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과 이상행동 용어 정리◁◀
1. Absent insight 병식 없음(결여)
2. Disorders of perception 지각장애
3. Disorders of thinking 사고장애
4. Disorders of consciousness 의식의 장애
5. Disorders of Orientation (Disorientation) 지남력 장애
6. Disorders of Affect(Mood) 정동(기분)의 장애
7. Disorders of motor aspects of behavior 행동(에서의 운동)장애
8. Disorders of attention 주의력 장애
9. Disorders of memory 기억력 장애
10. Dementia 치매
11. Others 기타
1. Absent insight 병식 없음(결여)
2. Disorders of perception 지각장애
3. Disorders of thinking 사고장애
4. Disorders of consciousness 의식의 장애
5. Disorders of Orientation (Disorientation) 지남력 장애
6. Disorders of Affect(Mood) 정동(기분)의 장애
7. Disorders of motor aspects of behavior 행동(에서의 운동)장애
8. Disorders of attention 주의력 장애
9. Disorders of memory 기억력 장애
10. Dementia 치매
11. Others 기타
본문내용
괴이한(기괴한) 행동: 이상야릇하여 다른 사람이 보기에 이해가 가지 않는 행동
- stuttering / stammering 말더듬: 말더듬기는 DSM-Ⅳ에서 의사소통장애에 포함되었다. ICD-10에서는 이를 소아 및 청소년기 발병 기타 행동 및 정서장애 중 하나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말할 때 음이나 음절을 자주 반복하거나 지연시키거나, 한 단어 사이를 쉬어서 발음하기 때문에 유창하게 말하는 것이 나이에 비해 현저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소아기에 발생한다. Stammering은 말더듬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 slurred speech 어눌한 언어: 말을 더듬어 부드럽지 못하게 말을 하는 것.
- hysterical fugue 히스테리성 둔주: 일과적 의식장애, 환자는 목적이 있는 행동을 하지만 그것을 후에 의식상기.
- dissociation 해리: 마음을 편치 않게 하는 근원인 성격의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 지배를 벗어나 마치 하나의 다른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로서, 즉 인격의 부분들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을 때, 괴롭고 갈등을 느끼는 인격의 일부분을 인격의 다른 부분과 분리시키는 기제이다.
- deja-vu 기시현상: 처음으로 경험한 주변의 경치나 자신의 상태를 이미 과거에 체험한 것과 같다고 느끼는 체험을 말한다. "거짓 재인"(베르그송) "재인의 추상착오"(크레펠린)등으로 불리고 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종종 단시간 체험하는 수가 있는데 이것을 착오라는 것으로 자각하고 있다. 병적인 경우는 이 체험이 장시간 지속되고 또한 과거에 체험했다고 확신하고 있다. 어떤 종류의 정신병이나 간질의 정신 발작 시 에 볼 수 있다.
- jamais-vu 미시현상: 기시감과 대조적인 체험으로 과거에 보거나 경험한 경우나 상태에 당면했을 때에 전혀 비지로 첫 경험으로 느끼게 하는 체험을 말한다.
- macropsia 거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
- micropsia 미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더 작게 보이는 것
- insomnia 불면증: 불면증은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잠이 들어도 깊은 잠을 자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등의 증상을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크게 일시적인 것, 동통을 수반하는 것, 습관성 불면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nalcolepsy 발작성 수면(수면발작증), 기면증: 기면증은 낮에 지나치게 졸리운 증상과 함께 자기도 모르게 1∼15 분동안 잠에 빠지는 수면발작을 주 증상으로 한다. 수면 후 어느 정도는 정신이 맑아지고 잠이 덜 오는 것을 느끼나 1 ∼2시간이 지난 후에는 다시 계속 졸리운 증상을 보인다. 대개 10대에 이러한 증상이 시작된다. 졸도발작, 수면마비, 입면환각 등의 증상들이 계속적으로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 night terror / nightmare 야경증/악몽
- 야경증; 제 4단계 수면에서 갑자기 깨어나는 것이 반복되는 수면장애로서, 깨어남과 동시에 소리를 지르고, 땀을 많이 흘리고, 놀란 표정을 하고, 동공이 산대되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등의 심한 공황과 불안의 징후가 나타난다. 이런 초조증과 착란증이 가라앉을 때까지는 아무리 달래보아도 소용이 없다. 이런 상태가 지나고 나서는 오로지 다편적인 위협적 내용의 꿈만 상기할 수 있을 뿐이다. pavor nocturnus 또는 night terror라고도 불리어진다.
- 악몽; 수면 중에 꾸는 무서운 꿈이다.
- hypersomnia 과다수면: 다른 원인 없이 지나치게 많은 수면이 최소한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함.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잠이 지나치게 많은 것.
