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드민턴의 개념과 역사
2. 배드민턴의 기술
2. 배드민턴의 기술
본문내용
식경기에 많이 이용되며, 롱서비스와 숏서비스의 중간 성격을 띤 서비스다. 이 서브는 셔틀콕을 수평 궤도로 보내려고 할 때에 사용한다. 이 서브는 셔틀콕이 네트를 살짝 넘도록 하여 숏 서비스 라인(Short Service Line) 부근에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몸쪽이나 어깨쪽으로 많이 구사하며, 손목 스냅을 많이 사용하고 직선으로 스피드있게 구사한다. 드리븐 서브에서 주의할 점은 손은 셔틀을 칠 때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 손이 반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하고 폴로우 쓰루우도 원의 호를 그릴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드라이브를 하는 기본적인 요령은 하이 딥 서브와 같다.
② 숏 서비스 - 백핸드 서비스는 포핸드 서비스에 비해 다양한 서비스가 불가능하나, 복식경기에서의 숏 서비스와 드리븐 서비스를 구사할 때 많이 사용한다. 오른발을 앞으로 왼발을 뒤로해서 숏 서비스라인과 센터라인 근처에 위치하고 중심은 오른발에 둔다. 오른발은 가볍게 굽히고 라켓은 몸 앞에 두며, 셔틀콕은 라켓 앞에 위치하여 가볍게 친다. 팔꿈치를 중심으로 손목의 스냅 즉, 엄지손가락을 바친 힘을 이용하여 서브한다.
⑨ 경기 방식
배드민턴 경기는 2명의 선수가 코트를 기준으로 양분되어 실시하는 단식경기, 2명의 선수가 한 조가 되어 상대편과 경기하는 복식경기, 남녀선수가 한 조가 되어 상대편과 경기하는 혼합복식경기가 있고, 단체전 경기로는 2복식과 3단식으로 구성된다. 단체전은 단식 두 경기를 먼저 하고 그 다음에 복식 두 경기를 하며 마지막에 단식 한 경기를 하게 된다.
a. 단식경기
단식경기는 자기 득점이 0점이거나 짝수의 점수일 때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서브를 넣으며, 자기 득점이 홀수일 때에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서브를 넣는다. 리시버는 상대편 서버의 점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오른쪽에서 리시브를 하며 점수가 홀수일 경우에는 왼쪽에서 리시브를 한다. (즉, 대각선상에서 리시브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서브를 넣는 위치는 상대편 점수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자신의 점수가 짝수인가 홀수인가에 따라 정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1포인트를 얻게 되면 서버는 왼쪽에서 서브를 넣게 되고 리시버도 왼쪽에서 리시브를 한다. 경기가 개시되면 서버는 처음에 오른쪽 코트에서 상대편 오른쪽 코트로 서브를 넣어야 한다. 경기 중 서브는 주심이 스코어 콜을 한 다음에 넣어야 하며 서비스 콜(Service Call)을 하기 전에 서브를 넣으면 무효가 된다.
b. 복식경기
복식경기는 최초 서브를 넣는 편의 경우 한 사람만이 서브를 할 수 있으며 (즉 first serve만이 가능) 서브권이 상대편으로 넘어간 경우부터는 두 사람 모두 서브를 넣을 수 있다. 복식경기에서 두 번의 서브권이 주어지는데 처음에 서브하는 선수를 퍼스트 서버라고 하고 두 번째 서브하는 선수를 세컨드 서버라고 한다. 퍼스트 서버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단식 경기와 같이 0점이나 득점한 점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홀수일 경우에는 왼쪽에 위치한다. 세컨드 서버는 오른쪽 서버가 서브할 때 왼쪽에 위치하고 0점이나 득점한 점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왼쪽에 위치하고 홀수일 경우에는 오른쪽에 위치한다.
서버가 오른쪽에서 서브를 하여 득점을 하는 경우에는 왼쪽으로 넘어가 다시 서브를 하지만 리시버들은 리시버의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또한 리시버쪽이 서브권을 넘겨받아 서브를 할 경우 퍼스트 서버가 오른쪽에서 서브를 넣어 점수를 얻었을 경우에는 왼쪽에서 다시 서브를 하며 점수를 얻지 못했을 때에는 세컨트 서버에게 서브권이 넘어가고 왼쪽에 위치하고 있던 세컨드 서버는 위치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를 넣게 된다. 이때 서버에서 리시버가 된 상대편은 리시버의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c. 승부결정방법
배드민턴에서는 배구나 테니스에서 말하는 세트(set)를 "게임(game)"이라고 한다. 1게임은 15포인트를 먼저 득점한 쪽이 이기게 되고, 시합(match)은 2게임을 먼저 이긴 쪽이 승리하게 된다. 즉 보통 한 시합은 3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간략하게 말하면 15포인트 3게임 매치. 단, 여자 단식의 경우에는 11포인트 3게임 매치가 된다. (복식은 남자와 동일)
《참고자료》
이종복 외 8명 공저, 『생활체육지도자 입문을 위한 배드민턴』, 대학서림, 2002.
권순주, 『그림으로 보는 스포츠 배드민턴 교실』, 오성출판사, 2002.
