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TIP과 봉사료의 개념
1) TIP
정의
어원
2) 봉사료
정의
※ VAT
정의
※ Ten-Ten(텐텐)
정의
2. 봉사료
1) 봉사료 제도의 시행시기
2) 봉사료 제도의 현황
3) 봉사료를 받는 업체
4) 봉사료 수익
3. TIP과 봉사료의 차이
4. TIP과 봉사료의 SWOT 분석
1) TIP
2) 봉사료
Ⅱ. 본론
1. TIP
1) TIP의 유래
2) TIP 문화가 익숙한 곳
3) TIP 제도의 현황
4) TIP 수익
5) TIP 줄 때의 에티켓
6) TIP에 대한 실증분석(설문조사)
2. 봉사료
1) 봉사료 제도의 시행시기
2) 봉사료 제도의 현황
3) 봉사료를 받는 업체
4) 봉사료 수익
3. TIP과 봉사료의 차이
4. TIP과 봉사료의 SWOT 분석
1) TIP
2) 봉사료
Ⅲ. 관련 기사 스크랩
Ⅳ. 결론
1. TIP과 봉사료의 개념
1) TIP
정의
어원
2) 봉사료
정의
※ VAT
정의
※ Ten-Ten(텐텐)
정의
2. 봉사료
1) 봉사료 제도의 시행시기
2) 봉사료 제도의 현황
3) 봉사료를 받는 업체
4) 봉사료 수익
3. TIP과 봉사료의 차이
4. TIP과 봉사료의 SWOT 분석
1) TIP
2) 봉사료
Ⅱ. 본론
1. TIP
1) TIP의 유래
2) TIP 문화가 익숙한 곳
3) TIP 제도의 현황
4) TIP 수익
5) TIP 줄 때의 에티켓
6) TIP에 대한 실증분석(설문조사)
2. 봉사료
1) 봉사료 제도의 시행시기
2) 봉사료 제도의 현황
3) 봉사료를 받는 업체
4) 봉사료 수익
3. TIP과 봉사료의 차이
4. TIP과 봉사료의 SWOT 분석
1) TIP
2) 봉사료
Ⅲ. 관련 기사 스크랩
Ⅳ. 결론
본문내용
에 표시를 해서 일부러 짐을 떨어뜨리곤 했다. 1918년 시카고에선 100여 명의 웨이터들이 팁에 대해 부정적인 손님들의 음식에 파우더를 뿌려 체포되기도 했다. 팁의 정당성에 대한 논리 중 하나는 팁이 양질의 서비스를 보장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경향은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팁을 많이 받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손님에게 주문을 강요하거나 부담을 느끼게 하는 웨이터들도 있다.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점은 식당에서 줘야 할 급료를 거의 주지 않고 웨이터들이 손님에게 팁을 구걸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그래서 일부 식당에서는 팁을 부과하지 않고 봉사료를 받는다. 팁의 역사를 살펴보더라도 하인이나 종업원보다 업주나 주인이 이런 구조를 착취한 부분을 간과할 수 없다. 자발적으로 주던 팁이 사회적 관습이 되었다. 팁은 어쩌면 고용주들이 종업원을 길들이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만든 도구가 아닐는지.
류동협 ryudonghyup.com
2007.11.28 09:31
[굿모닝 지구촌―워싱턴에서] 스타벅스와 팁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양권 이민자들은 미국의 팁문화에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에서 팁이라고 하면 유흥업소 등에서나 통하는 '봉사료'나 서비스에 만족할 경우 내는 특수한 감사 표시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일상화된 팁은 세금이나 다름없어 동양 문화권 사람들은 적잖은 부담을 느낍니다. 업주들은 종업원들에게 최저임금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고객의 팁으로 충당토록 합니다. 미 국세청도 세액 신고를 받을 때 팁 액수가 매출액의 8%에 미치지 못할 경우 업소측이 차액을 종업원들에게 지급토록 권고하고 있어 사실상 팁은 요금의 일부인 셈입니다. 게다가 팁 액수도 업종별로 제각각이어서 미국인들조차 헷갈려 합니다. 워싱턴 인근 공항에 근무하는 한 일본 항공업체 직원 부부는 아예 업종별 팁 액수를 표로 만들어 가지고 다닐 정도입니다. 미 요식업체 노조가 얼마 전 제시한 업종별 팁 가이드를 보면 택시나 미용실은 10%, 식당은 15%가 적당하며 최상의 서비스를 받았다고 느낄 경우 여기에 5% 정도를 더 얹어주면 된다고 합니다. 주차장이나 호텔에서는 1달러면 족합니다.
