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묵자의 사상
□ 묵자(墨子)란 누구인가?
□ 묵자의 10가지 중심사상
□ 공자와 묵자의 차이점
□ 결 론
1. 생애와 시대배경
2. 興利
3. 兼愛
4. 天志
5. 묵자의 정치사상
6. 묵자의 문화관
7. 儒家思想과의 비교
8. 결론
□ 묵자(墨子)란 누구인가?
□ 묵자의 10가지 중심사상
□ 공자와 묵자의 차이점
□ 결 론
1. 생애와 시대배경
2. 興利
3. 兼愛
4. 天志
5. 묵자의 정치사상
6. 묵자의 문화관
7. 儒家思想과의 비교
8. 결론
본문내용
천하를 위해 이익을 일으켜야 하므로 非攻은 묵자의 학설 중 가장 중요한 주장이다.
묵학은 유학을 大敵으로 여겼다. 묵학은 유학의 예문을 허위라고 비웃었고,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생산에 힘쓰지 않는다고 비꼬았다.(주2)또한 창의성보다는 옛것을 지키는 데만 치중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공자가 권모술수를 몰래 사용하여 다른 나라를 어지럽혔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진정한 비판은 유가가 생산에 종사하지 않는데 있다. 이것은 <非樂>편을 보면 잘 나타난다. 묵자는 천하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데 '음악'을 즐긴다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직에 있는 자는 이런 쓸데없는 일(음악을 즐기는 것)을 해서는 안된다는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民有三患, 飢者不得食, 寒者不得衣, 勞者不得息, 三者民 之巨患也. 然卽當爲之撞巨鐘, 擊嗚鼓, 彈琴瑟, 吹笙芋, 而揚干, 民衣食之財將 安可得乎? <非樂上>
백성에겐 세가지 근심이 있다. 굶주림 자가 먹을 것을 얻지 못하는 것, 추위에 떠는 자가 입을 것을 얻지 못하는 것, 피로한 자가 휴식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백성들의 커다란 근심인 것이다. 그렇다면 만약 큰 종을 두드리고 북을 치며, 거문고를 뜯고, 우와 생을 불면서, 방패와 도끼를 들고 춤을 추어야 한다면, 백성들의 입고 먹을 재물은 앞으로 어디에서 얻을 수 있겠는가?
묵자가 음악을 비난한 것은 음악이 일을 전폐하기에 충분하고 천하에 아무 이익이 없다고 깊이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묵자의 문화관은 순전히 공리주의 및 실용주의 입장을 대변함을 알 수 있다.
7. 儒家思想과의 비교
유가와 묵자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묵자가 말하는 兼愛와 유가가 말하는 交別은 차이가 난다. 묵자가 말하는 兼愛는 유가에서 논의되는 交別보다 훨씬 확장된 의미이다. 단순하게 다른 사람들을 자기 친족처럼 여기는 것이 아니라 평등을 기초로한 공동체사회를 묵자는 주장하고 있다.즉 단순한 보살핌이 아니라 겸애가 행해지는 대동세계를 바랬다.
묵자는 유가와 다르게 鬼의 존재를 인정했다. 유가는 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제사와 같은 禮를 중시하는 모순을 범한 반면, 묵가는 鬼와 神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제사와 같은 禮를 낭비로 생각하고 부정했다. 즉 鬼에 대한 인정은 백성들이 겸애의 도를 실행하기 위해 여러가지 종교적 정치적인 제재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묵자는 공맹을 비판하기를 "그대들은 두드리지도 않았는데 울리는 종과 다를바 없다"고 했다. 즉 군자는 팔짱을 끼고 있는 종(鍾)과 같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스스로 울릴 수 있는 종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8. 결론
묵자가 말한 利의 개념은 귀족생활에 대한 강한 반감을 나타낸다. 귀족의 비생산적인 생활에 대해 묵자는 날카로운 비판을 가한다. 하지만 그 이유는 단지 그런 생활들이 사회의 낭비라고 생각한데 있지, 결코 反貴族의 관념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었다. 묵자가 진정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분야는 바로 利를 증진시켜 백성들의 생활을 개선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묵자는 節用을 주장한다. 즉 재화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화의 본래 목적을 초과한 과시소비(過示消費)를 버리고 節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시소비를 묵자는 노동을 착취하는 것으로 보았다.
묵자는 혼란한 시대를 바로잡고 인간모두가 화목하게 살 수 있는 공동체를 꿈꾼 것 같다. 그런 인간의 공동체는 생산력의 무한한 발전이 가능할 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재화를 가지고 조금씩 절용하는 정신 속에서 가능하다고 묵자는 보았다. 이런 묵자의 사고는 오늘날과 같은 현실 속에서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이 된다.