《자료 및 사진 참고 웹사이트》
강원도청 배드민턴 동호회 ‘하이클리어’
무한민턴 배드민턴 카페
② 숏 서비스 - 백핸드 서비스는 포핸드 서비스에 비해 다양한 서비스가 불가능하나, 복식경기에서의 숏 서비스와 드리븐 서비스를 구사할 때 많이 사용한다. 오른발을 앞으로 왼발을 뒤로해서 숏 서비스라인과 센터라인 근처에 위치하고 중심은 오른발에 둔다. 오른발은 가볍게 굽히고 라켓은 몸 앞에 두며, 셔틀콕은 라켓 앞에 위치하여 가볍게 친다. 팔꿈치를 중심으로 손목의 스냅 즉, 엄지손가락을 바친 힘을 이용하여 서브한다.
⑨ 경기 방식
배드민턴 경기는 2명의 선수가 코트를 기준으로 양분되어 실시하는 단식경기, 2명의 선수가 한 조가 되어 상대편과 경기하는 복식경기, 남녀선수가 한 조가 되어 상대편과 경기하는 혼합복식경기가 있고, 단체전 경기로는 2복식과 3단식으로 구성된다. 단체전은 단식 두 경기를 먼저 하고 그 다음에 복식 두 경기를 하며 마지막에 단식 한 경기를 하게 된다.
a. 단식경기
단식경기는 자기 득점이 0점이거나 짝수의 점수일 때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서브를 넣으며, 자기 득점이 홀수일 때에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서브를 넣는다. 리시버는 상대편 서버의 점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오른쪽에서 리시브를 하며 점수가 홀수일 경우에는 왼쪽에서 리시브를 한다. (즉, 대각선상에서 리시브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서브를 넣는 위치는 상대편 점수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자신의 점수가 짝수인가 홀수인가에 따라 정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1포인트를 얻게 되면 서버는 왼쪽에서 서브를 넣게 되고 리시버도 왼쪽에서 리시브를 한다. 경기가 개시되면 서버는 처음에 오른쪽 코트에서 상대편 오른쪽 코트로 서브를 넣어야 한다. 경기 중 서브는 주심이 스코어 콜을 한 다음에 넣어야 하며 서비스 콜(Service Call)을 하기 전에 서브를 넣으면 무효가 된다.
b. 복식경기
복식경기는 최초 서브를 넣는 편의 경우 한 사람만이 서브를 할 수 있으며 (즉 first serve만이 가능) 서브권이 상대편으로 넘어간 경우부터는 두 사람 모두 서브를 넣을 수 있다. 복식경기에서 두 번의 서브권이 주어지는데 처음에 서브하는 선수를 퍼스트 서버라고 하고 두 번째 서브하는 선수를 세컨드 서버라고 한다. 퍼스트 서버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단식 경기와 같이 0점이나 득점한 점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홀수일 경우에는 왼쪽에 위치한다. 세컨드 서버는 오른쪽 서버가 서브할 때 왼쪽에 위치하고 0점이나 득점한 점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왼쪽에 위치하고 홀수일 경우에는 오른쪽에 위치한다.
서버가 오른쪽에서 서브를 하여 득점을 하는 경우에는 왼쪽으로 넘어가 다시 서브를 하지만 리시버들은 리시버의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또한 리시버쪽이 서브권을 넘겨받아 서브를 할 경우 퍼스트 서버가 오른쪽에서 서브를 넣어 점수를 얻었을 경우에는 왼쪽에서 다시 서브를 하며 점수를 얻지 못했을 때에는 세컨트 서버에게 서브권이 넘어가고 왼쪽에 위치하고 있던 세컨드 서버는 위치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를 넣게 된다. 이때 서버에서 리시버가 된 상대편은 리시버의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c. 승부결정방법
배드민턴에서는 배구나 테니스에서 말하는 세트(set)를 "게임(game)"이라고 한다. 1게임은 15포인트를 먼저 득점한 쪽이 이기게 되고, 시합(match)은 2게임을 먼저 이긴 쪽이 승리하게 된다. 즉 보통 한 시합은 3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간략하게 말하면 15포인트 3게임 매치. 단, 여자 단식의 경우에는 11포인트 3게임 매치가 된다. (복식은 남자와 동일)
《참고자료》
이종복 외 8명 공저, 『생활체육지도자 입문을 위한 배드민턴』, 대학서림, 2002.
권순주, 『그림으로 보는 스포츠 배드민턴 교실』, 오성출판사, 2002.
《자료 및 사진 참고 웹사이트》
강원도청 배드민턴 동호회 ‘하이클리어’
무한민턴 배드민턴 카페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건강운동의 기본원리, 종류, 강도, 지속시간, 빈도, 단계 분석과 나의 2주간 운...
<생활과건강> 건강운동 종류, 강도, 지속시간, 빈도, 단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생활과건강]건강운동의 기본원리(종류,강도,시간,빈도,단계)분석과 2주간 운동계획 및 평가
<생활과건강>건강운동 종류, 강도, 지속시간, 빈도, 단계에 대해 기술하고 운동계획서 작성및...
(생활과건강)건강운동의 기본원리와 운동의 종류, 운동 강도, 운동 지속시간, 운동빈도, 운동...
[운동][운동의 중요성][운동의 효과][운동의 올바른 방법][건강증진의 전략][건강증진의 새로...
[운동][건강의 위기에 따른 운동의 중요성][운동의 가치][운동의 효력][운동의 조절][운동시 ...
[체력][체력 정의][체력 요소][체력과 건강][체력과 운동][체력과 체력측정][체력 강화 방안]...
소개글