팁 액수가 적을 경우 식당 등의 종업원들이 얼굴을 붉히는 경우도 자주 봅니다. 상대적으로 월급을 많이 받는 주방장, 바텐더, 지배인 등과 팁을 나누도록 하는 곳이 많아 액수가 적을 경우 자신들 몫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랍니다. 심지어 업소 주인까지 팁을 가져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신용카드로 팁을 지불할 경우 수수료를 떼는 곳도 있습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점인 스타벅스가 종업원들의 팁을 지배인과 나누도록 했다가 최근 샌디에이고 지방법원으로부터 1억500만 달러를 돌려주라는 판결을 받아 인터넷이 시끌시끌합니다. 판사는 팁을 감독자나 주인이 아니라 종업원의 배타적인 몫이라고 판시했습니다. 팁을 되돌려 받게 된 종업원들은 2000년부터 캘리포니아주 2400여개 점포에서 일해 온 10만여명이지만 이런 소송이 미 전역 요식업소 및 서비스 업소로 번질 소지도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그동안 커피를 주문하면서 고객들이 항아리에 넣은 팁을 금고에 모아뒀다가 일주일에 한차례씩 나눴다고 합니다. 종업원들에게 돌아간 팁은 시간당 평균 1.7달러입니다. 이번 판결이 종업원의 정당한 몫을 찾아 준 것은 틀림없지만 고객들 입장에서는 종업원 눈치를 보지 않고 서비스의 질에 따라 당당하게 팁을 낼 수 있게 될지가 더 관심사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팁 문화가 청산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팁이 세금 탈루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비판 외에도 업소 종업원들 대부분이 히스패닉, 흑인 등 소수인종들이어서 팁에 담겨 있는 편견적인 요소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종이나 외모로 식당종업원이나 택시운전사들이 받는 팁의 액수가 달라진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이동훈 특파원 dhlee@kmib.co.kr
[2003.25 22:03]
Ⅳ. 결론
이 장에서는 위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1. 설문지 1(고객 측)
첫째, TIP을 지불해 본 적이 있는 응답자 중 38%가 남자로 18%인 여자보다 20%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불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고 지불 금액은 1만원 미만이며 처음 방문한 곳과 주1회 이상 방문하는 곳에서 가장 많이 TIP을 지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TIP 지불 시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항목으로 남자의 경우 종업원의 서비스, 종업원의 외모, 음식의 맛, 외식업체의 외관 순으로 응답했고 여자의 경우 종업원의 서비스, 음식의 맛, 종업원의 외모, 외식업체의 외관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남자의 경우 종업원의 외모에 따라 TIP의 지불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TIP을 좋은 서비스를 받은 대가로 주는 답례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76%였다. 다섯째, TIP 문화의 의무화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54%로 TIP을 지불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지불해 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보다 많게 나타났다.
2. 설문지 2(종사원 측)
첫째, TIP을 받아 본 적이 있는 응답자 중 18%가 남자로 66%인 여자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받아 본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고 받은 금액은 1만원 미만과 3만원이상이며 TIP을 지불한 고객의 방문 횟수는 한달3달이상이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근무년수가 길수록 TIP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식업체 중에서도 가족단위보다 자영업자나 정치인 등이 사업상 자주 찾는 곳이 TIP 수령 빈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고객의 예측 연령대는 40대~50대가 가장 많고 30대, 20대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의 예측 직종으로는 자영업, 공무원, 회사원, 정치인, 학생 순이었다. 여섯째, TIP은 서비스를 다 제공한 후에 받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곱째, TIP 문화의 의무화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88%가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3. TIP 문화의 발전방안
건전한 TIP 문화에 대한 인식 요구
종사원의 서비스 질 향상
종사원의 단정함
고객의 욕구 파악
상반되는 성별 종사원의 서빙
류동협 ryudonghyup.com
2007.11.28 09:31
[굿모닝 지구촌―워싱턴에서] 스타벅스와 팁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양권 이민자들은 미국의 팁문화에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에서 팁이라고 하면 유흥업소 등에서나 통하는 '봉사료'나 서비스에 만족할 경우 내는 특수한 감사 표시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일상화된 팁은 세금이나 다름없어 동양 문화권 사람들은 적잖은 부담을 느낍니다. 업주들은 종업원들에게 최저임금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고객의 팁으로 충당토록 합니다. 미 국세청도 세액 신고를 받을 때 팁 액수가 매출액의 8%에 미치지 못할 경우 업소측이 차액을 종업원들에게 지급토록 권고하고 있어 사실상 팁은 요금의 일부인 셈입니다. 게다가 팁 액수도 업종별로 제각각이어서 미국인들조차 헷갈려 합니다. 워싱턴 인근 공항에 근무하는 한 일본 항공업체 직원 부부는 아예 업종별 팁 액수를 표로 만들어 가지고 다닐 정도입니다. 미 요식업체 노조가 얼마 전 제시한 업종별 팁 가이드를 보면 택시나 미용실은 10%, 식당은 15%가 적당하며 최상의 서비스를 받았다고 느낄 경우 여기에 5% 정도를 더 얹어주면 된다고 합니다. 주차장이나 호텔에서는 1달러면 족합니다.
