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병리학이란 무엇인가?
2. 다음 각 용어의 정의, 원인, 형태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를 설명하라.
1)Autopsy
2) Necrosis
3) Atrophy
4) Hypertrophy
5) Hyperplasia
6) Metaplasia
7) Dysplasia
3. 세포 손상의 원인을 열거하라.
4. Necrosis를 정의하고 그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하라.
▷참고문헌◁
2. 다음 각 용어의 정의, 원인, 형태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를 설명하라.
1)Autopsy
2) Necrosis
3) Atrophy
4) Hypertrophy
5) Hyperplasia
6) Metaplasia
7) Dysplasia
3. 세포 손상의 원인을 열거하라.
4. Necrosis를 정의하고 그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하라.
▷참고문헌◁
본문내용
뿐만 아니라 핵의 염색상도 변하여 핵은 농염 되고 세포배열의 규칙성이 소실되는 현상을 말한 다.
ⅳ) 임상적 의의 : 이형성의 정도가 경도에서는 지속성 손상에 대한 반응이며 일 반적으로 담배를 끊거나 만성경부염이 치유되면 소실 될 수 있어 이 정도까 지는 아직 가역적인 비정상적인 적응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다.13)
3. 세포 손상의 원인을 열거하라.
▷ⅰ) 저산소증 :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으로 산소공급이 안되면 산화적인 산화 가 억제되어 세포손상이 일어난다.
① 죽상 경화증, 혈전에 의해 혈액 공급의 상실
② 심폐기능 부전으로 인한 혈액의 부적당한 산소 포화
③ 빈혈, 일산화탄소 중독
ⅱ) 물리적 요인 : 기계적 외상, 과격한 온도, 대기압의 급격한 변동, 방사선과 전기 쇼크.
ⅲ) 화학적 요인과 약물 : 비소, 청산염, 수은염, 일산화탄소, 사염화탄소, 석 면, 규토, 술, 마약, 치료용약물.
ⅳ) 감염성 요인 : 박테리아.
ⅴ) 면역학적 반응 : 과민성 쇼크, 자가 면역 질환.
ⅵ) 유전 장애.
ⅶ) 영양 불균형 : 기아, 비만.14)
4. Necrosis를 정의하고 그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하라.
▷정의: 살아 있는 조직이나 기관 안에서 치사성 상해를 받은 세포에 효소의 점진 적 분해 작용의 결과로 죽은 세포에 일어나는 형태학적 변화.
비가역적 세포상해의 중요한 형태학적 표현.
종류:ⅰ) 응고괴사(coagulation necrosis)
① 핵은 소실, 세포의 외형은 유지
② 급작스런 심한 허혈(신장, 심장, 부신)에서 흔히 나타남.
ⅱ) 액화괴사(liquefaction necrosis)
① autolysis나 heterolysis가 일어날 때, 강력한 hydrolytic enz.에 의해 일 어남.
② 뇌조직의 허혈성손상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남.
③ 세균의 감염에 의한 괴사에서도 보임.
④ 액화괴사를 보이는 뇌조직에서는 결국 세포조직편과 액체로 이루어진 c ystic structure를 형성하게 된다.
ⅲ) 지방괴사(fat necrosis)
① lipase에 의해 나타나는 지방조직의 특징적인 형태학적 소견
② 급성췌장괴사에서 흔히 보임.
③ 특히 유방지방조직의 외상에서도 나타남.
ⅳ) 건락성괴사(caseous necrosis)
① 응고괴사와 액화괴사의 혼합형
② 치즈를 닮은 부드럽고, 무르고, 백갈색의 모양을 보임
③ 보통 granulous inflammatory wall에 싸여 있음.
cf)tuberculosis에서 특징적인 소견으로 나타남.
ⅴ) 괴저성괴사(gangrenous necrosis)
① 따로 구별되는 괴사의 형태는 아님.
② 사지, 특히 하지가 혈액공급을 잃고, 세균공격을 받은 상태.
③ 이러한 경우, 세포는 허혈성세포사(ischemic cell death)를 맞이한 뒤, 응고 괴사를 일으키고, 세균과 백혈구의 작용으로 액화괴사도 병행된다.
④ 응고괴사 양상이 우세하면 건성괴저(dry gangrene)이고, 액화괴사 양상이 우 세하면 습성괴저(wet gangrene)라고 한다.
ⅵ) 간 괴사 : 소상괴사는 장티푸스 열이나 성홍열과 같은 전염병으로 생긴다. 중심괴사는 중심정맥 근방에 있는 세포를 침범한다. 주변대괴사는 자간에서 이차적으로 올 수 있다.15)
▷참고문헌◁
1)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 1
2)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3)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 고려의학. 1998: 17
4) 최일훈. 병리학. 제2판. 수문사. 1978: 31-33
5) 대한 병리학회 대구. 경북 지부 학회. 간추린 병리학. 제2판. 정문각. 1998년 도: 49
6)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 고려의학. 1998: 53-54
7) 이채원. PATHOLOGY 2002: 22
8) 대한 병리학회 대구, 경북 지부 학회. 간추린 병리학. 제2판. 정문각. 1998: 50-51
9)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 25
10)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고려의학. 1998: 55
11) 대한 병리학회 대구, 경북 지부 학회.간추린 병리학. 제2판. 정문각. 1998: 52
12)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 27
13)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 고려의학 1998: 57-58
14) 이채원. PATHOLOGY 2002: 14-15
15)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16-17
ⅳ) 임상적 의의 : 이형성의 정도가 경도에서는 지속성 손상에 대한 반응이며 일 반적으로 담배를 끊거나 만성경부염이 치유되면 소실 될 수 있어 이 정도까 지는 아직 가역적인 비정상적인 적응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다.13)
3. 세포 손상의 원인을 열거하라.
