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
호흡성산증
대사성산증
원인
ㆍCO2과다 : CO2배출부전
ㆍ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의 손상
ㆍ약물에 의한 호흡중추 억제
ㆍ기도폐쇄 : 만성기관지염,폐렴
ㆍ호흡근의 약화 : 회백수염
ㆍ폐포 환기면적의 감소 : 무기폐,기 흉,폐기종
ㆍCO2이외의 산이 혈액 내 축적
ㆍHCO3소실
ㆍ산성물질의 생성증가
ㆍ산성물질의 섭취증가
ㆍ중탄산염의 손실 : 심한 설사, 장루
ㆍ부신기능 부전증
증상
ㆍ두통, 흐린시야, 빈맥, 부정맥, 졸 림, 과다환기, 포타슘 과다
ㆍ뇌척수액 pH감소, 두통, 복통, 혼돈, 졸 림, 혼수, 과환기, 포타슘과다
검사
ㆍpH 7.35이하
ㆍPaCO2 45mmHg이상
ㆍHCO3정상
ㆍpH 7.35이하
ㆍPaCO2정상
ㆍHCO3 22mmHg
간호
ㆍ환기증진
ㆍ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ㆍ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ㆍ기관지 확장제
ㆍ체위배액법
ㆍ인공호흡기
ㆍ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ㆍ구강간호
ㆍ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ㆍ중탄산이온 투여
ㆍI&O check
ㆍ수분공급
2)산증
호흡성 알칼리증
대사성 알칼리증
원인
ㆍCO2부족 : 호흡깊이, 횟수
증가로 CO2과잉 배출
ㆍ발열, 저산소증에 의한 과다 환기
ㆍ폐 질환
ㆍ과도한 기계 환기
ㆍ갑상성 기능 항진증
ㆍCO2이외의 산의 부족
ㆍHCO3증가
ㆍ구토, 위흡인 : 위산의 부족
ㆍ제산제나 중조의 과다섭취
ㆍ이뇨제 사용으로 인한 저칼
륨혈증
ㆍ염기물질의 과다 섭취
ㆍ포타슘저하
증상
ㆍ저리고 얼얼한 느낌
ㆍ가벼운 두통
ㆍ반사항진, 경련
ㆍ저칼륨혈증
ㆍ저칼슘혈증
ㆍ손가락, 발가락의 무감각증,
저림
ㆍ뇌척수액 pH증가
ㆍ오심, 구토
ㆍ혼돈, 기면, 지각이상
ㆍ저칼슘(테타니)
ㆍ저칼륨(부정맥)
ㆍ느리고 얕은 호흡
ㆍ알칼리성 소변 배설
검사
ㆍpH7.45이상
ㆍPaCO2 35mmHg이하
ㆍHCO3정상
ㆍpH7.45이상
ㆍPaCO2정상
ㆍHCO3 26mmHg
간호
ㆍ과환기 중지는 위험 → 산 소화 증진
ㆍ호기된 공기는 다시 호흡
ㆍ종이봉투사용→혈중 PaCO
2증가
ㆍ경련 예방위한 안전대책 강
구
ㆍ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ㆍ제산제의 적절한 사용 교육
ㆍ산소화 증진
ㆍ전해질 결핍(칼륩,칼슘)보충
ㆍ적절한 수분섭취
ㆍ이뇨제
3)알칼리증
4)신체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체계
①혈액 완충계(순환계)
②호흡기계(폐)
③신장계
-신장세뇨관에서 중탄산, 암모니아, 인이 완충작용
-세포외액의 pH가 감소할수록 H배설 촉진
5) 정상적인 탄산(산) 중탄산(염기)의 비율 = 1:20
호흡성산증
대사성산증
원인
ㆍCO2과다 : CO2배출부전
ㆍ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의 손상
ㆍ약물에 의한 호흡중추 억제
ㆍ기도폐쇄 : 만성기관지염,폐렴
ㆍ호흡근의 약화 : 회백수염
ㆍ폐포 환기면적의 감소 : 무기폐,기 흉,폐기종
ㆍCO2이외의 산이 혈액 내 축적
ㆍHCO3소실
ㆍ산성물질의 생성증가
ㆍ산성물질의 섭취증가
ㆍ중탄산염의 손실 : 심한 설사, 장루
ㆍ부신기능 부전증
증상
ㆍ두통, 흐린시야, 빈맥, 부정맥, 졸 림, 과다환기, 포타슘 과다
ㆍ뇌척수액 pH감소, 두통, 복통, 혼돈, 졸 림, 혼수, 과환기, 포타슘과다
검사
ㆍpH 7.35이하
ㆍPaCO2 45mmHg이상
ㆍHCO3정상
ㆍpH 7.35이하
ㆍPaCO2정상
ㆍHCO3 22mmHg
간호
ㆍ환기증진
ㆍ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ㆍ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ㆍ기관지 확장제
ㆍ체위배액법
ㆍ인공호흡기
ㆍ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ㆍ구강간호
ㆍ마약성 진통제 사용 금지
ㆍ중탄산이온 투여
ㆍI&O check
ㆍ수분공급
2)산증
호흡성 알칼리증
대사성 알칼리증
원인
ㆍCO2부족 : 호흡깊이, 횟수
증가로 CO2과잉 배출
ㆍ발열, 저산소증에 의한 과다 환기
ㆍ폐 질환
ㆍ과도한 기계 환기
ㆍ갑상성 기능 항진증
ㆍCO2이외의 산의 부족
ㆍHCO3증가
ㆍ구토, 위흡인 : 위산의 부족
ㆍ제산제나 중조의 과다섭취
ㆍ이뇨제 사용으로 인한 저칼
륨혈증
ㆍ염기물질의 과다 섭취
ㆍ포타슘저하
증상
ㆍ저리고 얼얼한 느낌
ㆍ가벼운 두통
ㆍ반사항진, 경련
ㆍ저칼륨혈증
ㆍ저칼슘혈증
ㆍ손가락, 발가락의 무감각증,
저림
ㆍ뇌척수액 pH증가
ㆍ오심, 구토
ㆍ혼돈, 기면, 지각이상
ㆍ저칼슘(테타니)
ㆍ저칼륨(부정맥)
ㆍ느리고 얕은 호흡
ㆍ알칼리성 소변 배설
검사
ㆍpH7.45이상
ㆍPaCO2 35mmHg이하
ㆍHCO3정상
ㆍpH7.45이상
ㆍPaCO2정상
ㆍHCO3 26mmHg
간호
ㆍ과환기 중지는 위험 → 산 소화 증진
ㆍ호기된 공기는 다시 호흡
ㆍ종이봉투사용→혈중 PaCO
2증가
ㆍ경련 예방위한 안전대책 강
구
ㆍ의식수준에 맞는 안전대책
ㆍ제산제의 적절한 사용 교육
ㆍ산소화 증진
ㆍ전해질 결핍(칼륩,칼슘)보충
ㆍ적절한 수분섭취
ㆍ이뇨제
3)알칼리증
4)신체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체계
①혈액 완충계(순환계)
②호흡기계(폐)
③신장계
-신장세뇨관에서 중탄산, 암모니아, 인이 완충작용
-세포외액의 pH가 감소할수록 H배설 촉진
5) 정상적인 탄산(산) 중탄산(염기)의 비율 = 1: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