묵학은 유학을 大敵으로 여겼다. 묵학은 유학의 예문을 허위라고 비웃었고,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생산에 힘쓰지 않는다고 비꼬았다.(주2)또한 창의성보다는 옛것을 지키는 데만 치중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공자가 권모술수를 몰래 사용하여 다른 나라를 어지럽혔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진정한 비판은 유가가 생산에 종사하지 않는데 있다. 이것은 <非樂>편을 보면 잘 나타난다. 묵자는 천하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데 '음악'을 즐긴다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직에 있는 자는 이런 쓸데없는 일(음악을 즐기는 것)을 해서는 안된다는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民有三患, 飢者不得食, 寒者不得衣, 勞者不得息, 三者民 之巨患也. 然卽當爲之撞巨鐘, 擊嗚鼓, 彈琴瑟, 吹笙芋, 而揚干, 民衣食之財將 安可得乎? <非樂上>
백성에겐 세가지 근심이 있다. 굶주림 자가 먹을 것을 얻지 못하는 것, 추위에 떠는 자가 입을 것을 얻지 못하는 것, 피로한 자가 휴식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백성들의 커다란 근심인 것이다. 그렇다면 만약 큰 종을 두드리고 북을 치며, 거문고를 뜯고, 우와 생을 불면서, 방패와 도끼를 들고 춤을 추어야 한다면, 백성들의 입고 먹을 재물은 앞으로 어디에서 얻을 수 있겠는가?
묵자가 음악을 비난한 것은 음악이 일을 전폐하기에 충분하고 천하에 아무 이익이 없다고 깊이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묵자의 문화관은 순전히 공리주의 및 실용주의 입장을 대변함을 알 수 있다.
7. 儒家思想과의 비교
유가와 묵자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묵자가 말하는 兼愛와 유가가 말하는 交別은 차이가 난다. 묵자가 말하는 兼愛는 유가에서 논의되는 交別보다 훨씬 확장된 의미이다. 단순하게 다른 사람들을 자기 친족처럼 여기는 것이 아니라 평등을 기초로한 공동체사회를 묵자는 주장하고 있다.즉 단순한 보살핌이 아니라 겸애가 행해지는 대동세계를 바랬다.
묵자는 유가와 다르게 鬼의 존재를 인정했다. 유가는 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제사와 같은 禮를 중시하는 모순을 범한 반면, 묵가는 鬼와 神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제사와 같은 禮를 낭비로 생각하고 부정했다. 즉 鬼에 대한 인정은 백성들이 겸애의 도를 실행하기 위해 여러가지 종교적 정치적인 제재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묵자는 공맹을 비판하기를 "그대들은 두드리지도 않았는데 울리는 종과 다를바 없다"고 했다. 즉 군자는 팔짱을 끼고 있는 종(鍾)과 같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스스로 울릴 수 있는 종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8. 결론
묵자가 말한 利의 개념은 귀족생활에 대한 강한 반감을 나타낸다. 귀족의 비생산적인 생활에 대해 묵자는 날카로운 비판을 가한다. 하지만 그 이유는 단지 그런 생활들이 사회의 낭비라고 생각한데 있지, 결코 反貴族의 관념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었다. 묵자가 진정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분야는 바로 利를 증진시켜 백성들의 생활을 개선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묵자는 節用을 주장한다. 즉 재화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화의 본래 목적을 초과한 과시소비(過示消費)를 버리고 節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시소비를 묵자는 노동을 착취하는 것으로 보았다.
묵자는 혼란한 시대를 바로잡고 인간모두가 화목하게 살 수 있는 공동체를 꿈꾼 것 같다. 그런 인간의 공동체는 생산력의 무한한 발전이 가능할 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재화를 가지고 조금씩 절용하는 정신 속에서 가능하다고 묵자는 보았다. 이런 묵자의 사고는 오늘날과 같은 현실 속에서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이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민족주의 사상
(동양윤리사상) 묵가 ( 墨家 )
<묵공>과 묵가사상
다산 정약용의 행정사상
A.S.Neill의 교육사상과 섬머힐 학교
[원효][원효대사][원효사상][원효(원효대사) 일심사상][원효(원효대사) 불교학 습득과정]원효...
[에라스무스][에라스뮈스][에라스무스사상][교육사상]에라스무스(에라스뮈스)의 생애, 에라스...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행적과 생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의산문답에 나타난 사상...
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학)의 개념과 원리, 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학)의 용어와 영향, 풍수지...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최제우][최시형][최제우 생애][최제우 사상][최제우 神(신)개념][최시형 생애][최시형 사상]...
[존듀이] 존듀이의 교육사상 및 시사점 분석 - 시대적 배경, 생이 및 업적, 존듀이의 교육사...
[범죄심리학] 청소년 비행의 이론 유형과 특성 및 원인에 대한 정리와 분석 -사상체질의학의 ...
[유토피아의 개념과 유토피아 관련 사상] 유토피아(Utopia)는 왜 존재할 수 없었나 - 유토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