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염기 불균형 분류
1.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2.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3. 호흡성 산증(respiratory acid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호흡성 알칼리증(respiratory alkal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1.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2.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3. 호흡성 산증(respiratory acid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호흡성 알칼리증(respiratory alkalosis)
1) 병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본문내용
환자에서도 보이는데 이는 대혈관의 화학수용체에 도달하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2) 병태생리
이산화탄소 농도의 빠른 감소는 조직완충제로부터 수소 이온을 방출시켜 혈장 중탄산염을 감소시키므로 알칼리증을 최소화 한다. 급성 알칼리증은 또한 해당 작용을 증강시킨다. 유산과 피루브산의 생성증가는 혈청 중탄산염을 낮추고 음이온의 혈청 농도를 1-2mmol까지 올린다. 만성 저이산화탄소증에서 혈장 중탄산염은 감소된 PaCO2가 신세뇨관 재흡수와 중탄산염의 생성을 막기 때문에 더 감소하게 된다.
3) 임상증상
급성 호흡성 알칼리증에서 임상양상은 오히려 뚜렷하다. 환자는 이상감각, 저리는 느낌과 얼얼한 느낌, 가벼운 두통을 느끼며 알칼리증이 심하다면 강축의 양상을 호소한다. 알칼리증은 신경근육계의 흥분성을 직접 증강시킨다. 알칼리증에 의해 이온성 혈장 칼슘이 약간 감소하는 것보다는 이런 효과 때문에 강축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심한 호흡성 알칼리증은 착란이나 의식소실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저이산화탄소혈증에 의한 대뇌의 혈관수축에 의한 것 같다.
호흡성 알칼리증의 가장 현저한 증상은 신경-근 흥분성의 증가이다.
참고문헌 : 계축문화사 <병태생리학>
2) 병태생리
이산화탄소 농도의 빠른 감소는 조직완충제로부터 수소 이온을 방출시켜 혈장 중탄산염을 감소시키므로 알칼리증을 최소화 한다. 급성 알칼리증은 또한 해당 작용을 증강시킨다. 유산과 피루브산의 생성증가는 혈청 중탄산염을 낮추고 음이온의 혈청 농도를 1-2mmol까지 올린다. 만성 저이산화탄소증에서 혈장 중탄산염은 감소된 PaCO2가 신세뇨관 재흡수와 중탄산염의 생성을 막기 때문에 더 감소하게 된다.
3) 임상증상
급성 호흡성 알칼리증에서 임상양상은 오히려 뚜렷하다. 환자는 이상감각, 저리는 느낌과 얼얼한 느낌, 가벼운 두통을 느끼며 알칼리증이 심하다면 강축의 양상을 호소한다. 알칼리증은 신경근육계의 흥분성을 직접 증강시킨다. 알칼리증에 의해 이온성 혈장 칼슘이 약간 감소하는 것보다는 이런 효과 때문에 강축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심한 호흡성 알칼리증은 착란이나 의식소실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저이산화탄소혈증에 의한 대뇌의 혈관수축에 의한 것 같다.
호흡성 알칼리증의 가장 현저한 증상은 신경-근 흥분성의 증가이다.
참고문헌 : 계축문화사 <병태생리학>
추천자료
병리학의 정의와 용어
(성인간호학) 백혈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열상 화상 (Scalding Burns) 특수 질환 이론적 고찰
노인마취(Geriatric Anesthesia)
요역동학검사
울혈성심부전
기관지 천식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ICH뇌내출혈케이스스터디 자료
만성신부전 (CRF: Chronic renal failure)
수술장 case study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hemorrhage).
승모판 폐쇄 부전증(승모판 역류증)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