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용분석
????제 1 류
???? 제 2 류
???? 제 3류
???? 제 4류
2. 문제점
3. 제안
????제 1 류
???? 제 2 류
???? 제 3류
???? 제 4류
2. 문제점
3. 제안
본문내용
조용언
② 부사형을 불인정
2. 문제점
(1) 종결서술형의 하위분류는, 대체로 6분법의 제 1류형과 5분법의 제 2류형, 4분법의 제 3류형, 제 4류형으로 나누어졌다.
(2) 연결서술형은 2분법과 14분법의 체계로 나뉘였다.
(3) 부사형의 인정 여부 문제
3. 제안
(1) 연결법의 복잡한 하위 분류를 지양하고, 2분법을 취한 제 1류형의 체계를 채택한다. 그것은 문법적 기능면으로나 학교문법 지도상 합리성이 있기 때문이다.
(2) 부사형은 별도로 세우지 않고, 연결서술형에 의존법으로서 소속시킨다. 그것은 불합리성이 있기 때문이다. 용언의 부사형 설정은 성분 분석에서 주제언이 부사어가 되는 결과가 된다. 형식주의 분석 이론에서는 때때로 단어의 의존형이 문구성의 중요어가 되고 자립형이 수식적인 부수어로 분석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자립형이 의존형에 대하여 부사어로 기능한다고 생각할 수 없다. 표현자의 의미 범주는 소위 주용언에 중심 개념이 있고 보조용언은 중심 개념에 대한 보완이다. 따라서 주용언과 보조용언으로 성립되는 두 성분은 한 개의 복합의존 서술어로 분석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
(3) 용언이 뚜렷하게 부사어의 기능을 가질 경우는 그것을 특수하게 부사형으로 인정한다.
(4) ‘-어/아’의 연결 형태는 복합어의 구성, 대등법 어미, 종속법 어미, 의존법 어미와 같이 분석한다.
(5) 어미의 하위분류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종결서술형
평서법
의문법
명령법
감탄법
응낙법
청유법
②연결서술형
의존법
대등법
종속법
③관 형 형
현 재
과 거
미 래
④명 사 형
제 1명사형(-음)
제 2명사형(-기)
② 부사형을 불인정
2. 문제점
(1) 종결서술형의 하위분류는, 대체로 6분법의 제 1류형과 5분법의 제 2류형, 4분법의 제 3류형, 제 4류형으로 나누어졌다.
(2) 연결서술형은 2분법과 14분법의 체계로 나뉘였다.
(3) 부사형의 인정 여부 문제
3. 제안
(1) 연결법의 복잡한 하위 분류를 지양하고, 2분법을 취한 제 1류형의 체계를 채택한다. 그것은 문법적 기능면으로나 학교문법 지도상 합리성이 있기 때문이다.
(2) 부사형은 별도로 세우지 않고, 연결서술형에 의존법으로서 소속시킨다. 그것은 불합리성이 있기 때문이다. 용언의 부사형 설정은 성분 분석에서 주제언이 부사어가 되는 결과가 된다. 형식주의 분석 이론에서는 때때로 단어의 의존형이 문구성의 중요어가 되고 자립형이 수식적인 부수어로 분석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자립형이 의존형에 대하여 부사어로 기능한다고 생각할 수 없다. 표현자의 의미 범주는 소위 주용언에 중심 개념이 있고 보조용언은 중심 개념에 대한 보완이다. 따라서 주용언과 보조용언으로 성립되는 두 성분은 한 개의 복합의존 서술어로 분석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
(3) 용언이 뚜렷하게 부사어의 기능을 가질 경우는 그것을 특수하게 부사형으로 인정한다.
(4) ‘-어/아’의 연결 형태는 복합어의 구성, 대등법 어미, 종속법 어미, 의존법 어미와 같이 분석한다.
(5) 어미의 하위분류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종결서술형
평서법
의문법
명령법
감탄법
응낙법
청유법
②연결서술형
의존법
대등법
종속법
③관 형 형
현 재
과 거
미 래
④명 사 형
제 1명사형(-음)
제 2명사형(-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