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장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문장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런 것쯤은 좀 몰라라.
형용사
동작 주체의 자발성이 개입할 수 있는 용언일 때는 형용사라도 명령문의 서술어로 쓰일 수 있다.
(53) 가. 무슨 일을 하든지 꾸준해라. (55) 나. * 이 방면에 유명해라.
바. 청유문
청유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같이 행동할 것을 요청하거나 제안하는 문장. ‘-(으)ㅂ 시다, -세, -자, -(시)지요’ 등의 문장 종결형식을 갖는다.
1) 상대 높임법상 구분
- 하오체(예사높임) s. 빨리 갑시다.
- 하게체(예사낮춤) t. 빨리 가세.
- 합쇼체(아주높임) u. 빨리 가시지요.
- 해라체(아주낮춤) v. 빨리 가자.
2) 의미 · 화용론상 구분
동사와 형용사
동작수행주체의 자발성이 개입할 수 없으면 동사라도 청유문의 서술어가 될 수 없고, 동작수행주체의 자발성이 개입할 수 있으면 형용사라도 청유문의 서술어가 될 수 있다.
(57) 가. 이런 건 우리도 좀 알자. 나. *이런 건 우리도 좀 모르자.
(58) 다. 앞으로는 우리도 좀 성실하자.
청유문의 주어
청유문의 주어는 1인칭 복수 이어야 한다는 조건에 맞지는 않지만 청자와 화자가 다른 행위를 함으로써 화자에게 협조를 하는 경우에는 1인칭 단수나 2인칭 단수 또는 복수를 사용하여 청유문의 형식을 취한다. 말하는 이의 행동 수행을 제안하여 청자의 협조를 구하는 경우에는 1인칭 단수를 , 듣는 이에게 행동 수행을 촉구하는 경우에는 2인칭 단수 또는 복수를 사용한다.
(60) 가. 나도 한 곡 부르자. (61) 가. 거, 좀 비킵시다.
참고문헌
고성환(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04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