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金石 기부 금부 인부 설사 습열 초부 곡채 목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金石 기부 금부 인부 설사 습열 초부 곡채 목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金石 기부 금부 인부
설사 습열
초부 곡채 목석 수부

본문내용

식적과 비설사에 마늘과 함께 환으로 복용한다.
胡黃連호황련
(疳瀉。)
호황련은 감질설사를 치료한다.
澤瀉 택사
木通 목통
地膚子 지부자
燈芯 등예
[穀菜]곡식과 채소
粟米좁쌀
(除濕熱 利小便 止煩渴 燥脾胃。)
속미는 함께 습열을 제거하고 소변을 이롭게 하고 번갈을 멎게 하고 비위를 따듯하게 한다.
靑粱米 청색 기장쌀
丹黍米 붉은색 기장쌀
山藥산약
(濕泄,同蒼朮丸服。)
산약은 습설에 창출과 함께 환으로 복용한다.
薏苡仁 의이인
[木石]나무와 돌
梔子치자
(食物直出,十個微炒,煎服。)
치자는 물건을 먹으면 직접 나오니 10개를 약간 볶아서 달여 복용한다.
黃蘗황백
(小兒熱瀉,焙硏米湯服,去下焦濕熱。)
황백은 소아 열증설사에 약한 불로 갈아 쌀탕에 복용하니 하초의 습열을 제거한다.
茯 복령
猪 저령
石膏석고
(水泄,腹鳴如雷 硏,飯丸,服二十丸,二服愈。)
석고는 물설사와 우레처럼 배가 울음에 불에 달구어 갈아서 밥으로 환을 만들어 20환을 복용하니 2번 복용하면 낫는다.
雄黃웅황
(暑毒泄痢,丸服。)
서독의 설사 이질에 웅황을 환으로 복용한다.
滑石활석
〔獸部〕들짐승 부분
猪膽돼지담
(入白通湯,止少陰下利。)
돼지담은 백통탕에 넣으면 소음병 하리를 멎게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8.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