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새로운 서식 장소에 신속히, 그리고 더 철저하게 확산되어 나감으로써 대형 포식자는 진입한 장소의 생태계에 큰 손상을 입히고, 그들 자신도 새로운 서식 장소에서 다양한 경쟁종과 새로운 병원 생물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바다에서는 최상위 포식자의 높은 이동 능력이 반대의 효과를 초래한다. 바다에서의 대멸종이 해양 환경의 물리적 변화로 일어난다면, 서식 장소가 특정 해역에 한정되어 있는 길드가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이다. 이를테면 소형 오징어를 주로 먹는 바프타노돈류는, 그 해역을 플랑크톤 양이 감소되어 오징어가 준다면 멸종될 것이다.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의 서식 장소는 특정 해역에 한정되어 있지 않았다. 대형의 플리오사우루스는 쥐라기 말기의 대멸종이나 백악기 중기의 멸종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었다. 각 개체는 아마 광대한 수렵 권을 가지고 거의 모든 길드에 속한 다양한 먹이를 잡아먹으며 살아 나가고 있었을 것이다. 어딘가에 먹이의 개체군이 생존하고 있기만 하다면, 최상위 포식자는 위기를 넘길 수 있다. 대형 플리오사우루스류의 길드를 소멸 시킨 것은 백악기 말기에 일어난 천재지변과 같은 오랜 시간에 걸친 해양 환경의 교란뿐이다.
그러나 바다에서는 최상위 포식자의 높은 이동 능력이 반대의 효과를 초래한다. 바다에서의 대멸종이 해양 환경의 물리적 변화로 일어난다면, 서식 장소가 특정 해역에 한정되어 있는 길드가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이다. 이를테면 소형 오징어를 주로 먹는 바프타노돈류는, 그 해역을 플랑크톤 양이 감소되어 오징어가 준다면 멸종될 것이다.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의 서식 장소는 특정 해역에 한정되어 있지 않았다. 대형의 플리오사우루스는 쥐라기 말기의 대멸종이나 백악기 중기의 멸종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었다. 각 개체는 아마 광대한 수렵 권을 가지고 거의 모든 길드에 속한 다양한 먹이를 잡아먹으며 살아 나가고 있었을 것이다. 어딘가에 먹이의 개체군이 생존하고 있기만 하다면, 최상위 포식자는 위기를 넘길 수 있다. 대형 플리오사우루스류의 길드를 소멸 시킨 것은 백악기 말기에 일어난 천재지변과 같은 오랜 시간에 걸친 해양 환경의 교란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