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슬 자원 맥문동 훤초
본문내용
燥金而水源。
맥문동은 감미와 한기로 건조한 금을 자양하여 수의 근원을 맑게 한다.
五味子之酸鹹,瀉丙火而補庚金,兼益五臟之氣也。
오미자는 산미와 함미로 병화(심화)를 사하여 경금(폐)를 보하니 오장의 기를 겸하여 더해준다.
時珍曰麥門冬以地黃爲使,服之令人頭不白,添精補髓,通腎氣,定喘促,令人肌體滑澤。
이시진이 말하길 맥문동은 지황과 상사하며 복용하면 사람의 머리가 흰머리가 없게 하니 정을 더하며 골수를 보충하며 신기를 통하며 숨차고 촉급함을 안정하니 사람으로 하여금 살갗과 몸이 윤활하고 윤택케 한다.
《本經》主心腹結氣,傷中傷飽,胃絡脈,羸瘦短氣,一氣貫下,言因過飽傷胃而致心腹氣結,脈不通,羸瘦短氣,故宜以此滋其津液,通其肺胃,殊非開豁痰氣,消克食之謂。
신농본초경은 맥문동은 심복부의 결체한기, 상중과 배부름에 손상함, 위의 락맥이 끊어짐, 파리하고 마르며 숨이 짧음을 주치하여 한기로 아래로 관통하며 과다하게 포식하여 위를 손상하여 심복부가 결체하며 맥이 끊어져 통하지 않고 파리하게 말라서 숨이 짧음을 기인함을 말함이니 의당 맥문동으로 진액을 자양하며 폐와 위를 통하게 하면서 담기를 열어 분할하여 음식을 소화하고 이기게 된다.
其陰虛羸瘦,喘咳上氣,失音失血及風熱暴嗽,咸非所宜;
음허로 파리하고 마르며 숨차고 기침하여 상기하며 목소리를 잃고, 출혈하여 풍열이 갑작스럽게 기침함에는 모두 맥문동이 의당치 않다.
恐寒鬱熱邪,牢不可破,多成虛損之疾。
한기가 열사에 울체하여 사로잡혀 깨뜨리지 못하고 많이 허손의 질병이 될까 두렵다.
麻疹咳嗽不可誤用,以其性寒助陰,固斂陽邪不能發越也。
마진 기침에는 맥문동을 잘못 사용할 수 없으니 한성으로 음을 돕고 양사가 발월하지 못하게 견고하게 수렴하게 된다.
凡脾胃虛寒泄瀉及痘瘡虛寒作瀉,後血虛瀉渴,皆非所宜。
비위의 허한증 설사와 두창의 허한으로 설사가 생기며 산후에 혈허로 설사와 갈증이 있으면 모두 맥문동이 마땅치 않다.
萱草
훤초
一名宜男,一名忘憂
훤초는 일명 의남이며 일명 망우이다.
甘平,無毒。
훤초는 감미와 평기로 독이 없다.
發明
발명
萱性下走入陰,故根治砂石淋,下水氣及酒大熱,血。
훤초의 약성은 아래로 달려 음에 들어가므로 뿌리는 사석림을 치료하며 수기를 내리며 주달과 고열, 코피를 치료한다.
酒服治吹乳腫痛。
훤초를 갈아 술로 복용하면 젖몸살로 붓고 아픔을 치료한다.
花治酒,利濕熱。
훤초 꽃은 주달을 치료하며 습열을 잘 나가게 한다.
其花起層者,有毒勿食。
꽃이 층이 일어나면 독이 있으니 먹지 말라.
맥문동은 감미와 한기로 건조한 금을 자양하여 수의 근원을 맑게 한다.
五味子之酸鹹,瀉丙火而補庚金,兼益五臟之氣也。
오미자는 산미와 함미로 병화(심화)를 사하여 경금(폐)를 보하니 오장의 기를 겸하여 더해준다.
時珍曰麥門冬以地黃爲使,服之令人頭不白,添精補髓,通腎氣,定喘促,令人肌體滑澤。
이시진이 말하길 맥문동은 지황과 상사하며 복용하면 사람의 머리가 흰머리가 없게 하니 정을 더하며 골수를 보충하며 신기를 통하며 숨차고 촉급함을 안정하니 사람으로 하여금 살갗과 몸이 윤활하고 윤택케 한다.
《本經》主心腹結氣,傷中傷飽,胃絡脈,羸瘦短氣,一氣貫下,言因過飽傷胃而致心腹氣結,脈不通,羸瘦短氣,故宜以此滋其津液,通其肺胃,殊非開豁痰氣,消克食之謂。
신농본초경은 맥문동은 심복부의 결체한기, 상중과 배부름에 손상함, 위의 락맥이 끊어짐, 파리하고 마르며 숨이 짧음을 주치하여 한기로 아래로 관통하며 과다하게 포식하여 위를 손상하여 심복부가 결체하며 맥이 끊어져 통하지 않고 파리하게 말라서 숨이 짧음을 기인함을 말함이니 의당 맥문동으로 진액을 자양하며 폐와 위를 통하게 하면서 담기를 열어 분할하여 음식을 소화하고 이기게 된다.
其陰虛羸瘦,喘咳上氣,失音失血及風熱暴嗽,咸非所宜;
음허로 파리하고 마르며 숨차고 기침하여 상기하며 목소리를 잃고, 출혈하여 풍열이 갑작스럽게 기침함에는 모두 맥문동이 의당치 않다.
恐寒鬱熱邪,牢不可破,多成虛損之疾。
한기가 열사에 울체하여 사로잡혀 깨뜨리지 못하고 많이 허손의 질병이 될까 두렵다.
麻疹咳嗽不可誤用,以其性寒助陰,固斂陽邪不能發越也。
마진 기침에는 맥문동을 잘못 사용할 수 없으니 한성으로 음을 돕고 양사가 발월하지 못하게 견고하게 수렴하게 된다.
凡脾胃虛寒泄瀉及痘瘡虛寒作瀉,後血虛瀉渴,皆非所宜。
비위의 허한증 설사와 두창의 허한으로 설사가 생기며 산후에 혈허로 설사와 갈증이 있으면 모두 맥문동이 마땅치 않다.
萱草
훤초
一名宜男,一名忘憂
훤초는 일명 의남이며 일명 망우이다.
甘平,無毒。
훤초는 감미와 평기로 독이 없다.
發明
발명
萱性下走入陰,故根治砂石淋,下水氣及酒大熱,血。
훤초의 약성은 아래로 달려 음에 들어가므로 뿌리는 사석림을 치료하며 수기를 내리며 주달과 고열, 코피를 치료한다.
酒服治吹乳腫痛。
훤초를 갈아 술로 복용하면 젖몸살로 붓고 아픔을 치료한다.
花治酒,利濕熱。
훤초 꽃은 주달을 치료하며 습열을 잘 나가게 한다.
其花起層者,有毒勿食。
꽃이 층이 일어나면 독이 있으니 먹지 말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