▷ⅰ) 저산소증 :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으로 산소공급이 안되면 산화적인 산화 가 억제되어 세포손상이 일어난다.
① 죽상 경화증, 혈전에 의해 혈액 공급의 상실
② 심폐기능 부전으로 인한 혈액의 부적당한 산소 포화
③ 빈혈, 일산화탄소 중독
ⅱ) 물리적 요인 : 기계적 외상, 과격한 온도, 대기압의 급격한 변동, 방사선과 전기 쇼크.
ⅲ) 화학적 요인과 약물 : 비소, 청산염, 수은염, 일산화탄소, 사염화탄소, 석 면, 규토, 술, 마약, 치료용약물.
ⅳ) 감염성 요인 : 박테리아.
ⅴ) 면역학적 반응 : 과민성 쇼크, 자가 면역 질환.
ⅵ) 유전 장애.
ⅶ) 영양 불균형 : 기아, 비만.14)
4. Necrosis를 정의하고 그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하라.
▷정의: 살아 있는 조직이나 기관 안에서 치사성 상해를 받은 세포에 효소의 점진 적 분해 작용의 결과로 죽은 세포에 일어나는 형태학적 변화.
비가역적 세포상해의 중요한 형태학적 표현.
종류:ⅰ) 응고괴사(coagulation necrosis)
① 핵은 소실, 세포의 외형은 유지
② 급작스런 심한 허혈(신장, 심장, 부신)에서 흔히 나타남.
ⅱ) 액화괴사(liquefaction necrosis)
① autolysis나 heterolysis가 일어날 때, 강력한 hydrolytic enz.에 의해 일 어남.
② 뇌조직의 허혈성손상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남.
③ 세균의 감염에 의한 괴사에서도 보임.
④ 액화괴사를 보이는 뇌조직에서는 결국 세포조직편과 액체로 이루어진 c ystic structure를 형성하게 된다.
ⅲ) 지방괴사(fat necrosis)
① lipase에 의해 나타나는 지방조직의 특징적인 형태학적 소견
② 급성췌장괴사에서 흔히 보임.
③ 특히 유방지방조직의 외상에서도 나타남.
ⅳ) 건락성괴사(caseous necrosis)
① 응고괴사와 액화괴사의 혼합형
② 치즈를 닮은 부드럽고, 무르고, 백갈색의 모양을 보임
③ 보통 granulous inflammatory wall에 싸여 있음.
cf)tuberculosis에서 특징적인 소견으로 나타남.
ⅴ) 괴저성괴사(gangrenous necrosis)
① 따로 구별되는 괴사의 형태는 아님.
② 사지, 특히 하지가 혈액공급을 잃고, 세균공격을 받은 상태.
③ 이러한 경우, 세포는 허혈성세포사(ischemic cell death)를 맞이한 뒤, 응고 괴사를 일으키고, 세균과 백혈구의 작용으로 액화괴사도 병행된다.
④ 응고괴사 양상이 우세하면 건성괴저(dry gangrene)이고, 액화괴사 양상이 우 세하면 습성괴저(wet gangrene)라고 한다.
ⅵ) 간 괴사 : 소상괴사는 장티푸스 열이나 성홍열과 같은 전염병으로 생긴다. 중심괴사는 중심정맥 근방에 있는 세포를 침범한다. 주변대괴사는 자간에서 이차적으로 올 수 있다.15)
▷참고문헌◁
1)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 1
2)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3)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 고려의학. 1998: 17
4) 최일훈. 병리학. 제2판. 수문사. 1978: 31-33
5) 대한 병리학회 대구. 경북 지부 학회. 간추린 병리학. 제2판. 정문각. 1998년 도: 49
6)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 고려의학. 1998: 53-54
7) 이채원. PATHOLOGY 2002: 22
8) 대한 병리학회 대구, 경북 지부 학회. 간추린 병리학. 제2판. 정문각. 1998: 50-51
9)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 25
10)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고려의학. 1998: 55
11) 대한 병리학회 대구, 경북 지부 학회.간추린 병리학. 제2판. 정문각. 1998: 52
12)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 27
13)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핵심 병리학. 제2판. 고려의학 1998: 57-58
14) 이채원. PATHOLOGY 2002: 14-15
15) 이선경. 最新 病理學 槪論. 청구문화사. 1990:16-17
추천자료
MPTP 투여 마우스에서 도파민신경세포의 퇴행에 관한 연구
황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기사를 읽고...
한국의 ‘세포혁명’ 황우석 교수
[생명과학] 줄기 세포와 조직 공학
과학기술과 법 강의안- 인간배아줄기세포
항체, T cell, 항원제공세포
생물학적 노화이론(세포학적 관점과 생리학적 관점)
(A+자료) 황우석의 줄기세포 연구성과의 개요 및 특징과 찬반의견 조사분석
1.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10점)...
[생명공학] 제대혈 줄기세포에 관해서
기초간호과학3공통)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설명 & 면역과 관련하여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
폐암(폐 편평상피세포암) 간호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