 활용을 통한 진로 탐색 능력 신장
ⅳ.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1995), 진로교육 지도안 중학교 3학년
ⅴ. 이정근(1988), 진로지도의 실제, 성원사
ⅵ. 양평중학교(2001), 나의 꿈·나의 미래, 경기
ⅶ. 정경아(2001), 중학교의 진로의식 및 직업관지도 활성화 방안
일곱째, 자녀의 진로교육을 위해 가정의 역할을 다한다. 가정은 학교의 진로교육에 협조하고, 학교는 학부모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며, 지역 사회와 밀접한 유대 관계를 갖고 지역 사회가 진로교육의 학습장이 되도록 지역 사회의 여러 가지 자원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등으로 진로교육위원회를 구성하여 진로교육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견학 장소, 실습 장소로 이용한다. 즉 진로교육을 위한 가정의 역할을 다해야 하며, 자녀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따뜻한 애정과 신뢰를 제공하여 자녀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주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내적 힘을 기르도록 도와준다.
여덟째, 교사들의 진로지도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한다.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과 지도력 없이는 진로교육이 발전해 나갈 수 없다. 모든 교사들은 교내·외 진로연수나 워크숍에 적극 참여하여 자신의 진로지도에 대한 전문성 신장에 노력해야 하며, 특히 단위 학교에서는 학년 초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진로연수를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진로지도에 대한 마인드를 가지고 진로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Ⅸ. 결론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일과 직업의 세계를 이해하고, 탐색하는 단계이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을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체험학습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동안의 진로교육은 집단적인 강의, 주입식, 훈계 등으로만 이루어져서 일과 직업에 대한 막연한 인식을 심어 줄 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가 없었다.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처음 작업은 바로 이 체험학습을 체계적으로 계획, 전개, 실천하여 다양한 진로 체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직접 실시할 수 있는 경제적이며 현실적인 진로체험 학습 프로그램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사가 진로지도 교사가 되어 모든 교과 활동에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별활동과 방과 후 활동, 방학 중 활동, 학교 행사 등의 체험학습을 비롯하여, 진로상담의 혁신과 아울러 진로 정보 자료 활용을 위한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교사와 학부모의 진로 인식의 전환을 위한 연수 실시 등 진로교육 중심의 학교 운영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강재태 외(2000), 진로지도 워크북, 교육과학사
ⅱ. 김충기·김현옥(1993),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건국대학출판부
ⅲ. 부평여자중학교(1997), 진로 정보 자료 활용을 통한 진로 탐색 능력 신장
ⅳ.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1995), 진로교육 지도안 중학교 3학년
ⅴ. 이정근(1988), 진로지도의 실제, 성원사
ⅵ. 양평중학교(2001), 나의 꿈·나의 미래, 경기
ⅶ. 정경아(2001), 중학교의 진로의식 및 직업관지도 활성화 방안
추천자료
생활자립진로교육 프로그램 구조파악
진로교육
여학생 진로교육에 관하여
진로교육을 통한 직업교육의 새로운 모델 제시
생활자립, 진로교육 프로그램 구조파악
초등학교2학년 교육과정 법적기저와 교육과정 편성운영, 초등학교2학년 중점교육활동, 초등학...
창의적 재량활동 의의, 창의적 재량활동 편성방향과 기준, 창의적 재량활동 기본운영방향, 민...
초등학교(초등교육)의 교양농업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진로교육과 인성교육, 초등학교(...
[교육프로그램][전환교육][창의성교육][EBS교육]전환교육프로그램, 창의성교육프로그램, EBS...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효경교육과 예절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통일교육과 미디어교육, ...
생각을 키우는 이야기교육 수업자료(교수자료), 양성평등교육 수업자료(교수자료), 예절교육 ...
[영국][영국교육][영국의 교육][교육제도][유아교육][미디어교육][진로교육][노인교육][특수...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도입 과정,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제7차교육과정 추구...
진로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