- stuttering / stammering 말더듬: 말더듬기는 DSM-Ⅳ에서 의사소통장애에 포함되었다. ICD-10에서는 이를 소아 및 청소년기 발병 기타 행동 및 정서장애 중 하나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말할 때 음이나 음절을 자주 반복하거나 지연시키거나, 한 단어 사이를 쉬어서 발음하기 때문에 유창하게 말하는 것이 나이에 비해 현저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소아기에 발생한다. Stammering은 말더듬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 slurred speech 어눌한 언어: 말을 더듬어 부드럽지 못하게 말을 하는 것.
- hysterical fugue 히스테리성 둔주: 일과적 의식장애, 환자는 목적이 있는 행동을 하지만 그것을 후에 의식상기.
- dissociation 해리: 마음을 편치 않게 하는 근원인 성격의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 지배를 벗어나 마치 하나의 다른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로서, 즉 인격의 부분들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을 때, 괴롭고 갈등을 느끼는 인격의 일부분을 인격의 다른 부분과 분리시키는 기제이다.
- deja-vu 기시현상: 처음으로 경험한 주변의 경치나 자신의 상태를 이미 과거에 체험한 것과 같다고 느끼는 체험을 말한다. "거짓 재인"(베르그송) "재인의 추상착오"(크레펠린)등으로 불리고 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종종 단시간 체험하는 수가 있는데 이것을 착오라는 것으로 자각하고 있다. 병적인 경우는 이 체험이 장시간 지속되고 또한 과거에 체험했다고 확신하고 있다. 어떤 종류의 정신병이나 간질의 정신 발작 시 에 볼 수 있다.
- jamais-vu 미시현상: 기시감과 대조적인 체험으로 과거에 보거나 경험한 경우나 상태에 당면했을 때에 전혀 비지로 첫 경험으로 느끼게 하는 체험을 말한다.
- macropsia 거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
- micropsia 미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더 작게 보이는 것
- insomnia 불면증: 불면증은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잠이 들어도 깊은 잠을 자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등의 증상을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크게 일시적인 것, 동통을 수반하는 것, 습관성 불면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nalcolepsy 발작성 수면(수면발작증), 기면증: 기면증은 낮에 지나치게 졸리운 증상과 함께 자기도 모르게 1∼15 분동안 잠에 빠지는 수면발작을 주 증상으로 한다. 수면 후 어느 정도는 정신이 맑아지고 잠이 덜 오는 것을 느끼나 1 ∼2시간이 지난 후에는 다시 계속 졸리운 증상을 보인다. 대개 10대에 이러한 증상이 시작된다. 졸도발작, 수면마비, 입면환각 등의 증상들이 계속적으로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 night terror / nightmare 야경증/악몽
- 야경증; 제 4단계 수면에서 갑자기 깨어나는 것이 반복되는 수면장애로서, 깨어남과 동시에 소리를 지르고, 땀을 많이 흘리고, 놀란 표정을 하고, 동공이 산대되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등의 심한 공황과 불안의 징후가 나타난다. 이런 초조증과 착란증이 가라앉을 때까지는 아무리 달래보아도 소용이 없다. 이런 상태가 지나고 나서는 오로지 다편적인 위협적 내용의 꿈만 상기할 수 있을 뿐이다. pavor nocturnus 또는 night terror라고도 불리어진다.
- 악몽; 수면 중에 꾸는 무서운 꿈이다.
- hypersomnia 과다수면: 다른 원인 없이 지나치게 많은 수면이 최소한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함.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잠이 지나치게 많은 것.
추천자료
*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 이해를 ...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의 이해를 ...
생물학적 측면에과 심리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정신간호사의 역할...
[정신간호학][항정신병약물][정신과약물정리][항우울제][항불안제] 정신과 약물 문헌고찰
[CASE STUDY] 정신간호학 알콜중독 케이스 스터디 - 알콜중독 대상자에 관련된 사례연구보고서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조현병간호, 정신간호, 간호진단, 계획,수행, 평가 포함. 조현병)
정신간호 실습 - 간호과정 (진단 장기, 단기 목표 간호중재 평가 ) 모음
정신간호case,알콜의존,alchol dependence,간호진단,간호과정,간호사정, 타인지향폭력위험성 ...
[A+, 칭찬받은 자료] 정신간호 실습 케이스 Case SPR, Schizophrenia, 조현병, 정신분열증 간...
[정신간호학] 물질 관련 장애
정신간호학) 정신치료 - 개인정신치료, 치료적 집단과 집단치료
2017년 정신건강과간호] 1)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작성 2) 교재 66~68...
2017년 정신건강과간호] 1)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2) 교재 66~68쪽에...
(정신건강과간호 2017년)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 인식 일지’를 작성하시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