팁 액수가 적을 경우 식당 등의 종업원들이 얼굴을 붉히는 경우도 자주 봅니다. 상대적으로 월급을 많이 받는 주방장, 바텐더, 지배인 등과 팁을 나누도록 하는 곳이 많아 액수가 적을 경우 자신들 몫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랍니다. 심지어 업소 주인까지 팁을 가져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신용카드로 팁을 지불할 경우 수수료를 떼는 곳도 있습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점인 스타벅스가 종업원들의 팁을 지배인과 나누도록 했다가 최근 샌디에이고 지방법원으로부터 1억500만 달러를 돌려주라는 판결을 받아 인터넷이 시끌시끌합니다. 판사는 팁을 감독자나 주인이 아니라 종업원의 배타적인 몫이라고 판시했습니다. 팁을 되돌려 받게 된 종업원들은 2000년부터 캘리포니아주 2400여개 점포에서 일해 온 10만여명이지만 이런 소송이 미 전역 요식업소 및 서비스 업소로 번질 소지도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그동안 커피를 주문하면서 고객들이 항아리에 넣은 팁을 금고에 모아뒀다가 일주일에 한차례씩 나눴다고 합니다. 종업원들에게 돌아간 팁은 시간당 평균 1.7달러입니다. 이번 판결이 종업원의 정당한 몫을 찾아 준 것은 틀림없지만 고객들 입장에서는 종업원 눈치를 보지 않고 서비스의 질에 따라 당당하게 팁을 낼 수 있게 될지가 더 관심사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팁 문화가 청산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팁이 세금 탈루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비판 외에도 업소 종업원들 대부분이 히스패닉, 흑인 등 소수인종들이어서 팁에 담겨 있는 편견적인 요소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종이나 외모로 식당종업원이나 택시운전사들이 받는 팁의 액수가 달라진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이동훈 특파원 dhlee@kmib.co.kr
[2003.25 22:03]
Ⅳ. 결론
이 장에서는 위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1. 설문지 1(고객 측)
첫째, TIP을 지불해 본 적이 있는 응답자 중 38%가 남자로 18%인 여자보다 20%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불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고 지불 금액은 1만원 미만이며 처음 방문한 곳과 주1회 이상 방문하는 곳에서 가장 많이 TIP을 지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TIP 지불 시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항목으로 남자의 경우 종업원의 서비스, 종업원의 외모, 음식의 맛, 외식업체의 외관 순으로 응답했고 여자의 경우 종업원의 서비스, 음식의 맛, 종업원의 외모, 외식업체의 외관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남자의 경우 종업원의 외모에 따라 TIP의 지불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TIP을 좋은 서비스를 받은 대가로 주는 답례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76%였다. 다섯째, TIP 문화의 의무화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54%로 TIP을 지불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지불해 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보다 많게 나타났다.
2. 설문지 2(종사원 측)
첫째, TIP을 받아 본 적이 있는 응답자 중 18%가 남자로 66%인 여자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받아 본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고 받은 금액은 1만원 미만과 3만원이상이며 TIP을 지불한 고객의 방문 횟수는 한달3달이상이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근무년수가 길수록 TIP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식업체 중에서도 가족단위보다 자영업자나 정치인 등이 사업상 자주 찾는 곳이 TIP 수령 빈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고객의 예측 연령대는 40대~50대가 가장 많고 30대, 20대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의 예측 직종으로는 자영업, 공무원, 회사원, 정치인, 학생 순이었다. 여섯째, TIP은 서비스를 다 제공한 후에 받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곱째, TIP 문화의 의무화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88%가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3. TIP 문화의 발전방안
건전한 TIP 문화에 대한 인식 요구
종사원의 서비스 질 향상
종사원의 단정함
고객의 욕구 파악
상반되는 성별 종사원의 서빙
추천자료
우리나라 외식산업체 성장을 위해
한국의 외식산업의 성장과 과제에 대하여
[외식산업경영론]실버 음식 식당과 다이어트 음식 식당의 현황과 영업전략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문제점과 해결책
[패밀리레스토랑 외식산업] "마르쉐" 의 브랜드, 마케 팅경영 사례분석과 향후 경영방안 모색
[마케팅] 외식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
중국에서 외식산업 창업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현황과 과제
급식경영학, 외식산업의 결산및 전망
이외공 외식산업의 전략 분석
우리나라의 외식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및 전망에 대하여 조사하여 제출...
호텔의 외식산업
[외식산업론] 프랜차이즈(프렌차이즈) 정보 분석 및 가맹점 운영에 대한 조사 - 조마루감자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