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하사 석연 석헤 사황 벽력첩 식염 융염 석감 응수석 현정석
본문내용
노감이 의당하다.
肌膚粗者,以湯洗之,頑皮漸退,是柔肌膚之謂也。
살갗과 피부가 거칠면 탕으로 씻으니 완고한 피부는 점차 쇠퇴하니 살갗과 피부를 유연하게 함을 말함이다.
水乃灰淋湯,沖銀 (검푸를, 검은 기둥 유; -총17획; yao,you)
所造,性能發面,故面鋪中無不用之,病患食之多發浮腫,故方後每忌濕麵。
수감은 부엌재를 물뿌린 탕에 은유각으로 만드니 성질이 얼굴에 발하니 그래서 안면의 깔면 다시 사용함이 없으니, 병환자가 먹으면 많이 부종이 발생하므로 처방 뒤에 습면을 금기한다.
觀其善滌衣垢,克削可知。
노감이 잘 옷의 때를 제거함을 보면 이기고 깍음을 알 수 있다.
凝水石
응수석
寒水石
응수석은 한수석이다.
辛鹹寒,無毒。
응수석은 신미와 함미와 한기로 독이 없다.
近世者不易得,欲驗僞,含之化爲,否是僞。
근세에 진품은 끊어져서 쉽게 얻지 못하며 진위를 시험하고자 하면 머금으면 참된 것으로 변화하니 아니면 위품이다.
石膏亦名寒水石,與此不同。
석고도 또한 한수석으로 불리나 이와는 같지 않다.
《本經》主身熱,腹中積聚邪氣,皮中如火燒,煩滿。
신농본초경에는 응수석은 신열을 주치하니 배 속의 적취와 사기 피부 속이 불로 태우는 듯하고 번만함을 치료한다.
發明 寒水石生積鹽之下,得陰凝之氣而成,鹽之精也。
발명 한수석은 적을 생성하며 소금의 아래에서 응결한 기가 생성하니 소금의 정화이다.
治心腎積熱之上藥。
한수석은 심과 신의 적열을 치료하는데 으뜸의 약이다.
《本經》治腹中積聚,鹹能軟堅也。
신농본초경은 배 속의 적취를 치료함에 함미는 단단함을 연하게 할 수 있다.
身熱皮中如火燒,鹹能降火也。
신열로 피부 속이 불로 태우는 듯함에 함미는 화를 내릴 수 있다.
《金》風引湯,《局方》紫雪,皆用以治有餘之邪熱也。
금궤요략에는 풍인탕이며, 국방은 자석이니 모두 유여한 열사를 치료한다.
如無者,戎鹽、玄精石皆可代用,總取鹹寒降泄之用耳。
만약 진품 한수석이 없으면 융염, 현정석을 모두 대신 사용할 수 있으니 모두 함미와 한기를 취하여 내리고 발설해서 사용할 뿐이다.
玄精石
현정석
辛鹹寒,無毒。
현정석은 신미와 함미, 한기로 독이 없다.
白龜背者良。
청백색 거북 등과 같은 현정석이 좋다.
《本經》除風冷邪氣濕,益精氣。
신농본초경에는 현정석은 풍랭의 사기와 습비를 제거하며 정과 기를 더하였다.
發明 玄精石稟太陰之精,與鹽同性,故其形皆六出,象老陰之數也。
발명: 현정석은 태음의 정을 품수하여 소금과 성질이 같으므로 형질이 모두 6가지로 나오니 노음의 수를 본떴다.
《本經》言味鹹氣溫,傳寫之誤,其氣寒而不溫,其味辛鹹降。
신농본초경은 현정석은 함미로 온기라고 하나 전사의 오류이니 한기이며 따뜻하지 않으니 신미와 함미로 가라앉고 하강한다.
同硫黃、硝石治上盛下虛,收陽助陰,有扶危拯逆之功。
현정석은 유황, 초석과 함께 상성하허를 치료하며 양을 거두고 음을 돕고 위태로움을 도와 거역을 돕는 공로가 있다.
來復丹用之,專取一陽來復之義,寒因寒用,深得《本經》諸治之奧。
내복단에서 현정석을 사용함은 오로지 1양이 다시 오는 뜻이니 한증을 한성을 원인하여 사용하니 깊이 신농본초경의 여러 치료의 오묘함을 얻었다.
