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 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2. 작품 줄거리

3. 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1) 신시아
(2) 그레이함
(3) 존
(4) 앤

4. 섹스와 거짓말의 상관관계

5. 인터뷰에 내포되어 있는 주제의식

본문내용

럼. 그레이함이라는 정직한 성불능자를 증인삼아 남에게 비춰지는 내가 아닌 자신의 마음 속에 있는 나를 꺼내어 놓는다. 그리고 녹화 뒤, 자신의 삶을 교정시켜 나간다. 마치 마법에서 풀린 것처럼, 새장 밖에서 나온 것처럼... 자신을 억누르던 남을 위한 나를 벗어나게 된다. 영화는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굳이 분석을 한다면 이렇게 되지만...
5. 인터뷰에 내포되어 있는 주제의식
이 영화는 여성들의 억눌린 성 심리를 비디오에 고백 형식으로 담는 사나이를 중심으로 현대 사회에서 인간 심리의 내면에 잠재해 있는 성 문제들을 해부한 작품이다. 이 영화의 주된 테마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아무도 가면을 벗지 않는다"이다. 가면을 벗더라도 마지막 한 꺼풀의 가면은 절대로 벗지 않는 세상사람들...
그래서 행복하지 못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이들에게는 "행복해요"를 말하는 아내들. 다시 말해 "아무도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라는 문제 때문에 그레이함은 7년 동안 헤매고 다니며 진실을 끌어내기 위한 인터뷰를 했던 것이다. 사람들이 꼭꼭 숨기고 사는 진실을 끌어내기 위해 주인공은 인터뷰의 방법으로 성에 관한 주제를 선택했던 것 같다. 영화의 표지에는 "전미 흥행1위""엄청난 관객동원" 등등의 말이 씌어 있었는데 이는 곧 "아무도 진실을 말하지 않는" 이 문제에 대해 수많은 사람들이 공감을 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레이함은 7년 동안 인터뷰를 ..그것도 여자만을 골라 인터뷰를 했다.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도 내가 알 수 없는 그 사람의 진실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 영화는 단순히 이런 문제만 들고 나와 흔들고 간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해결을 제시하기도 한다. 인터뷰의 방법으로, 프로이드적으로 말하자면 인터뷰대상이 어린 시절 경험했던 성으로부터 현재의 심리상태를 들여다보고자 했던 것이고 융의 이론을 빌어 말하자면 아니무스(여성의 내부에있는 남성의 이미지)를 파악함으로 해서 인터뷰 대상인 여성도 몰랐던 (물론 주인공도 몰랐던) 진실을 끌어내는 것이 바로 마지막 장면이었고(그레이함과 인터뷰대상 여자가 함께 살기로 함) 그것이 바로 그레이함이 7년 동안 찾아다녔던 바로 “그것"이었던 것이다. 우린 모두 가면을 벗을 수가 없다. 모두들 가면을 벗지 않는데 나만 가면을 벗으면 나만 바보가 되니까.. 이런 가운데 그레이함은 참으로 독특하게도 인터뷰"를 했다 참으로 매력적인 영화였다.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0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