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농양 대상자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농양 대상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패하는 원인으로 대장감염의 지속, 약물내성, 농양내부로의 불충분한 약물흡수 등을 들 수 있다. 치료 후 5일이 경과하여도 반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천자 배농술이 필요하며, 파열의 위험성이 심각하거나 심낭 내로 파열할 가능성이 있는 간좌엽의 농양에 대해서도 배농술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6) 예후
합병증이 없는 아메바성 간농양의 사망률은 1%이하로 매우 양호하다.
3. 간호
간농양 환자를 간호할 때 중요한 것은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사정하는 것이다. 높은 체온이나 빠른 맥박은 전신적 패혈증의 발생을 의심할 수 있는 징후이기 때문이다.
(1) 효율적 호흡유지
간농양에 관련된 폐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하여 운동, 기침, 심호흡을 권장하도록 하며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2) 체온유지
만약 환자가 이상고열이 있을 때는 수분섭취량을 증가시킨다. 구강 점막의 건조를 막기 위하여 구강 간호를 하며, 건조한 피부를 막기 위하여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 간호를 한다.
- 대상자 교육
모든 진단검사 및 외과적 시술에 대해 설명한다.
처방된 항생제 또는 항아메바성 약물을 몇 주 혹은 몇 달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재발증상(오한, 발열, 발한), 감염 확산(복부 통증 또는 호흡곤란). 간기능장애(황달, 복수)가 나타나면 즉시 보고하게 한다.
지속적인 추후관리가 중요함을 교육한다.
※ 대상자 자료와의 비교·분석
임상증상을 참고로 Chest CT 촬영 결과 Both lung에는 diffuse하게 분포하는 small multiple nodule들이 있고 Abdomen pelvis CT 촬영 결과 간의 우엽의 posterior aspect에 직경이 4.7cm 크기의 둥근 모양의 거의 gas로 구성된 pocket이 관찰됨.
대상자는 치료로 경피적 배농술(PCD)를 시행하였음.
■ 참고문헌
1.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제4판). 서울; 현문사
2.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소화기 연구소(2000). 소화기학. 서울; 고려의학
3. 이향련 외(2007). 성인간호학1(여섯째판). 서울; 현문사
4. 고려의학출판부(1989). 간,담도질환. 서울; 고려의학
5. CORPORATION 지음 김연희 옮김(2007). 간호약리학 서울; 군자출판사
6.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7. 한국당뇨협회 www.dangnyo.or.kr
우선순위
간호진단
1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배뇨장애
2
신체적 요인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시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장기 입원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5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6
처음 발병한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과정
우선
순위
간호과정
내용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
“한 시간에 한 번씩 소변보러 가는 것 같네”
“조금씩 자주봐”
“밤에 화장실 가느라 잠을 잘 못자”
객관적 자료(O)
- 75세 남자 환자
- I/O check시 새벽 5시~9시 사이에 소변 몇 번
보셨냐는 물음에 4번이라고 대답함.
- 얼굴이 거칠고 힘이 없음.
간호진단(우선순위)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배뇨장애
간호계획
(우선순위)
목표
- 소변을 보는 횟수가 정상횟수(하루 5~7회, 야간 배뇨
0회 또는 1회)가 된다.
기대되는 결과
- 1일 소변 본 횟수가 5~7회가 된다..
- 자는 동안 소변보기 위해 일어나는 횟수가 1회
이하가 된다.
간호중재 설정
상태관찰:
- 매 4시간마다 I/O를 측정한다.
간호제공:
- 약물을 복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킨다.
- 화장실을 가야겠다는 생각이 덜 들도록 대상자와
얘기를 계속 나눈다.
- 불안한 마음을 다스릴 수 있도록 편안하게 해준다.
- 복부를 따뜻하게 해준다.
대상자 교육:
- 소변이 마렵다고 바로 화장실로 향하지 말고 잠시
참아보도록 교육한다.
- 자기 2시간 전에 꼭 소변을 보고 수분 섭취를 자제하 라고 교육한다.
간호수행(중재)
(우선순위)
- 5시, 9시, 13시, 17시, 21시에 간호사 또는 학생간호 사가 I/O 측정함.
- 방광의 신경성 근이완증 치료제인 Hinecol와 배뇨장애 개선 치료제인 Hytrine을 처방에 따라 BID로 투여함.
- 9시 이후로 될 수 있으면 물이나 과일 드시지 말라고 말함.
- 자기 전에 꼭 화장실에 다녀오라고 말씀 드림.
- 대상자 옆에서 얘기를 오랫동안 나누면서 화장실을
가야한다는 생각이 잘 들지 않도록 함.
간호평가
- S : "밤에 화장실도 안가고 잘 잤어. “
- O : 17시 I/O check시 소변 본 횟수 1회
- 매 식후 환자는 처방된 약을 잘 먹음.
- 목표가 달성됨.
우선
순위
간호 과정
내용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
- “이 방울(배액주머니) 참 거추장스럽네."
- 관 넣었던 부분이 빨갛고 후끈거려"
객관적 자료(O)
- PCD
- 배액 주머니를 비닐봉투 속에 넣어서 들고 다니던 것 을 환의 주머니에 넣고 돌아다님.
- T : 37.5℃
간호진단(우선순위)
시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
- PCD한 부위의 발적과 열감이 사라진다.
- 체온이 정상범위((35.8 ~ 38.0℃)에 있다.
기대되는 결과
- PCD한 부위의 상처가 깨끗하고 분홍색이다.
간호중재 설정
상태관찰:
- 시술부위에 발적이 사라진다.
간호제공:
- 체온이 정상범위이다.
- irrigation(PCD) Q1D
- 배액주머니를 비울 때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대상자 교육:
- 시술 부위가 가렵다거나 뭔가 불편감이 있을 시에는 간호사에게 말하도록 한다.
- 거즈에 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 한다.
- 배액 주머니를 낮게 들어 내용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중재)
(우선순위)
- 인턴 선생님이 하루 한번 PCD부위 드레싱 하는 것을 관찰함.
- 매일 vital sign 측정함.
- 시술 부위에 문제가 있으면 즉시 보고 하도록 함.
- 간호사 선생님께서 배액주머니를 감염되지 않게 비움
- 시술부위의 거즈에 물이 닿지 않도록 씻을 때 주의
하도록 교육함.
간호평가
- 매일 PCD부위 드레싱을 하였음
- T : 36.7~37.2℃ 유지
- PCD 부위의 발적이 사라지고 상처가 깨끗하고 분홍색 인 상태에서 배액관을 빼냈으므로 목표 달성됨.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8.1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