肌膚粗者,以湯洗之,頑皮漸退,是柔肌膚之謂也。
살갗과 피부가 거칠면 탕으로 씻으니 완고한 피부는 점차 쇠퇴하니 살갗과 피부를 유연하게 함을 말함이다.
水乃灰淋湯,沖銀 (검푸를, 검은 기둥 유; -총17획; yao,you)
所造,性能發面,故面鋪中無不用之,病患食之多發浮腫,故方後每忌濕麵。
수감은 부엌재를 물뿌린 탕에 은유각으로 만드니 성질이 얼굴에 발하니 그래서 안면의 깔면 다시 사용함이 없으니, 병환자가 먹으면 많이 부종이 발생하므로 처방 뒤에 습면을 금기한다.
觀其善滌衣垢,克削可知。
노감이 잘 옷의 때를 제거함을 보면 이기고 깍음을 알 수 있다.
凝水石
응수석
寒水石
응수석은 한수석이다.
辛鹹寒,無毒。
응수석은 신미와 함미와 한기로 독이 없다.
近世者不易得,欲驗僞,含之化爲,否是僞。
근세에 진품은 끊어져서 쉽게 얻지 못하며 진위를 시험하고자 하면 머금으면 참된 것으로 변화하니 아니면 위품이다.
石膏亦名寒水石,與此不同。
석고도 또한 한수석으로 불리나 이와는 같지 않다.
《本經》主身熱,腹中積聚邪氣,皮中如火燒,煩滿。
신농본초경에는 응수석은 신열을 주치하니 배 속의 적취와 사기 피부 속이 불로 태우는 듯하고 번만함을 치료한다.
發明 寒水石生積鹽之下,得陰凝之氣而成,鹽之精也。
발명 한수석은 적을 생성하며 소금의 아래에서 응결한 기가 생성하니 소금의 정화이다.
治心腎積熱之上藥。
한수석은 심과 신의 적열을 치료하는데 으뜸의 약이다.
《本經》治腹中積聚,鹹能軟堅也。
신농본초경은 배 속의 적취를 치료함에 함미는 단단함을 연하게 할 수 있다.
身熱皮中如火燒,鹹能降火也。
신열로 피부 속이 불로 태우는 듯함에 함미는 화를 내릴 수 있다.
《金》風引湯,《局方》紫雪,皆用以治有餘之邪熱也。
금궤요략에는 풍인탕이며, 국방은 자석이니 모두 유여한 열사를 치료한다.
如無者,戎鹽、玄精石皆可代用,總取鹹寒降泄之用耳。
만약 진품 한수석이 없으면 융염, 현정석을 모두 대신 사용할 수 있으니 모두 함미와 한기를 취하여 내리고 발설해서 사용할 뿐이다.
玄精石
현정석
辛鹹寒,無毒。
현정석은 신미와 함미, 한기로 독이 없다.
白龜背者良。
청백색 거북 등과 같은 현정석이 좋다.
《本經》除風冷邪氣濕,益精氣。
신농본초경에는 현정석은 풍랭의 사기와 습비를 제거하며 정과 기를 더하였다.
發明 玄精石稟太陰之精,與鹽同性,故其形皆六出,象老陰之數也。
발명: 현정석은 태음의 정을 품수하여 소금과 성질이 같으므로 형질이 모두 6가지로 나오니 노음의 수를 본떴다.
《本經》言味鹹氣溫,傳寫之誤,其氣寒而不溫,其味辛鹹降。
신농본초경은 현정석은 함미로 온기라고 하나 전사의 오류이니 한기이며 따뜻하지 않으니 신미와 함미로 가라앉고 하강한다.
同硫黃、硝石治上盛下虛,收陽助陰,有扶危拯逆之功。
현정석은 유황, 초석과 함께 상성하허를 치료하며 양을 거두고 음을 돕고 위태로움을 도와 거역을 돕는 공로가 있다.
來復丹用之,專取一陽來復之義,寒因寒用,深得《本經》諸治之奧。
내복단에서 현정석을 사용함은 오로지 1양이 다시 오는 뜻이니 한증을 한성을 원인하여 사용하니 깊이 신농본초경의 여러 치료의 오묘함을 얻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